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팔로우
모비딕의 표지 이미지

모비딕

허먼 멜빌 지음
현대지성 펴냄

처음 1회독 때에는 2주라는 한정된 시간에 700여 페이지를 읽어야 했기 때문에 내 독서 스타일대로 읽지 못했다. 의미 파악은 커녕 그저 줄거리를 취합하는 데 급급했고 서평을 쓰기 위해 뒤쪽 해설을 열심히 읽었다는~ ㅋㅋ

이렇게 읽은 책들은 마음 한 켠에 차곡차곡 쌓인다.

언젠가 다시 읽고 말겠어~! 라고.



그래서 다시 시작!

느낌으로는 한 달도 넘게 읽은 것 같은데 찾아보니 10월 6일에 읽기 시작! 30일에 마쳤으니 약 25일이 걸렸다.

처음 열정 그대로 하나하나 열심히 읽지는 못했다.

특히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우영우라면 심취했을지 모르는 "고래학" 부분은 정말 절망스러워서 몇 번을 졸다 깨다 읽었는지 모른다. 이 고래학이 왜 이 소설에 필요한 것인가~ 생각하면서.



어쨌든~ 두 번째 읽은 모비 딕에선 구성이 보였다.

너무나 신기하게도 <모비 딕>은 기본적으로는 소설의 형식을 띠고 있고 그 위에 액자식 구성 같은 전해지는 이야기들도 많다. 그런가 하면 갑자기 연출이 가미된 희곡의 형식도 등장한다. 지문 안에 하나하나 지시하고 독백 처리 또한 훌륭하여 마치 영화를 보는 듯 느껴진다. 그리고 앞에 이야기 한 "고래학"과 같은 논문식 설명과 함께 구성이 이리저리 왔다갔다~. 그런데 이 형식을 파괴하는 구성이 하나도 어색하지 않고 아주 자연스럽다는 것.

형식이 그러다 보니 시점 또한 전지적 시점이었다가 1인칭 관찰자였다가 왔다갔다 하지만 그 또한 전혀 이상하지 않다. (해설을 보니 이런 구성은 스토리텔링의 사실성 확보를 위한 장치라고~)



이야기는 커다랗게 에이해브가 흰 고래 모비 딕을 쫓는 이야기지만 이 둘의 만남과 한판 대결로 가기까지의 과정이 더 중요해 보인다. 소설은 이 배에 탄 이들의 이야기에서부터 이 배가 항해하면서 만나는 다양한 배들과의 만남(점진적 구성을 띠며 앞으로 피쿼드 호가 어떻게 결말이 날지를 암시한다.), 또한 미친 것 같아 보이는 에이해브가 어째서 포기하지 않고 모비 딕을 뒤쫓는지에 대한 정당성 같은 것들이 담겨 있다.



무려 25일이나 걸려 읽어도 나는 이 책의 반도 이해하지 못한 듯 하다. 그나마 그리스 로마 신화를 좀 아는 덕분에 아주 조금 이해할 수 있었고 무신론자 중에서는 아마도 조금 성경을 알고 있는 덕분에 한 5% 정도는 또 이해한 것 같지만.... 무궁무진한 비약과 비유, 상징을 난 더이상 이겨낼 수 없다. 하.... 하.....하!



그래도 이번 2회독은 나름 재밌게 읽었다. 너무 어려운데 재미있다는 게 참 어불성설이지만 어쩌겠어, 내 능력이 거기까지인 걸. 아마도 아주 오랫동안 <모비 딕>은 책장에 그저 꽂혀있을 것 같다....
0

에버네버님의 다른 게시물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에버네버님의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 게시물 이미지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

파울로 코엘료 지음
문학동네 펴냄

읽었어요
3일 전
0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에버네버님의 이 책이 너와 나를 가깝게 할 수 있다면 게시물 이미지

이 책이 너와 나를 가깝게 할 수 있다면

장폴 뒤부아 지음
밝은세상 펴냄

읽었어요
1주 전
0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파트리크 쥐스킨트라는 작가가 각인된 건, <향수>를 통해서다. 너무나 강렬한 미스터리 소재에 마치 영화를 보는 듯한 묘사가 무척 마음을 끌었다. 그런데 작가가 더 좋아진 건, <좀머씨 이야기> 덕분이었다. <향수>와는 완전히 다른 소설이고 잔잔한 듯, 묵직한 소설이 왠지 마음에 오래 남았다. 이렇게나 다른 작품을 쓰는 작가라니 정말 궁금하다~ 생각했는데 파트리크 쥐스킨트는 어떤 상을 준다고 해도 공식 석상에 나타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런 신비함을 더해주는 작가.



최근에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두 작품을 더 읽었다. 작가의 첫 번째 소설인 <콘트라베이스>와 세 번째 소설인 <비둘기>다. 이렇게 네 작품을 놓고 보니 <향수>만 좀 동떨어진 느낌이다. <향수>는 영화화되었을 만큼 대중적인 소설인 반면, 다른 세 작품은 매니아가 아니라면 읽기가 쉽지 않겠다,라는 생각이 든다. <비둘기>는 느낌 상 <콘트라베이스>와 <좀머씨 이야기>의 중간 정도로 느껴진다.



<비둘기> 속 조나단 노엘은 오랜 기간 아무 걱정이나 큰 사건 없이 조용히 지내왔다. 유년기와 청년기에 너무나 큰 일을 겪었던 조나단에게 이 시간은 더없이 행복한 하루하루였다. 그러던 어느 날, 여느 날과 다름 없이 생활하려던 그때, 자신의 한 칸 방 방문 앞에 비둘기가 가로막고 있는 것을 발견하다. 그는 이 비둘기를 본 후 패닉에 빠진다. 한 발자국도 앞으로 나아갈 수 없고,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 그는 자리에서 일어난 후 느껴지는 요의와 저 방문 앞 비둘기를 뚫고 과연 무사히 출근을 하고, 다시 이 안전한 방으로 귀가할 수 있을까.



조나단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서술은 마치 <콘트라베이스> 속 주인공의 혼잣말처럼 느껴지기도 하지만 조나단의 행동과 그 원인을 파헤쳐보면 마치 <좀머씨 이야기> 속 좀머씨와 비슷하다. 조나단은 유년기에 겪은 2차 세계 대전을 다 극복하지 못하고(누구라도 하루 아침에 부모가 사라지는 일을 겪는다면 그럴 것이다) 짜여진 일상 속 쳇바퀴같은 삶을 지향한다. 그 일상 속 "비둘기"는 그에게 침입자와 같을 것이고 오히려 이 비둘기를 비롯한 일련의 사건들(하나의 사건은 또다른 하나를 불러내고 이어 연속되는)로 패닉 상태가 지속되는 듯하지만 책의 처음, 어린 시절 아무 걱정없이 비 오는 날 물장구치며 걸었던 그 순간을 떠올리듯 철벅거리며 거리를 걷는 동안(좀머씨의 방황과 비슷하지 않은가! ) 조금씩 자신을 되찾아간다.



나와는 너무나 다른 그 누구라도 그를 이해할 수 있게 하는 묘사가 뛰어나다는 점에서, 이제 <향수>도 한 집합으로 묶어낼 수 있을 것 같다. 내가 가진 트라우마를 왜 다른 사람들에게 털어놓지 못하는가에 대한 질문이 읽는 내내 궁금했음에도 불구하고 내가 조나단이라면 그랬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인간 내면 세계를 심도 깊게 묘사한 쥐스킨트의 역작"이라는 설명이 아깝지 않은 소설이다.

비둘기

파트리크 쥐스킨트 지음
열린책들 펴냄

1주 전
0

에버네버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