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황석영이다. 그가 집단과 조직의 시대에 치여 개인을 돌아보지 못했던 우리 문학의 궁핍한 현실을 깨닫고서 써내려갔다는 자전적 성장소설이다. 유준이라는 자전적인 캐릭터를 중심으로 그의 주변인물들로 화자를 바꾸어가며 시종 일인칭으로 쓰여졌는데, 모든 인물이 자기만의 문제를 안고 그 문제에 온몸으로 부닥쳐나가는 매력적인 젊음을 살고 있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소년이 어른이 되는 과정에서 겪게 마련인 제 나름의 상처와 방황의 이야기를 이렇게 멋드러지게 풀어나간 작품이 우리 문학에 또 있었던가. 기억나지 않는다. 이 시대 최고의 작가 중 한명인 황석영이 자전적 경험과 문학적 재능을 살려 내놓은 이 작품이 있기에 후배들의 성장통이 조금쯤은 견딜만 해지리라 생각해 본다.
유준이와 그의 친구들의 고민, 그리고 그네들의 삶에 얼마간의 공감과 얼마간의 동경을 느끼며 읽어나갔다. 나 뿐 아니라 이 책을 읽는 모두가 자신의 모습을 이들 속에서 발견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나로서는 이 모습들에 공감할 수 없는 젊음을 상상할 수 없다.
그러나 한편 씁쓸해진다. 이 소설 속에선 모두가 이토록 빛나는 시절을 살아가는데 나의 시절은 비에 젖은 짐승처럼 처량했었다. 생각도 높고 뜻이 맞는 친구도 있고 사랑에 가까운 무언가도 해보고 무엇보다 도전할 꺼리가 널려있던 그네들의 삶에 비해 나의 시절은 암담했었다.
모든 인물이 모두 저렇게 살아갈 수 있다면 세상은 항시 맑겠지만 그럴 수 없는 게 사실이고, 혹자는 비겁한 변명이라 할지도 모르지만 그것이 각자의 삶이고 운명인 것이다. 절망스럽게도, 또 희망스럽게도, 그는 황석영이지만 나는 김성호인 것이다. 얼마간의 공감과 얼마간의 동경 너머엔 오직 끝없는 괴리감만이 존재했다.
준과 친구들의 대책없는 모험은 마치 콜필드의 그것과 비슷했지만 그보단 더 미화되었고 흐릿했으며 비현실적이었다. 게다가 준이가 파격적 여정 끝에 깨달았던 것은 너무나도 교훈적이었고 전형적이어서 당혹스럽기까지 하였다. 이런 이야기를 이런 방식으로 우려낼 수 있다는 점만으로도 황석영의 재주는 대단하다 하겠지만 분명 나는 이런 이야길 읽고 싶은 게 아니었다. 정말이지 나는 진짜를 읽고 싶었던 것이다.
-인상적인 문장
"그러나
감자밭을 적시기엔
아직 적다"
"나 권투 좋아해요. 사각 링에 딱 같히면 각자 무지하게 외로울 거야. 온 세상에 바로 코앞의 적뿐이니까."
1
김성호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