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팔로우
하루하루가 이별의 날의 표지 이미지

하루하루가 이별의 날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다산책방 펴냄

프레드릭 베크만의 소설은 믿고 읽는다. 잔잔하면서 일상의 이야기를 담아 감동을 주는 일본 소설과 결을 달리 하는데 문화에서 오는 차이인지는 모르겠지만 분명 일어날 법한 이야기지만 흔치 않은 이야기 속에 기승전결 확실한 이야기 구조를 가져 읽는 내내 긴장하게 만드는 동시에 계속 궁금하게 하면서 커다란 감동을 준다. 읽는 동안도 즐겁지만 언젠가 또 읽어봐야지~ 하는 생각을 하게 하는 작가다.



이번에 만난 <하루하루가 이별의 날>은 도서관에 갔다가 평소의 프레드릭 베크만 소설과 달리 아주 가벼운 페이지여서 집어왔다. 제목부터 무언가 가슴 아플 것 같았는데 직접 펼쳐 읽으면서 작가에게 또다시 놀라게 됐다. 지금까지 읽었던 프레드릭 베크만의 구성 방식이나 내용과 전혀 달랐기 때문이다.



"지금이 제일 좋을 때지. 노인은 손자를 보며 생각한다."...10p

소설의 첫 문장이다. 벤치에 앉아있는 손자 노아는 아직 발이 대롱거릴 정도로 아직 어리다. 이 벤치가 있는 곳은 어느 광장. 이곳에서 둘은 보이는 여러가지 것에 대해 대화를 나눈다. 할아버지가 손자에게 가르쳐 준 것, 어린 손자가 할아버지에게 배운 것, 둘이 함께 이룬 것, 즐긴 것, 나눈 것...등에 대하여.



하지만 곧 독자들은 이 두 사람의 대화가 어딘가 이상함을 눈치챌 테고, 이 광장이 여느 공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할아버지의 쇠퇴하는 기억을 의미한다는 것을 깨닫는다.



" 이 책은 기억과 놓음에 대한 이야기다. 한 남자와 그의 손자, 한 아버지와 아들이 주고받는 연서이자 느린 작별 인사다."...7p 라고 작가는 말한다. 온전한 자신에서부터 점점 잃어간다는 것에 대한 두려움은, 내겐 낯선 주제는 아니다. 치매를 20년 넘게 앓으신 할머니를 보면서, 뇌종양으로 점점 엄마가 아니게 된 엄마를 보면서 내가 아닌 나는 너무 끔찍하다고 생각해 왔다. 하지만 책 속 할아버지는 그저 자신이 놓친 것, 더 줄 것, 더 남길 것에 대해서만 생각한다. 더불어 먼저 보낸 아내와의 시간으로 조금씩 자신을 놓는다.



울컥! 하여 꿀꺽! 하고 눈물을 참는다.



원제가 <AND EVERY MORNING THE WAY HOME GETS LONGER AND LONGER>이다. 할아버지가 노아에게 자신을 설명한 문장. 노아가 아빠에게 할아버지를 설명한 문장.

"그래서 매일 아침마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이 점점 길어지겠죠."...150P

​짧지만 역시나 임팩트있는 소설이었다.
0

에버네버님의 다른 게시물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자주 기웃거리는 알라딘 중고 서점에서 내 눈에 걸린 책 한 권.

눈에 띈 이유는, 표지 속 그림이 누가 그린 것인지 알 수 있었기 때문이다. 애 좀 키워봤다면 누구나 알아봤을 ~ ㅎㅎ

그 "앤서니 브라운" !!! 세상에~ 보통 그림책만 그리지 않나? 언제 이런 동화책을 내셨대? 하고 자세히 들여다 보니~ 헉헉헉!!!! 작가는 이언 매큐언이다. 네? 뭐라고요? <속죄>의 그 이언 매큐언이요? 어째서? 무섭고 두려워서 아직도 정독하고 있지 못한 그 <속죄>를 쓴 작가가 동화책을 썼다고요?

폭풍 검색에 들어간다. 아~ 그의 동화책은 딱 이 한 권뿐이다. 거기에 앤서니 브라운 그림이라니~! 흥미가 확~! 당긴다.결국 GET!



책을 펼치면 바닷가 앞 파도를 바라보는 한 소년의 뒷모습이 등장한다. 뭔가 묘하게 쓸쓸해 보이기도, 의지가 엿보이기도 한 이 그림을 넘기면



"나는 다른 형상으로 몸을 바꾼 이들에 대한 이야기를 할 참이다."...<변신 이야기 1권> 오비디우스 ...7p



아마도 이 첫 인용 문장이 이 책의 소재가 될 것 같다.



피터는 평소 몽상에 자주 빠지는 소년이다. 가족들은 진짜 피터의 모습을 알지만 학교에서나 밖에서 이런 피터의 모습을 보면 느리고, 아둔하고 아무 생각 없는 소년이라 여긴다. 그리고 이 책은 그런 피터의 머릿속에서 일어난 일을 기록한 책이다. 항상 느리고 멍한 피터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를 실제 일어난 일인 것처럼 펼쳐진다.



평소 싫어하는 여동생의 인형과 한판 싸움을 하기도 하고, 가족들이 회사와 학교 갈 준비하느라 바쁜 와중에도 언제나 느긋한 고양이나 갑자기 나타나 자신의 평화를 뒤흔드는 이모의 아들로 변신하기도 하고, 학교의 주먹대장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게도, 동네 도둑을 직접 잡는 계획을 세우기도 한다. 이 모든 일을 피터는 몽상으로 한다. 하지만 이 몽상은 그저 몽상에서 그치지 않는다. 주변 인물들이나 사물을 의인화하여 그 대상과 직접 대화하거나 그 대상이 되어봄으로 인해 "역지사지"를 제대로 깨닫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피터는 겉모습만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다른 아이들보다 느리고 멍해 보일지라도 자신의 몽상을 거쳐 더 깊고 더 좋은 해결책을 찾아나간다.



