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하영님의 프로필 이미지

송하영

@sola

+ 팔로우
그러라 그래 (양희은 에세이)의 표지 이미지

그러라 그래

양희은 (지은이) 지음
김영사 펴냄

읽었어요
📕24#21 그러라 그래

2024.08.08~08.12
⏩️시간이 지날수록 타인을 이해하고 마음의 넓이가 커지는. 어른.

연예인이라고 시간 앞에서 다를 것은 없다. 똑같이 늙어가고, 삶의 여러 변수들을 마주한다.
어쩌면 얼굴과 삶이 알려졌기에 더 혹독하고 불편한 삶을 살아가야 할 수도 있다. 맘편히 길거리를 다니는 것도, 좋아하는 대중탕을 이용하는 것도, 지인을 편하게 만나는 것도 쉽지 않을 수 있다.

"그러라 그래"라는 밈이랄까..? 개그맨 김영철 씨나 송은이 씨가 종종 성대모사를 해서 이 말은 잘 알고 있었지만, 양희은 씨에 대해 잘 알지는 못했다. 그녀의 삶의 풍파를 들으며 고단한 삶 속에서 모나지 않게 살아보려 애 쓰셨구나 느낄 수 있었고, 인간으로서 점점 성장하는 모습이 좋았다.
나는 이미 어른 (나도 어른이지만)이 계속해서 더 나은 사람이 되는 모습이 너무 좋다. 앞으로 나 역시 그럴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 사십 오십 육십에도 깨닫고 배우는 것이 있고, 새롭게 느끼는 것이 있다? 나 역시 그럴 수 있을 것 아닌가!
양희은 씨 역시 해외여행을 가서도 한국 반찬을 싸다니는 어른들을 이해하지 못하기도 했지만, 시간이 흘러 그런 모습도 이해하게 되는 소소함부터 삶의 여러 방식과 가치관을 받아들여줄 줄 아는 마음밭을 나도 가꾸고 싶다.

<여자라고 주례 서지 말라는 법 있나> 부분이 인상적이었다.
"우리가 평생 함께 살아간다는 약속을 지키면서 궂은 일도 마음 열고 봐주고, 그 사람을 있는 그대로 봐주는 게 제일 필요한 일일 거예요. 내 식대로 사람을 고치려 들지 마세요. 평생의 반려자는 하늘이 주신다고 합니다. 혼자 살 때도 그럭저럭 괜찮았다면 둘이 합쳐 살면서 두 배 넘게 좋아야겠지요. 하지만 모난 돌이 자갈이 되도록 깎이는 결혼생활은 개인적이고 은밀한 인격의 훈련장일 수도 있겠습니다. 거친 세파 속에서 새로운 둥지를 틀고 서로를 아끼며 위로하는 애틋함으로 바깥 세상의 험난함을 이기고 안으로는 양쪽 집 식구들을 위하고.... 이 세상에 단 하나밖에 없는 바로 그 사람을 만나, 누구도 모를 둘만의 조화를 이루며 무엇보다도 영혼이 평안하다면 그게 제일 축복입니다. 두 분 열심히 살며, 서로 참아주고, 용서하시기를....."

기혼자로서 들어도 참 좋은 말이었다. 비교적 어린 나이에 육아를 감당하면서 주변 싱글 친구들의 삶을 부러워하기도 하는 나는, 지고 있는 책임이 무거워 혼자 살 때가 자유로웠고 개방적이었고 더 표현할 수 있었고 더 예뻤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남들보다 일찍 삶의 2막을 시작한 것이 좋기도 하면서도 말이다. 신랑도 당연히 마찬가지일 것이다. 육아의 무게, 가장의 무게, 부동산 문제로 이렇게 삶이 고단하게 될 줄을 4년 전에 그가 상상이나 해보았으려나. 힘들기는 그가 곱절은 더 할 것이다. 혼자 잘 살았다면 둘이서는 더 좋아야한다는 말에 '지방 출신 우리가 각박한 서울에서도 혼자 잘 살아왔는데, 둘이서는 두 배 넘게 잘 살아봐야지!!' 주먹에 불끈 힘을 주게 되었다. 둘이 살기에 서로 맞춰가야 할 부분이 여전히 있지만.. 더 둥그렇고 좋은 사람이 되고, 서로에게 더 맞는 사람이 된다고 생각하며 무엇보다 신랑을 아껴줘야겠다는 생각이다. 그는 나보다 날 더 생각해주고 아껴주니까. 우리가 함께 하기로 한 약속을 기억하며 그 약속이 우리를 지켜주는 것을 믿으며 두달 있으면 넷이 될 우리 가족을 잘 꾸려가야겠다.
0

