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팔로우
워더링 하이츠(리커버)의 표지 이미지

워더링 하이츠

에밀리 브론테 지음
을유문화사 펴냄

어릴 적 동화책에서 소설책으로 넘어가는 단계에서 가장 좋아했던 책은 <제인 에어>였다. 작가 소개를 읽다가 브론테 자매를 알게 되고 이어 <폭풍의 언덕>을 읽었지만 <제인 에어>만큼 흥미롭지도, 재미있지도 않았다. 아마 이제 막 중학생이 된 나에게는 너무 어려운 작품이었을 것이다.



<워더링 하이츠>는 그 시절 내가 읽던 <풍풍의 언덕>이다. "워더링 하이츠"를 직역하면 바람이 휘몰아치는 언덕이 되고 실제 이 집을 설명하는 록우드를 통해 "높은 언덕에 자리 잡고 있어서 폭풍우가 몰아치면 대기의 소요에 그대로 노출됨을 이르는 말"(...11p)의 사투리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본문을 읽다 보면 워더링은 그저 집의 이름인 것을 알게 된다. 이전부터 을유문화사에서는 <폭풍의 언덕>을 <워더링 하이츠>로 출간했음을 알고 있었는데 이번에 여성 문학으로서 새로운 옷을 입고 아름다운 판형과 표지로 만나게 되었다.



사실 <워더링 하이츠>는 가슴 아픈 사랑을 쫓는 히스클리프로 많이 알려져 있다. 애절한 사랑 이야기에서 빠지지 않는 작품인데도 불구하고 내가 예전에 읽었던 느낌은, 그저 으스스하고 기분 나쁜 그 자체였다. 이제 나이도 먹을 만큼 먹었고 세상을 좀 알 만한 나이가 되었으니 나도 이 사랑을 이해할 수 있을까... 싶었지만 이 책을 붙잡고 무려 2주 이상을 읽었던 걸 보면 예전의 내가 엉망으로 읽은 건 아니구나, 싶었다.



<워더링 하이츠>는 사랑 이야기가 아니다. 그것을 사랑이라고 우긴다면 그저 오만하고 이기적인 한 남자의 스토커적 집착이라고 하겠다. 그보다 이번 독서를 통해 눈에 띄었던 건, 각 인물에 대한 묘사와 그보다 더 큰 숲을 이루는 린턴 가와 언쇼 가의 대립 구조였다. 하나는 언덕 아래, 하나는 언덕 위에 자리잡은 이 두 가문엔 어린 두 남매가 있고, 여기에 린턴 가의 아버지가 여행 후 히스클리프를 데려오며 이 처절한 비극의 서막이 시작된다.



이 커다란 구조 속에 내 눈에 들어온 건 19세기 여성들의 삶이었다. 소녀에서 여인으로 자라며 자신의 분신과도 같이 여겼던 히스클리프와의 결혼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닫고 현실적인 선택을 하는 캐서린 뒤에는, 그녀의 말 일부만 듣고 뛰쳐나가 복수를 계획하는 히스클리프가 있었고 그저 찰나의 사랑에 속아 결혼을 했지만 곧 현실을 보게 된 이사벨라 또한 자신의 위치에서 최선의 선택을 한다. 반면 유약한 에드거나 자신의 삶을 놓아버린 힌들리, 사랑이라고 우기며 복수만을 꿈꾸는 히스클리프는 너무나 독단적이고 이기적인 남자들이다. 여성들은 아들이 있어야 아버지의 유산을 받을 수 있고, 자신의 결정이 언제라도 남자들에 의해 뒤집어질 수 있음을 거침없이 보여주는 작품이 <워더링 하이츠>인 것이다.



