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 팔로우
장하준의 경제학 레시피 (마늘에서 초콜릿까지 18가지 재료로 요리한 경제 이야기)의 표지 이미지

장하준의 경제학 레시피

장하준 지음
부키 펴냄

읽었어요
경제가 이렇게 쉬울 줄이야.
쉽게 쓰려고 최선을 다한 책 같다.
모든 장은 요리의 재료 이야기로 시작된다. 이건 요리 책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 때 본격적으로 경제 이야기가 나온다.
경제에 관심이 있으나 섣불리 다가가기 어려웠던 분들이라면 이 책은 끝까지 볼 수 있으실 듯. 각 장마다 최소 여러 페이지는 음식 이야기로 훌훌 넘어가니 이렇게 쉽게 넘어가는 경제학 도서가 있었던가.

장하준은 어떤 마음으로 이렇게 쉬운 책을 썼을까?
목적은 대중에게 경제를 알리려고.
대중이? 경제를? 왜?
그야 투표를 해서 정치인을 선출하는 사람들이 대중이기 때문이다. 글의 앞머리에서 정책의 중요성을 얼마나 강조하는지 모른다. 정책은 어떤 주의나 도덕, 사상(청교도 윤리, 유교 등)보다 훨씬 효과가 뛰어난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현재 보수 진영이 강조하는 신자유주의는 실제로 과거에 남미와 아프리카의 개도국들을 수렁으로 빠뜨렸고, 미국과 영국조차 무역 초기엔 강한 보호무역을 펼쳤다. 아시아는 나름 대처를 잘 해서 피해를 크게 입지는 않았다. 경제 발전 과정에서 보호 무역은 필수다.
그외 인프라도 중요하고 미래 먹거리도 중요하다. 미래에도 지속가능한 삶을 위해 어떤 정책을 중시해야 할지까지 다양한 주제가 음식 이야기로 시작한다.

음식에 대한 지식도 넓히고 경제 지식도 넓히는 여러 모로 이로운 책이다.
2024년 5월 17일
0

새벽빛님의 다른 게시물

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 새벽빛님의 어른 게시물 이미지
📚 나는 내가 되고 별은 영원히 빛나고
잠들지 않는 꿈을 꾸고 있어
바보같은 나는 내가 될 수 없단 걸
눈을 뜨고야 그걸 알게 됐죠

나는 내가 되고 별은 영원히 빛나고
잠들지 않는 꿈을 꾸고 있어
바보같은 나는 내가 될 수 없단 걸
눈을 뜨고야 그걸 알게 됐죠

☕️ 드라마 <아저씨>의 OST인 <Grown Up> 가사를 그림책으로 펴냈습니다. 짙푸른색이 쓸쓸하기도 하고 빛나기도 합니다. 이 그림책을 보면서 과거 힘들었던 나를 다시 마주합니다. 힘내라는 응원도, 잘 할거라고 믿는다는 말도 아닌, 그저 쉬어가라고, 스스로를 얼마나 사랑하고 있는지 생각해 보라고 말해 주렵니다.

그때 외롭고 힘들어했던 그 아이를 안아주면서.

https://m.blog.naver.com/snoopy701/224006872042

어른

서동성 외 1명 지음
언제나북스 펴냄

읽었어요
6시간 전
0
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 새벽빛님의 너는 나의 모든 계절이야 게시물 이미지
  • 새벽빛님의 너는 나의 모든 계절이야 게시물 이미지
  • 새벽빛님의 너는 나의 모든 계절이야 게시물 이미지
  • 새벽빛님의 너는 나의 모든 계절이야 게시물 이미지
📚 "너는 깊은 숲속의 꽃처럼 귀한 아이야. 엄마의 웃음이고 엄마의 빛이야."
"나는 깊은 숲속의 꽃처럼 귀한 아이야. 엄마의 웃음이고 엄마의 빛이야."

📚 "너는 엄마의 꽃이고 가시야. 너는 엄마의 사랑이고 엄마의 눈물이야."
"나도 모르겠어. 내 마음은 환하기도 하고 어둡기도 해. 설레기도 하고 두렵기도 해."

📚 "네가 떠나면 내 마음은 캄캄한 밤이 되겠구나."
"엄마, 엄마의 빛을 찾아요. 어둠 속에 숨어 버린 엄마의 별을 찾아요.
두 개의 별빛, 어둠 속에서 서로를 위해 빛날 수 있도록…."