송하영님의 다른 게시물

송하영님의 프로필 이미지

송하영

@sola

  • 송하영님의 완벽한 부모는 없다 게시물 이미지

완벽한 부모는 없다

폴 트립 (지은이), 김윤희 (옮긴이) 지음
생명의말씀사 펴냄

읽었어요
2주 전
0
송하영님의 프로필 이미지

송하영

@sola

📘25#15 완벽한 부모는 없다

2025.05.17~06.15
⏩️분노의 순간은 곧 은혜의 현장, 가르침의 기회

✅느낀점
완독하기까지 한 달 걸렸다. 손이 잘 안 갔던 이유는...
책에서 권고하는 대로 살지 못해서, 정답과 현실의 간극을 채워주는 비법은 없어서랄까?
내 상황을 너무 잘 이해하고 있다곤 느껴졌지만, 그렇다고 "이럴 땐 ~~~게 해보세요."라는 말이 없었다. 그저 내가 받은 하나님의 은혜와 자비를 상기하며 자녀에게도 똑같이 해줄 것을 이야기한다. 우리는 잠시 자녀를 맡은 대사라고. 복음이 양육의 전 과정을 관통하는 핵심이긴 하지만 뜬구름잡는 소리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그 복음이 우릴 이끄는 경지에 이르기엔 너무 부족해서 "이렇게 무거운 책임을 질 줄 알았다면 부모 안 했을 거야!"라는 생각마저 들 정도였다. 그래도 내가 이 따위지만, 완벽한 부모되시는 하나님을 의지할 수 있다는 사실에는 감사하게 되었다. 내 안에서 무슨 좋은 것을 찾겠는가, 날 부르신 하나님을 기억하고 안식을 찾을 수 밖에.

1. 하나님이 실수로 날 부모로 선택하신 것이 아니라, 내가 자녀의 영혼을 형성하는 도구로 사용되는 것이 그 분의 뜻이다. 부모를 가장 가치있게 만드는 일은 자녀에게 끊임없이 하나님에 대해 말해주는 것이다.

2. 자녀는 양과 같이 목자가 필요하다. 그들은 의존적일 수 밖에 없고, 그 필요를 채우기 위해 하나님께서 날 부르셨다. 온유솜이 날 필요로 할 때 짜증내지 말자. 잃어버린 자에게는 분노, 처벌, 협박은 의미가 없고 오로지 자비와 돌아오기를 간절히 바라는 부모가 필요하다.

3. 나의 권위는 대사로서의 권위로 날 보내신 이를 대시할 때만 내 권위의 효력이 있다. 즉 나는 하나님의 얼굴, 말투, 손길을 대신하고 있는 셈이다.

4. 하나님은 내가 온유와 실랑이할 때, 반복되는 일상으로 지칠 때, 등원시킬 때 등 모든 순간에 나와 함께 하신다. 하나님도 내가 온유솜을 잘 키우려고 애쓰듯이 날 잘 길러내려고 애쓰신다. 사실 온유솜은 그저 촉발요인 정도이고, 진짜 문제는 나에게 있다. 나를 죄에서 해방시킬 수 있는 건 오직 예수님의 은혜밖에 없다. 나도 은혜가 필요한 죄인이다. 억울할 것도 없다!! 하나님은 나의 원죄를 용서하는 것으로 만족하지 않으시고, 끝없이 날 변화시키신다.

