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d님의 프로필 이미지

god

@godd

+ 팔로우
행동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의 표지 이미지

행동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문학동네 펴냄

이렇게 두꺼운 책을 끝까지 읽는 것은 정말이지 힘든 일이다.

매일 조금씩 분량을 쪼개서 읽다보니 앞서 읽었던 내용도 잘 기억나지 않는다.

아무튼 이 책은 인간의 행동에 대해 탐구하는 책이다.

예컨데, 상대방에게 너무 화가 난 나머지 손에 쥐고 있던 스마트 폰을 바닥에 내팽겨쳤다고 생각해보자.

그 사건의 발생 직전에 우리 몸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 났을까?

저자는 이러한 물음을 토대로 이야기를 전개해 나가는데, 가장 먼저 사건 발생 0.001초 전 우리 몸의 근육세포가 움직이도록 만든 장본인인 신경세포를 살펴보는 것으로 인간 행동의 근원을 파헤치는 기나긴 대장정을 시작한다.

뉴런, 시냅스, 신경전달물질, 축삭돌기, 수상돌기……

이렇게 보면 정말 복잡하고, 머리가 아프지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왜냐하면 저자는 굳이 전문용어로 설명하지도 않고, 잘 모르겠으면 아주 쉬운 용어로 쓰여진 부록 1을 먼저 읽고 오라고 친절하게 안내해주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나는 신경세포와 신경전달물질, 우리 뇌의 구조와 호르몬에 대해 설명하는 이 부분이 제일 좋았고, 이는 어마어마한 분량을 자랑하는 이 책을 끝까지 읽을 수 있는 동력이 돼주었다.

가장 기억에 남는 단어는 스트레스 호르몬인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이인데, 저자가 이 단어를 매우 빈번하게 사용하는 까닭에 자연스레 머리에 박혔다.

이를 통해 새롭게 안 사실은 아주 짧은 시간 긴장을 유발하는 스트레스는 몸에 좋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놀이기구를 탈 때나, 많은 사람들 앞에서 발표를 할 때, 혹은 중요한 시험에 앞서 분비되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는 우리 몸의 보호막 역할을 하기 때문에 건강한 스트레스 호르몬이다.

이에 반해 만성 스트레스는 아주 안 좋은데,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농도가 채내에서 계속 높게 유지되면서 여타 다른 호르몬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라고 한다.

고로 만성스트레스가 만병의 근원이라는 말이 여기서 나온 듯하다.

난 이 책을 신경뇌과학의 정석이라 부르고 싶다.

물론 이 책에는 유전학, 심리학, 인류학, 사회학, 진화심리학 등 방대한 양의 정보가 담겨있지만, 인간의 뇌와 신경에 대해서는 정말이지 쉬운 언어와 단순한 비유, 핵심을 관통하는 그림을 통해 이 책을 읽는 모든 독자의 이해를 돕는 까닭이다.

혹여나 며칠 전 무심코 저질렀던 내 행동이 후회되는 분들은 꼭 한 번 읽어보길 권한다.
0

god님의 다른 게시물

god님의 프로필 이미지

god

@godd

내용은 어렵지 않은 것 같은데, 읽기는 힘들었다.

반복해서 읽은 문장들이 꽤 됐고, 의미 파악이 안 돼 그냥 건너 뛴 부분도 더러 있었다.

그럼에도 전체적인 글의 맥락을 파악하기가 어렵지는 않았다.

요지는 국가가 주도의 사회주의 계획경제는 그 특성상 개인의 자유를 박탈할 수 밖에 없고, 대다수의 국민을 노예로 만든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와 같은 주장의 근거로 공산주의 체제로 진입한 소련과 민족사회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전쟁을 일으킨 나치 독일의 사례를 드는데, 논리가 탄탄해 저자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 나는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같이 복지가 잘 되어 있는 국가의 모델을 가장 이상적이라 여겨왔고, 우리나라도 마땅히 그 길로 가야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 길이 그토록 어렵고 위험한 길인 줄은 전혀 몰랐다.

정부주도의 어쩌고 저쩌고…

뉴스를 보다보면 정말 많이 보게 되는 문구이다.

저자는 바로 이러한 말 속에 숨겨진 위험성을 경고하며 자유를 위해 경쟁은 필수라는 점을 강조한다.

계획경제라는 거창한 구호 아래 경제부분을 독식하려는 정부나 정치세력이 있다면 필히 경계해야겠다.

노예의 길

프리드리히 A. 하이에크 지음
자유기업원 펴냄

3일 전
0
god님의 프로필 이미지

god

@godd

  • god님의 노예의 길 게시물 이미지

노예의 길

프리드리히 A. 하이에크 지음
자유기업원 펴냄

읽었어요
3일 전
0
god님의 프로필 이미지

god

@godd

맙소사!!!

무슨 소린지도 모른 채 글씨만 읽어 내려갈 땐 마치 초등학생이 되어 양자역학 논문을 읽는 기분이었는데, 이 책을 끝까지 읽다니…

어떻게든 들뢰즈의 심오한 철학을 이해하고 싶은 마음이 컸기에 버틴 듯싶다.

리좀, 기관없는 몸, 욕망, 생성, 내용과 표현, 기호, 탈영토화, 재영토화, 도주선, 코드화, 덧코드화, 홈 패인 공간, 매끈한 공간, 정주민, 유목민, -되기, 리코르넬라…

이처럼 낯선 개념들이 끊임없이 튀어나와 나를 고통스럽게 했지만 그저 묵묵히 시작도 끝도 없는 ‘천개의 고원’을 향해 한 발짝, 한 발짝 나아갔다.

만약 동영상 강의가 없었더라면 절대로 해내지 못 했을 것이다.

유튜브에서 찾아낸 훌륭한 교수님들의 강의는 이 책을 읽어 나가는데 있어 이루 말 할 수 없이 소중한 길잡이가 되어 주었다.

그렇담 내가 들뢰즈의 철학을 온전히 이해했다고 말할 수 있을까?

결코 그렇지 않다.

단지 ‘세상을 이런식으로도 바라볼 수 있구나!’ 하는 정도로 겨우 냄새만 맡은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책을 읽을 때 불현듯 이 책에서 배운 내용이 떠올라 해당 문장에 밑줄을 긋고 ‘탈영토화’, ‘재영토화’라고 끄적일 정도의 개념은 생겼다.

그러고 보면 책 읽는 시간이 무척 지루하고 고달팠지만, 세상을 바라보는 눈 하나를 더 얻게 된 데에는 결코 비할 바가 아닌 것 같다.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위계에 따라 구분지으며, 닮은 것 끼리 묶고 비교하는 수목형 눈만 가지고 있던 내게 세상은 절대 그렇지 않다고 알려준 들뢰즈와 가타리, 그리고 이를 알기 쉽게 설명해주신 여러 교수님들께 한 없는 고마움을 느낀다.

읽는 도중 포기했던 들뢰즈, 가타리의 전작 ‘앙티 오이디푸스‘를 조만간 재도전해 볼 생각이다.

천개의 고원

질 들뢰즈 외 1명 지음
새물결 펴냄

1주 전
0

god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