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예전부터 정말 읽고 싶었던 책,
꽤 유명한 책이지만 한국 소설책은 잘 안 읽게 돼서
뒤늦게 읽으려 책장을 펼쳤다
보통의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윤재에게 책이란 무엇이었을까,
“책은 내가 갈 수 없는 곳으로 순식간에 나를 데려다주었다. 만날 수 없는 사람의 고백을 들려주었고 관찰할 수 없는 자의 인생을 보게 했다. 내가 느끼지 못하는 감정들, 겪어 보지 못한 사건들이 비밀스럽게 꾹꾹 눌러 담겨 있었다.”
책을 사랑하는 사람들은 동감하지 않을까 ?
내가 책을 좋아하는 이유도 이것과 같다. 책은 그 안의 문장들을 읽기만하면 내가 갈 수 없는 세계에 데려다준다. 수많은 책들 뒤에는 수많은 작가들이 있다. 내가 읽었던 책들의 작가들을 만나본 적은 없지만, 책 한 권을 다 읽게 되면 그 작가와 가까워진 느낌이 든다. 내향적인 나에게, 사람에게 에너지를 많이 사용할 수 없는 나에게도 책은 이러한 존재다 :-)
읽다가 울었던 문장 ..
“그 겨울. 첫눈이 내리기 얼마 전 나는 엄마의 얼굴에서 낯선 것을 발견했다. 처음엔 짧은 머리카락이 얼굴에 달라붙은 줄 알았다. 그걸 떼려고 손을 뻗었다. 그런데 그건 머리칼이 아니라 주름이었다. 언제 생겼는지도 몰랐는데 꽤 깊이, 그리고 길게 파여 있었다. 처음으로 엄마가 늙은 걸 알았다.
ㅡ 엄마도 주름이 있네.
내 말에 엄마는 방긋 미소를 지었고, 그러자 주름이 길게 뻗어갔다. 나는 점차 늙어 가는 엄마를 상상해 보았지만 잘 그려지지 않았다. 아무래도 믿을 수 없는 일이었다.
ㅡ 이제 엄마에게 남은 건 늙는 일밖에 없단다.“
그 말이 생각난다. 부모님은 우리를 기다려주지 않는다는 말
“두 사람은 내 세계의 전부였다.”
“마치 이 세상에 정해진 답은 없다고 말해 주는 것 같았다. 그러니까 남들이 어떤 말이나 행동을 한다고 해서 꼭 정해진 대응을 할 필요도 없는 게 아닐까. 모두 다르니까, 나같이 ‘정상에서 벗어난 반응’도 누구나에겐 정답에 속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세상은 종종 우리에게 그건 정답이 아니라고 말한다. 꼭 말이 아니라 상황으로 분위기로 말을 대신해준다.
맞다. 이 세상에 정해진 답은 없다 ! 모두 다르니까, 너도 나도 누군가에게는 정답일 수도 있으니까 🙂
“감정이란 참 얄궂은 거거든. 너를 둘러싼 아주 작은 것들까지도 모두 날카로운 무기로 느껴질 수도 있고, 별거 아닌 표정이나 말이 가시처럼 아프게 다가오기도 하지.”
“멀면 먼 대로 할 수 있는 게 없다며 외면하고, 가까우면 가까운 대로 공포와 두려움이 너무 크다며 아무도 나서지 않았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느껴도 행동하지 않았고 공감한다면서 쉽게 잊었다.
내가 이해하는 한, 그건 진짜가 아니었다.
그렇게 살고 싶진 않았다.”
세상에 겨우 나온 윤재에게 세상이 윤재에게 알려준 것은 감정이라는 좋은 핑계.
그 날, 모두 외면했던 날, 아무도 나서지 않았던 날, 점점 사람들의 머릿 속에서 흐릿해져가는 그 날. 그 날이 현재 우리 사회의 모습들이지 않을까
“삶은 여러 맛을 지닌 채 그저 흘러간다.
나는 부딪혀 보기로 했다. 언제나 그랬듯 삶이 내게 오는 만큼. 그리고 내가 느낄 수 있는 딱 그만큼을.”
작가님이 <아몬드> 책을 적어내려간 이유,
모든 아이들은 가능성이 열려있으며 축복받아 마땅한 존재이다.
하지만, 그 아이들 중 누군가는 사회의 낙오자가 되고 누군가는 군림하고 명령하면서도 속이 비틀린 사람이 된다. 드물지만, 주어진 조건을 딛고 감동을 주는 사람으로 성장하는 경우도 있다.
인간을 인간으로 만드는 것도, 괴물로 만드는 것도
사랑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상처 입은 사람들, 특히 아직도 가능성이 닫혀 있지 않음 아이들에게 내미는 손길이 많아지면 좋겠다.
거창한 바람이지만 그래도 바라 본다.
아이들은 사랑을 갈구하지만, 동시에 가장 많은 사랑을 주는 존재들이다.
-
앞으로 내가 경험할 많은 곳들에서 많은 사람들, 많은 아이들을 만날 수도 있다. 그 아이들에게 감정을 건강하게 사용하는 좋은 사람이 되고 싶다 🙂 나를 통해서 -더 나아가 우리 사회가- 더 성장하고 가능성을 인정받는 아이들을 만나길 기대하며 !
#아몬드 #손원평 #위시리스트
👍
동기부여가 필요할 때
추천!
2
호이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