5. 예수님께서 내가 부모로서 저지르는 실수와 실패에 대한 모든 값을 지불하셨다. 그래서 나는 실패하는 순간에 하나님이 진노하실까봐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용서받고 도움을 구하기 위해 그분께 달려가야 한다.

완벽한 부모는 없다

폴 트립 (지은이), 김윤희 (옮긴이) 지음
생명의말씀사 펴냄

2주 전
0
송하영님의 프로필 이미지

송하영

@sola

📘25#14 캔터빌의 유령

2025.04.30
⏩️이성의 미국가족과 감성적인 영국 유령의 대립

✅줄거리
애국심이 아주 강한 미국 대사 오티스 씨의 가족은 영국의 캔터빌이라는 오래된 성에 머물게 된다. 사실 그 성에는 몇 백년 동안 캔터빌 유령이 나타나 집에 사는 사람들을 놀래키곤 했다. 그런데 발전한 기술과 합리적 사고에 도취된 미국인 오티스 씨 가족은 유령을 전혀 신경쓰지 않는다. 오히려 유령을 만나도 이런 식으로 하라고 조언을 주거나, 쌍둥이 형제는 되려 유령을 골탕 먹이기까지 한다. 유일하게 막내딸 버지니아가 유령과 대화를 하게 되며 유령의 사연(아내를 살해한 뒤 유령이 되어 집에 갇히게 됨)을 알게 되었고, 유령이 평안히 안식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 캔터빌 성에도 평화가 찾아온다.

✅느낀점
제목때문에 공포 이야기이려나 긴장했는데, 유령을 유렵답지 않게 하대(?)하는 모습을 보니 공포 분위기는커녕 캔터빌 유령이 측은해지기까지 했다. 버지니아가 유령의 안식을 위해서는 그 죄 값을 대신 속죄할 희생이 필요했는데, 그를 위해 눈물을 흘려주고 희생한 점이 비현실적으로 느껴졌지만 작가는 진보하는 시대상에 비해 떨어지는 인류애, 인간성, 타인에 대한 관심 등을 제고하고자 했던 게 아닐까?캔터빌의 유령

2025.04.30
이성의 미국가족과 감성적인 영국 유령의 대립

줄거리
애국심이 아주 강한 미국 대사 오티스 씨의 가족은 영국의 캔터빌이라는 오래된 성에 머물게 된다. 사실 그 성에는 몇 백년 동안 캔터빌 유령이 나타나 집에 사는 사람들을 놀래키곤 했다. 그런데 발전한 기술과 합리적 사고에 도취된 미국인 오티스 씨 가족은 유령을 전혀 신경쓰지 않는다. 오히려 유령을 만나도 이런 식으로 하라고 조언을 주거나, 쌍둥이 형제는 되려 유령을 골탕 먹이기까지 한다. 유일하게 막내딸 버지니아가 유령과 대화를 하게 되며 유령의 사연(아내를 살해한 뒤 유령이 되어 집에 갇히게 됨)을 알게 되었고, 유령이 평안히 안식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 캔터빌 성에도 평화가 찾아온다.

느낀점
제목때문에 공포 이야기이려나 긴장했는데, 유령을 유렵답지 않게 하대(?)하는 모습을 보니 공포 분위기는커녕 캔터빌 유령이 측은해지기까지 했다. 버지니아가 유령의 안식을 위해서는 그 죄 값을 대신 속죄할 희생이 필요했는데, 그를 위해 눈물을 흘려주고 희생한 점이 비현실적으로 느껴졌지만 작가는 진보하는 시대상에 비해 떨어지는 인류애, 인간성, 타인에 대한 관심 등을 제고하고자 했던 게 아닐까?

캔터빌의 유령

오스카 와일드 지음
아르볼 펴냄

1개월 전
0

송하영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