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매님의 프로필 이미지

고매

@gomaeehfz

+ 팔로우
하루 24시간 어떻게 살 것인가의 표지 이미지

하루 24시간 어떻게 살 것인가

아널드 베넷 (지은이), 이은순 (옮긴이) 지음
범우사 펴냄

아침의 한 시간은 밤의 두 시간 이상의 가치가 있다

일상의 일로 그렇게 피곤해진다면, 그것은 당신의 생활의 균형이 잘못된 것이므로 시정해야만 한다고. 인간의 정력은 일상의 일에 모두 빼앗겨 버려서는 안 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분명한 것은 머리를 써서 무언가 당신의 정열을 일상의 일에만 모두 써버리지 않도록 하는 일이다. 당신의 엔진을 일상의 일에 쓰기 전에(후가 아니다) 먼저 그 이외의 무언가에 쓰는 것이다. 간단히 말하면, 아침 일찍 일어나는 것이다.

하루의 3분의 2의 시간을, 3분의 1일을 차지하는 근무 시간에 단지 추가로 붙어 있는 시간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면(게다가 그 3분의 1의 시간에조차 전혀 정열적으로 일하지 않으므로) 완전히 충실한 하루를 보내는 것이 어떻게 가능하겠는가? 가능할 리가 없다.


밤에 즐거운 마음으로 기대하고 있는 것이 있을 때, 모든 정력을 기울일 수 있는 무엇인가가 있을 때, 그것을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그날 하루가 빛나고 활기에 넘친다는 것을 당신은 부정할 수 있겠는가.


주 6일, 매일 아침의 적어도 30분간, 그리고 일주일에 3일 저녁 1시간 반씩을 합하면 주 7시간 반이 된다.

내가 말하려는 것은 이 7시간 반을 완전히 활용한다면 그 주일 전체가 활기와 정열에 넘치게 되며, 따분하기 그지없는 직업에조차 관심이 높아지게 된다는 것이다.

아우렐리우스와 에픽테토스가 쓴 책 이상으로 언제까지나 ‘신선한’ 책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당신이나 나처럼 평범한 인간(허세와 잘난 체, 비상식을 싫어하는 인간)의 일상생활에 응용할 수 있는 평범한 상식이 이 이상으로 가득찬 책을 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시험삼아 밤에 1장이라도 좋으니까 한번 읽어 보기 바란다. 짧아서 1장이랄 것도 없이 금방 몇 장이라도 읽겠지만. 그리고 다음날 아침 어젯밤에 읽은 것에 관해 생각을 집중해 보기 바란다. 그러면 내가 말한 것을 납득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모든 일은 원인과 결과가 끊임없이 잇달아 일어남으로써 전개된다는 사고 방식을 가진 사람은 바다를 보고 그 기본적 구성 요소를 깨닫는다. 즉 지질학적 관점에서 그저께는 수증기에서, 어제는 끓어오르고, 내일은 얼게 되리라는 필연적 요소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런 사람은 액체는 고체로 되는 과정에 있는 데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안다. 그리고 그로부터 유의전변하는 인생의 한없는 풍요로움에 대한 인식에 도달하는 것이다. 끊임없이 자기를 갈고 닦음으로써 얻은 이러한 진정한 통찰력만큼 인간에게 항구적인 만족감을 주는 것은 없다. 이것이야말로 과학의 목적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흥미를 가지고 매일 저녁 1시간 반 정도씩 런던의 부동산 문제를 연구해 보길 바란다. 그렇게 하면 일이 점점 재미있어져 일할 의욕이 높아지고 생활 전체가 바뀌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박식한 체하는 인간이 되지 마라
2022년 11월 25일
0

고매님의 다른 게시물

고매님의 프로필 이미지

고매

@gomaeehfz

우리는 엄마를, 아 빠를, 선생님을, 종교를, 심지어 신을 기쁘게 하려 합니다. 그리나 그들의 눈에 나는 결코 완벽할 수 없습니다.
그 완벽한 이미지는 좋은 사람'으로 인정받기 위해. 그리고 자기 자신을 받아들이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끊임없이 강요합니다. 그기준은 과연 누구의 것일까요?

이것이 바로 스스로에 대해 믿고 있는 가장 큰 거짓말입니다. 나는 절대로 완벽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완벽하지 않다는 이유로 자신을 용서하지 못합니다.

오늘 우리가 있는그대로의 자신을 판단 없이 받아들이게 하소 서.우리의 감정, 희망과꿈, 성격, 고유한 존재 방식을 포함한마 음을있는그대로 품게 하시고, 우리의 몸을그아름다움과 완전 함그대로 사랑하게 하소서.
우리가자신을 항한사랑이너무나해서 다시는스스로를거부 하거나우리자신의 행복과 자유, 사랑을 방해하지 않게하소서. 지금이순간부터 우리의 모든 행동과 반응, 생각과 감정이사랑에 기초하게 하소서.

다른 사람들의 의견에 띠라 사는 삶이 아니라 스스로의 선택을 신 토하며 살아가게 하소서. 우리 삶의 책임을 두려워하지 입게하 시고 문제가 닥쳐도 피하지 않고 마주하며 해결합 수 있는 용기품 주소서 우리가 성취하고자 하는 모든 것이 자기 사랑의 힘으로 이루어지게 하소서.
오늘부터 우리 자신을 깊이 사랑하게 하소서. 그래서 우리를해치 거나 방해하는 어떤 상황도 더는 만들지 않게 하소서.
다른 사람에게 받아들어지기 위해 누군가인 척하지 않고 있는 그 대로의 우리로 산아가게 하소서. 우리가 어떤 존제인지 스스로 알 기에 더 이상 다른 사림의 인정이나 칭찬에 의존하지 않게 하소서,.

사랑하라, 그리고 나를 잃지 않도록

돈 미겔 루이스 지음
스노우폭스북스 펴냄

6일 전
0
고매님의 프로필 이미지

고매

@gomaeehfz

나는 어떤인간인가?
극단에 치우침을 경계하고 중립을 지향하는 나라는 사람은, 과연 구보승과 같은 상황에서 악을 악이라 판단하고 말할 수 있을까?
중립이 최선이라 생각했던 내게 생각할 지점을 주는 글이다. 나는 절대 선과 악이 있을까라는 물음에, 옳고 그름의 기준에 대해 ’글쎄’를 말하는 사람이지만, 그건 관용적이기 보다는 오히려 내가 빠져나갈 구멍을 파놓는 방어적인 행위에 가깝다는 생각을 한다. 때로는 ‘그건 다른게 아니라 틀린거야’라고 주관있게 말하는 친구가 부러운 것도 비슷한 이유일테다.
그러니까, 모호한 입장만을 취하지 말고 때로는 옳은 건 옳다, 그른 건 그르다 라고 말한다거나 최소한 옳고 그름은 모르겠지만 ’나는 이런 이유에서 이렇게 생각한다‘는 주관을 가지고 싶다, 반드시.

혼모노

성해나 지음
창비 펴냄

2주 전
0
고매님의 프로필 이미지

고매

@gomaeehfz

  • 고매님의 혼모노 게시물 이미지

혼모노

성해나 지음
창비 펴냄

읽었어요
2주 전
0

고매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