☕️ '엄마' 하면 어떤 감정들이 떠오르나요?
사랑과 희생, 어쩌면 미움이나 원망이 떠오를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렇다면 아이를 기르는 엄마(또는 아빠 등 주양육자)는 어떤 마음일까요?

한없이 사랑스럽고 소중한 마음으로 아이를 돌보지만 그 과정이 순조롭기만 하지는 않습니다. 아이는 자라면서 주관이 생기고 비밀이 생기고 엄마와 갈등도 생깁니다. 점점 아이 눈을 마주하고 이야기할 때보다 뒤통수에 대고 이야기하게 되고요, 뒤통수가 따가운 아이는 방문을 닫고, 더 크면 현관문을 나갑니다.

그런 아이를 우두커니 바라볼 수밖에 없는 엄마는 또 어떤 마음일까요. 어떤 마음이어야 할까요.
사랑이란 무엇일까요.

✒️ 사랑이란, 배워야 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내가 모르는 것, 나와는 다른 것, 내게는 맞지 않는 것까지 차이를 확인하고 이해하는 과정 말입니다.(-유혜율 작가)

https://m.blog.naver.com/snoopy701/224003990589

너는 나의 모든 계절이야

유혜율 (지은이), 이수연 (그림) 지음
후즈갓마이테일 펴냄

읽었어요
2일 전
0
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마녀의빵 #오헨리
오 헨리가 쓴 <마녀의 빵>의 주인공은 동정심이 가득한 따뜻한 마음의 40대 여성으로, 빵집을 운영한다. 자주 찾아오는 손님 중에 낡은 옷을 입었지만 말쑥하고, 예의도 깍듯한 남성이 있다. 그는 언제나 오래되고 딱딱한 빵만 사 간다. 그의 손에 갈색 잉크가 묻어 있는 것을 본 마사는 그가 가난한 화가일 것이라고 짐작한다.

📚 '흔히 천재들은 인정받기 전에는 고생하며 발버둥치기 마련이지. 만약 저 천재가 후원을 받는다면 예술과 원근법에 얼마나 좋은 일일까.'(...)
그는 마사 양이 건네는 기운이 북돋는 말들을 간절히 바라는 것 같았다.(-102쪽)

마사는 가난한 그 남자를 위해 어느날 몰래 빵 사이에 버터를 끼워 건네주었다. 하지만 나중에 그 남자는 화가 어찌나 많이 났는지, 안경 너머 푸른 눈을 이글거리며 소리질렀다.

📚 "이 말은 꼭 해 줘야겠어. 주제도 모르고 참견해대는 이 늙은 고양이야!"
(...)
"저 분은 새 시청 설계도면을 그리느라 석 달 동안 열심히 작업했어요. 공모전 수상이 걸려 있었거든요. 어제 막 도면 잉크 작업을 끝냈어요. 아시겠지만 제도사들은 항상 처음에는 연필로 도면을 그려요. 그러다 잉크 작업을 끝내고 나면 딱딱하게 굳은 빵 부스러기를 문질러서 연필 선을 지워 버리지요. 그게 고무지우개보다 낫거든요.
블룸베르거 씨는 줄곧 여기서 빵을 사셨어요. 그런데 오늘.... 글쎄, 아시겠지만 부인, 원래는 버터가 없는... 어쨌든 블룸베르거 씨의 설계도면은 이제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어졌답니다. 조각조각 잘라서 기차에서 파는 샌드위치 포장지로나 쓰면 모를까요."(-105쪽)

마사가 선의로 끼워 주었던 버터는 남자의 설계도면을 엉망진창으로 만들어버린 것이다.

☕️ #소통 #진정한배려
누군가를 돕고 싶은 마음에 상대방의 의사를 묻지도 않고 어떤 일을 했을 때, 예상치 못한 피해를 주기도 한다. 마사가 그에게 미리 '오늘은 서비스로 빵 사이에 버터를 끼워 드리고 싶은데 괜찮을까요?'라고 물었다면 어땠을까?
먼저 묻더라도 거절하기 어려운 관계도 있다. 선의로 주는 선물을 거절하면 실례가 될까 싶은 마음에 거절할 수 없다. 그냥 받아와서 버린다. 그리고 다음에도 주면 받아와서 버린다. 버리는 마음도 좋지 않다. 이 문제를 끝내는 방법은 하나다. '소통'. 당당하지만 무례하지 않게 느껴지는 말하기 기술을 익혀 보자. 처음에만 어렵다. 용기를 조금만 내 보자. 숨통이 트일 것이다.

오 헨리 단편선

오 헨리 지음
민음사 펴냄

읽고있어요
6일 전
0

새벽빛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