+ 팔로우
우연히 SNS에서 책을 알게되었고,(겉표지와 제목이 워낙 강렬해서 시선을 뺐겼다) 그 글을 올린 사람은 겨울서점에서 절판된 책 중 추천책에 대한 컨텐츠를 본 뒤 호기심이 발동하여 중고로 웃돈까지 주고 구입했다고 한다. 마찬가지로 나도 그 글을 읽고 > 김겨울 작가의 책소개를 찾아보고 > 검색에 검색을 하여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던 것을 겨우 구입할 수 있었다. 물론 책의 원가보다는 비싼 금액이다. 읽을 책도 많은데 굳이! 호기심 때문에!
발동한 호기심을 충족시켜줄 만큼의 책이었느냐 하면 어떤 의미로는 그렇다고 하겠다.
죽은 사람의 시체가 실제 어떤식으로 사용되는지에 대해 집중적으로 취재한 책인데, 기증한 시체뿐아니라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 무덤에서 파낸 시체, 몰래 빼돌려 훔친 시체 등 다양한 경로로 얻은 시체로 여러 실험을 하는 내용들이 등장한다. 논문과 책, 실제 각 국의 여러 사람들을 인터뷰하고 실제 실험에 참관하는 등 여기저기 바쁘게 뛰어다니며 집필한 책이다보니 기원전부터 최근까지 다양한 시대를 오간다.
대체 시체를 가지고 무얼 할까 생각하면 보통 상식선으로는 의사들의 해부 실습용으로 쓰인다거나 다른이에게 새 생명을 주기 위해 장기를 기증한다거나 하는 정도로만 떠올리게 되는데 생각보다 다양하게 쓰이고 있어 놀라웠다.
시체를 부위별로 절단하여 여러 강도의 충격을 가했을 때 어디가 어느만큼 부서지느냐 하는 충돌 실험을 진행하고 비행기에서 추락한 다양한 시체들의 모습을 분석하여 추락한 원인에 대해 파악하기도 한다. 그 밖에도 영혼은 머리에 존재할까 몸에 존재할까를 여러가지 실험으로 결과를 내기도 하고 다른 사람의 머리와 몸통을 그대로 이식하는 실험(a의 몸통에 b의 머리를 붙이는 식)을 해보기도 한다. 그 외 의료목적이긴 하나 식인 행위에 대해서도 기록되어있다.
저자는 실제 인간의 시체를 죽은 직후 방치하여 부패가 정확히 어떤 과정으로 진행되는지 실험하는 곳을 방문하기도 하는데 여기서 의문을 제기한다. 보통 해부되기보다 매장되기를 택하곤 하는데 과연 매장되는 것은 해부되는것보다 더 나은가?(더 아름다운가?)
저자의 다른 책을 읽어보지 않아 원래 이렇게(?) 글을 쓰는 사람인지 모르겠으나 다루는 주제가 무거운 만큼 중간중간 너무나 가벼워보이는 단어 선택이나 문장들에 멈칫하는 순간이 있었다. 확실히 어이없고 웃기는 부분도 있긴 했다. 그런데 피식 웃어놓고 이래도 되나? 싶은 것이다. 하지만 무거운 소재라고 해서 반드시 무겁게 접근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 뭐.
책의 마지막에서 저자 본인이 죽은 후 시신 처리를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하는데, 여기서 새롭게 생각하게 된 부분이 있다.
•자신의 시신 처리를 두고 세밀하고 복잡하게 요구하는 사람들은 필시 자신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을 받아들이기 힘들어서 그럴 것이다. 가족과 친지들에게 자신의 시신을 갠지스 강이나 미시건 주로 보내주기를 원한다는 쪽지를 남기는 행위는 세상을 떠난 후에도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즉 어떤 면으로 보면 여전히 이 세상에 남아있기 위한 한 가지 방편이다.
•'그들이 죽고 나서 그들에게 어떤 일이 일어날지는 그들 소관이 아니지요.'
그것은 유족들이 윤리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거나 내키지 않는 일까지 할 필요는 없다는 말이다. 슬퍼하고 떠나 보내는 것만 해도 힘든 일이다. 왜 거기에다가 짐을 더 지우는가?
그동안 나, 내 몸뚱아리에 대한 결정권은 오로지 나에게만 있다고 생각해왔는데 다른 관점으로 생각하게 된다. 물론 가능할 것 같진 않다.
0
송세미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