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호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성호

@goldstarsky

+ 팔로우
아주 오래된 농담 (개정판)의 표지 이미지

아주 오래된 농담

박완서 지음
실천문학사 펴냄

수십년 세월을 무색케 하는 순간이 있다. 종합병원 내과 교수로 오십을 바라보는 영빈에게도 불쑥 그런 순간이 찾아왔다. 현금이었다. 초등학교 6학년, 졸업하고는 만나본 적 없던 그 계집애가 진료실 문 밖에서 저를 기다리고 있었다. 영빈은 너무 놀라 네가 나를 기다렸다니 하고 말했다. 현금이는 내가 너를 왜 기다리냐며 깔깔 웃어댔다. 심 교수로 통하던 그에게 야 영빈아 하는 것이 꼭 그대로 현금이었다.

현금은 이혼녀였다. 적잖은 재산을 받아 나온 현금은 혼자서 남부러울 것 없이 살고 있었다. 영빈은 제 자리를 찾아가듯 현금의 곁으로 간다. 수십년 만의 재회가 얼마나 뜨겁고 열렬했던지 그들의 만남을 따르는 내내 나는 나보다도 영빈과 현금이, 그리고 이를 적어내려간 박완서가 훨씬 더 젊다고 느껴졌다.

일흔이 되어 이 장면을 쓴 박완서는 대체 얼마나 정력적이고 열정적인 작가인지 나는 좀처럼 믿을 수가 없었다.

소설은 위선과 허영, 천박함에 대한 풍자로 이어진다. 재벌가 며느리가 겪는 고난이나 아내를 속이며 애인과 밀회를 즐기는 성공한 의사의 태도, 또 그 주변 사람들의 내밀한 사정따위가 하나하나 드러나며 인간이 얼마나 나약하고 보잘 것 없는 존재인지 까발려진다.

그 가운데는 우리네 삶 가운데서 크고 작게 겪어봄직한 이야기가 없지 않고, 또 이런 이야기가 있었다면 어디서나 입방아찧어지고 조리돌림 당할 만한 것이어서 박완서의 솜씨가 아니었더라도 누구나 흥미롭게 읽을 만한 것이다. 때문에 이 이야기에 대하여 <아주 오래된 농담>이란 제목이 붙은 데도 아주 이유가 없는 건 아니다.

수많은 지점에서 생각할 거리를 던지는 작품이지만 그래도 한 가지 주된 주제를 꼽자면 역시 허위의식에 대한 게 아닐까 싶다. 환자에게 병을 숨기는 것이나 아내에게 제 마음을 숨기는 것, 가정의 불안을 외면하는 것, 몰래 딸을 지우고 아들을 낳으려 하는 것, 죽음 앞에 돈을 두고 전전긍긍하는 것 등은 모두 허울만 좇다 본질을 놓치고 심지어 적극 훼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자극적인 쾌락이며 이익만 좇으면서도 겉으로는 품위 있는 척 하는 인간들의 보잘 것 없음을 낱낱이 까발리는 이 소설의 솜씨는 과연 오늘의 현실을 향하여서도 오래된 농담이라 부를 만한 것이었다고 하겠다. 소설의 마지막 장을 덮은 뒤 우리는 돌아볼 밖에 없다. 우리는 과연 얼마나 진실한가를, 우리는 정말로 얼마만큼 인간다운지를.
2024년 3월 25일
1

김성호님의 다른 게시물

김성호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성호

@goldstarsky

PD의 시선에서 방송국을 대하며 느낀 점을 풀어간다. 방송사 안의 이야기를 좀처럼 들을 기회 없는 일반 독자에게 신선한 대목이 얼마쯤 있고, 또 어느 것은 각자의 일터에서 느낄 법한 고민처럼 공감이 가기도 한다.

저자 오학준은 12년 간 SBS 교양국에서 근무해온 이다. 그는 이 책을 '실패담'이라 명명한다. '딱히 기억에 남는 프로그램을 만들지도 못했고, 화제가 될 만한 취재를 해낸 적도 없'기 때문이란다. 그러고 보면 연예인보다 더 유명한 PD들의 이야기가 다른 세상 일인 것만 같다.

오학준의 글은 성공하지 못한 평범한 PD의 것이다. '여러 프로그램을 메뚜기 뜀뛰듯 돌아다녔'고 '내가 저널리스트인가? 오래 갈팡질팡했'으며, 여전히 '뾰족한 답은 없'는 방송국 아웃사이더, 그러나 바로 그러한 이유로 더 잘 보이는 무엇도 있는 법이다. 이 책엔 그런 내용이 담겨 있다.

오학준의 주변

오학준 지음
편않 펴냄

14시간 전
0
김성호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성호

@goldstarsky

80년 광주에 대한 기록을 찾아보았거나, 또 그를 다룬 다른 작품을 접한 적 있는 이에겐 새로운 내용이 많은 책이 아니다. 책이 담고 있는 많은 부분을 이미 다른 작품, 이를테면 극영화와 다큐, 소설들이 수차례에 걸쳐 더 직접적이며 본격적으로 다룬 바 있기 때문이다. 소설의 주요한 특징인 다양한 입장에 놓인 이들에게 서사를 부여하는 작업 또한 새롭다 할 만한 것은 아니다. 그 또한 역사적 비극을 다루는 지극히 일반적인 설정이며 작업이기 때문이다.

공들여 다시 읽은 시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한강의 작품에 깊이 공명했다 말할 수는 없겠다. 그러나 새로이 보이는 건, 또 <소년이 온다>를 건너 <작별하지 않는다>에 이르기까지 한국사의 비극이며 국가적 폭력이 남긴 파장에 대하여 외곽부터 섬세하게 다가서는 민감한 감수성이 한국 문단에 필요했단 점일 테다. 그 이상은 솔직히 잘 모르겠다.

소년이 온다

한강 지음
창비 펴냄

1일 전
0
김성호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성호

@goldstarsky

맥락이 거세된 공정에 집착하고, 경쟁에 따른 성과에 호의적이며, 페미니즘에 발작적으로 대응하는 집단이 이대남의 정체성으로 제시된다. 그 원인으로 지목된 건 '남성 마이너리티', 사상 최초로 젊은 남성 집단이 스스로를 차별받는 약자로 여긴다는 진단이다. 살피자니 과연 그럴 법도 하단 생각이 절로 드는 가운데, 이대남을 한심하게 여기는 저자들의 오만한 태도와 해석이 은근히 비어져나와 마음을 불편케 한다.

생각할수록 이대남의 피해의식을 마땅한 결과라 여기게 된다. 그러나 어느 세대라고 스스로가 사회적 과실을 누렸다며 감격해할까. 전쟁을 겪은 이들과 전후세대, 독재와 투쟁한 586, 지난 시대 불평등을 감내해온 여성들까지 모두가 저마다의 짐을 지고서 버텨온 것이 바로 이 세상이다. 사회적 자산은 유한하고 성장동력은 꺾여버린 암울한 환경 가운데 시시한 문제에 분노하는 여유없는 세대의 등장이 꼭 한국의 미래인 것만 같아 한숨만 난다.

20대 남자

정한울 외 1명 지음
시사IN북 펴냄

2일 전
0

김성호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