초등 고학년 정도의 아이들도 재밌게 읽을 수 있겠지만 <학교에 간 사자>를 재밌게 읽은 아이들이라면 중학년도 충분히 즐기며 읽을 수 있다. 피터의 몽상 자체를 즐길 수도 있겠지만 그 몽상을 통해 어떻게 성장해 나가는지까지 읽어낼 수 있다면 금상첨화!

피터의 기묘한 몽상

이언 매큐언 지음
아이세움 펴냄

3일 전
0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좋은 책을 만나면 이 책을 쓴 작가가 누구인지 궁금하게 되고 그 작가의 책을 계속 따라 읽게 되는 것 같다. <어떻게 지내요>를 읽은 후 시그리드 누네즈라는 작가가 각인되었고 그 이후 <친구>는 그녀의 세 번째 읽는 작품이다. 작가 소개를 보면 시그리드 누네즈가 이름을 알린 첫 작품은 <A Feather on the Breath of God>이라고 하는데 국내 번역 작품으로는 찾아볼 수가 없어 안타깝다. 이후 <친구>로 2018 전미 도서상을 수상했다고 하고 기 이후의 두 작품을 내가 먼저 읽어본 것 같다.



개인적으론 처음 읽었던 <어떻게 지내요>가 작가의 특성을 잘 드러낸 작품이 아닌가 싶다. 작가의 책을 읽다 보면 작가가 가장 관심있어 하는 주제가 "삶과 죽음"이라는 것을 알게 되는데 <어떻게 지내요>가 그 주제를 가장 편안하고 심층적으로 다루고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반면 <친구>는 무척이나 실험적인 작품이다.



1인칭 화자가 친구의 죽음으로 인한 상실감을 그 친구에게 보내는 형식인 <친구>는 하지만 그 친구의 의미가 비단 그 한 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독자는 이 편지를 읽어나가며 화자에게 어떤 일이 일어났고 어떤 생각을 하며 어떤 관계를 맺어가는지 추측해야 한다. 그러니 결코 쉬운 글은 아니다. 하지만 이 과정 자체가 하나도 장애가 되지 않을 정도로 책의 내용은 사유가 깊다.



"나"와 죽은 이는 한때 잠깐 연인이기는 했으나 이후 계속해서 친구로 지냈다. 하지만 단순히 친구라는 이름으로 부를 수 있을까 싶을 정도로 두 사람은 끈끈한 관계를 이어왔고 그의 부인들에게 시기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대부분은 이런 관계를 이해하지 못할 것이므로. 그런 그가 자살을 했다. <친구>에서 "나"는 자살한 나의 친구에게 그동안 자신과 그가 나눈 이야기들, 주변의 상황, 나의 일상적인 이야기에서부터 자신의 쓰는 작품의 이야기와 깊은 고민까지 두서없이 적어나간다. 여기에 하나 더. 그가 죽은 후 세 번째 부인에게서 떠맡게 된 아폴로라는 그의 개와의 일상까지. "나"는 마치 남편을 잃은 듯한 상실감에서 이 아폴로와의 동거를 통해 조금씩 안정되어 가지만 이미 나이가 많은 아폴로와의 이별도 차차 생각해야 한다.



두 친구는 작가이며 교수다. 문학계에 대한 많은 이야기와 서로 나눈 작품들이 시도때도 없이 등장한다. 이런 이야기들을 읽는 기쁨이 크지만 무엇보다 죽은 사람과 죽음을 곧 맞이해야 하는 상황, 더불어 "죽음"이라는 것 자체를 바라보는 시각까지 여러 생각을 함께 하게 된다. 역시 좋은 작가다.

친구

시그리드 누네즈 (지은이), 공경희 (옮긴이) 지음
열린책들 펴냄

1주 전
0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이 얇은 책을 읽겠다고 도서관에서 얼마나 연장을 했는지~ 다 읽고 나니 허무함~ 한가득 ㅋ



뭐, 재미가 없는 건 아니었는데

주인공의 사랑에 대한 설렘, 기다림, 운명론에 공감하기엔 내가 음~ 늙어버렸다는 거 ㅎㅎ



여주인공 콩스탕스는 에밀 아자르, 로맹 가리를 사랑한다. 그의 모든 책을 구해놓고 아껴 읽는 중. 하지만 작가는 이미 세상에 없으므로 언젠가 그의 책을 더 읽을 수 없다는 사실에 절망 후 다른 작가도 찾아보기로 하고 도서관에서 여러 책을 대여한다. 그러다 발견한 밑줄. 콩스탕스는 자신에게 보내는 메시지라고 생각하고 운명의 그를 찾기로 한다.



나도 한때는 사랑에 대한 이런저런 로망을 가졌더랬다. 중학교 시절 순정 만화를 보며 말이다. 하지만 이미 20대에는 그런 로망을 가졌던 것 같지 않다. 역시 극T는 어쩔 수 없는가~ㅋ



아마도 <밑줄 긋는 남자>는 그것을 깨달아가는 과정을 담은 책이 아닌가 싶다. 책이나 영화, 상상 속의 인물과 사랑에 빠질 수 없다는 사실을. 그래서 허무맹랑한 소설들보다는 좋았다.

밑줄 긋는 남자

카롤린 봉그랑 지음
열린책들 펴냄

1주 전
0

에버네버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