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d님의 프로필 이미지

god

@godd

+ 팔로우
바른 마음 (나의 옳음과 그들의 옳음은 왜 다른가)의 표지 이미지

바른 마음

조너선 하이트 지음
웅진지식하우스 펴냄

간만에 독서의 즐거움을 느꼈다.

저자는 인간의 의사결정 과정을 코끼리 등에 올라탄 기수에 비유하는데,
여기서 코끼리는 인간의 감성과 직관을 의미하고, 기수는 인간의 이성을 뜻한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선택의 갈림길에서 코끼리(감성과 직관)가 90%의 영향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기수(이성)는 코끼리가 내린 결정을 논리적으로 옹호해주는 역할에 충실하다고 한다.

이것이 인간이 똥고집을 부리는 이유가 아닐까?

사길 나의 장인은 정치성향이 나와 완전 다르다.
그래서 정치적 사건이나 특정 정치인에 대한 태도도 언제나 극과 극을 달린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 그런 장인을 절대 이해할 수 없었다.
그저 구식 사고에 사로잡힌 고집 센 영감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 책을 읽은 후, 장인과 나 사이엔 삶의 중점을 두는 도덕관념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장인어른은 가족과 사회 공동체를 중시하고, 안전한 사회를 위해서는 개인의 희생도 필요하다고 보는 입장인 반면, 나는 지구촌에 사는 모든 사람이 직위고하를 막론하여 존중받고, 인간다운 삶을 살아야 한다는 데 더 큰 가치를 부여하는 듯 싶다.
물론 장인이 이런 가치를 전면적으로 부인하는 것은 아니고, 나와 우선순위가 다를 뿐이다.

저자는 이처럼 양극단을 달리는 것처럼 보이는 상반된 가치가 인류의 문명을 이만큼 일궈냈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러는 동안 경쟁에서 살아남은 다양한 도덕관념들이 우리의 DNA 속에 깊이 새겨져 있다고 한다.

난 저자의 말에 100% 동의 한다.

앞으로 타인을 이해하고, 허무맹랑해 보이는 상대방의 의견에도 적극적으로 귀를 기울여야겠다.

'자비의 원리'를 기억하자.
0

god님의 다른 게시물

god님의 프로필 이미지

god

@godd

내용은 어렵지 않은 것 같은데, 읽기는 힘들었다.

반복해서 읽은 문장들이 꽤 됐고, 의미 파악이 안 돼 그냥 건너 뛴 부분도 더러 있었다.

그럼에도 전체적인 글의 맥락을 파악하기가 어렵지는 않았다.

아무튼 이 책의 요지는 국가가 주도의 사회주의 계획경제는 그 특성상 개인의 자유를 박탈할 수 밖에 없고, 대다수의 국민을 노예로 만든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와 같은 주장의 근거로 공산주의 체제로 진입한 소련과 민족사회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전쟁을 일으킨 나치 독일의 사례를 드는데, 논리가 탄탄해 저자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 나는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같이 복지가 잘 되어 있는 국가의 모델을 가장 이상적이라 여겨왔기에 우리나라도 마땅히 그 길로 가야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 길이 그토록 어렵고 위험한 길인 줄은 전혀 예상치 못했다.

정부주도의 어쩌고 저쩌고…

뉴스를 보다보면 정말 많이 보게 되는 문구이다.

저자는 바로 이러한 말 속에 숨겨진 위험성을 경고하며 자유를 위해 경쟁은 필수라는 점을 강조한다.

앞으로 계획경제라는 거창한 구호 아래 경제부분을 독식하려는 정부나 정치세력이 있다면 필히 경계해야겠다.

노예의 길

프리드리히 A. 하이에크 지음
자유기업원 펴냄

1일 전
0
god님의 프로필 이미지

god

@godd

  • god님의 노예의 길 게시물 이미지

노예의 길

프리드리히 A. 하이에크 지음
자유기업원 펴냄

읽었어요
1일 전
0
god님의 프로필 이미지

god

@godd

맙소사!!!

무슨 소린지도 모른 채 글씨만 읽어 내려갈 땐 마치 초등학생이 되어 양자역학 논문을 읽는 기분이었는데, 이 책을 끝까지 읽다니…

어떻게든 들뢰즈의 심오한 철학을 이해하고 싶은 마음이 컸기에 버틴 듯싶다.

리좀, 기관없는 몸, 욕망, 생성, 내용과 표현, 기호, 탈영토화, 재영토화, 도주선, 코드화, 덧코드화, 홈 패인 공간, 매끈한 공간, 정주민, 유목민, -되기, 리코르넬라…

이처럼 낯선 개념들이 끊임없이 튀어나와 나를 고통스럽게 했지만 그저 묵묵히 시작도 끝도 없는 ‘천개의 고원’을 향해 한 발짝, 한 발짝 나아갔다.

만약 동영상 강의가 없었더라면 절대로 해내지 못 했을 것이다.

유튜브에서 찾아낸 훌륭한 교수님들의 강의는 이 책을 읽어 나가는데 있어 이루 말 할 수 없이 소중한 길잡이가 되어 주었다.

그렇담 내가 들뢰즈의 철학을 온전히 이해했다고 말할 수 있을까?

결코 그렇지 않다.

단지 ‘세상을 이런식으로도 바라볼 수 있구나!’ 하는 정도로 겨우 냄새만 맡은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책을 읽을 때 불현듯 이 책에서 배운 내용이 떠올라 해당 문장에 밑줄을 긋고 ‘탈영토화’, ‘재영토화’라고 끄적일 정도의 개념은 생겼다.

그러고 보면 책 읽는 시간이 무척 지루하고 고달팠지만, 세상을 바라보는 눈 하나를 더 얻게 된 데에는 결코 비할 바가 아닌 것 같다.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위계에 따라 구분지으며, 닮은 것 끼리 묶고 비교하는 수목형 눈만 가지고 있던 내게 세상은 절대 그렇지 않다고 알려준 들뢰즈와 가타리, 그리고 이를 알기 쉽게 설명해주신 여러 교수님들께 한 없는 고마움을 느낀다.

읽는 도중 포기했던 들뢰즈, 가타리의 전작 ‘앙티 오이디푸스‘를 조만간 재도전해 볼 생각이다.

천개의 고원

질 들뢰즈 외 1명 지음
새물결 펴냄

1주 전
0

god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