다시 브론테로 돌아가서 브론테 자매는 어떻게든 자신들의 위치에서 스스로 자립하려고 했던 인물들이다. 어릴 적부터 황야와 바람을 맞으며 자신들끼리 의지했던 이 자매들은 이야기를 꾸며내고 아버지의 서재를 샅샅이 훑으며 자라왔다. 하지만 이 시기 한 여성으로서 홀로 설 수 없었음은 어쩌면 그들에겐 너무나 큰 짐이 아니었을까.



앤 브론테의 <아그네스 그레이>나 샬롯의 <제인 에어>, 에밀리의 <워더링 하이츠> 모두 그런 자립적인 여성의 모습을 보여주려 하고 있다. 하지만 그 무엇보다 현실을 그대로, 타협하지 않고 보여주는 작품은 <워더링 하이츠>임이 분명하다.
2024년 3월 16일
0

에버네버님의 다른 게시물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단순히 "책"이라는 글자가 책 제목에 들어갔다는 이유만으로 고른 책.ㅎㅎㅎ 평생 나는 내가 J인 줄 알고 살았는데 요즘 하는 행동을 보면 사실 난 P였나보다...하는 생각이 자주 든다. ㅋㅋㅋ



장 폴 뒤부아라는 작가는 그저 우리 집 책장 어딘가에 꽂혀 있는 책 <타네씨, 농담하지 마세요>(분명 읽었다고 생각했는데, 서평을 찾아보니 없다.ㅠㅠ 아마 안 읽었나보다) 때문에 기억하고 있던 작가다. 또 <프랑스적인 삶>(이 책도 있음. 아직 안 읽음)도 있다. 어쩌다 이 작가의 책을 세 권이나 갖게 되었는지는 생각나진 않지만(10년 넘게 사 모은 책, 이제 구매는 줄이고 소비-독서를 열심히 하는 중) 세 권이나 갖고 있다면 분명 이 작가에게 흥미가 있을 터. 하지만 막상 읽어내려가기 시작하자 생각했던 내용과는 너무나 다른 내용이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미있기 때문에 계속 읽어내려간다.



그러니까 이 책의 주인공은 중년의 남자다. 책 나부랑이를 쓰고 있지만 신통치 않고 그저 지금까지 어영부영 살아온 느낌이다.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부인과 그쪽 집안에 의해 철저하게 무시당하고 이혼한 후에도 정착하고, 안정적인 삶이 아닌 무언가 붕~ 뜬 것 같은 말하자면 아직도 정체성을 찾지 못한 한 남자의 이야기다.



그런 자신을 대하는 주변의 사람들, 스트레스가 쌓여 몸으로 증상을 보내기 시작하는 자신에게 무언가 새로운 터닝포인트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나'는 아버지가 일 년에 한동안은 낚시하러 떠나셨던 장소, 또한 아버지가 돌아가신 장소로 찾아가보기로 한다.



"이제 막 책 한 권을 끝냈다. 책을 쓰는 동안이나마 나는 살아 있는 사람들은 물론 이미 죽은 사람들과도 가까워질 수 있었다."...248p



맞서기 두려웠던 마냥 피할 수는 없다. 언젠가는 맞서 이겨내야 한다. 그리고 그 과정은 쉽지 않다. 책 한 권 속에서 가장 강렬했던 숲을 통과하는 과정이 주인공에겐 바로 그 과정이 아니었을까 싶다. 비록 목숨을 내놓고 한 행동이었기 때문에 너무나 무모했지만. 끝이 좋으니 다 좋은 걸로. ㅎㅎ

이 책이 너와 나를 가깝게 할 수 있다면

장폴 뒤부아 지음
밝은세상 펴냄

1일 전
0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에버네버님의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 게시물 이미지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

파울로 코엘료 지음
문학동네 펴냄

읽었어요
1주 전
0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에버네버님의 이 책이 너와 나를 가깝게 할 수 있다면 게시물 이미지

이 책이 너와 나를 가깝게 할 수 있다면

장폴 뒤부아 지음
밝은세상 펴냄

읽었어요
1주 전
0

에버네버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