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하영님의 프로필 이미지

송하영

@sola

+ 팔로우
기분이 태도가 되지 않게 - 기분 따라 행동하다 손해 보는 당신을 위한 심리 수업의 표지 이미지

기분이 태도가 되지 않게 - 기분 따라 행동하다 손해 보는 당신을 위한 심리 수업

레몬심리 지음
갤리온 펴냄

📘25#3 기분이 태도가 되지 않게

2025.01.07~01.09
⏩️자신의 감정을 다스려 품격있는 어른이 되자

✅느낀점
감정 자체는 자연스럽고 당연한 것이지만, 그것과 별개로 나의 행동거지를 어떻게 하느냐는 다른 문제인데 그것을 분리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아기를 키우다보니 내가 정말 그것을 못하고 힘들어하는구나를 절실히 느낀다. 나의 감정적인 모습, 약자에게 강한 모습을 직면해야 했고, 내 못난 모습을 인정하고 더 져주고 더 나아지지 않고는 탈출구가 없는 현실이다ㅠ.

아주 다양한 지침? 조언들을 제시하고 있는데 기억할만한 것들이 있다.
1. 좋은 태도는 체력에서 나온다. 그리고 자세를 바꾸어도 기분이 달라진다.
2. 내가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 대해서는 통제욕을 놓아라.
3. 올바른 자기정체성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내 존재를 외부에서 찾으면 언제나 실망과 상처가 따라온다 / 무신론을 전제로 할 때)
4. 자기 자신과 잘 지내는 사람이 행복한 하루를 산다. 남에게 조언하듯 나에게도 그렇게 조언하고 그렇게 해보라. (내가 느낄 때는 "관대하게", "도전적으로"라는 말이 떠오른다)
5.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그 원인이 무엇인지 정리를 하고 "나 기분 안 좋아. 기분 나빠"가 아닌 원인에 따라 어떤 감정을 느꼈는지 세분화하고 그에 맞는 대처방안을 찾아라. 아예 하지 않던 일을 해보는 것도 스트레스를 다루는 방법 중 하나이다. (식물을 키우거나, 새로운 요리를 해보거나, 영화배우 한 명을 파보거나 등)
6. 분노를 다루는 방법 중 하나 : 화를 표출할만한 경계를 아직 넘지 않았다면 그냥 용서해버리는 연습을 하자 (실현 레벨이 너무 높음ㅋㅋㅋㅋㅋ)

이 밖에 내가 공감했던 내용도 있다.
1. 낙관적 편견: 나에게 낙관적인 이리 더 많이 일어날 것이고 안 좋은 일이 일어날 리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
-내가 이런 생각을 하는 것 같다. 안 좋은 일도 조금은 축소시켜서 생각했던 것 같기도 하고.. 객관적으로 회살할 때 실패와 실망과 두려움이 덕지덕지 묻었던 순간들도 꽤 있다.
-지금 나는 안 좋은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 좋은 일이 유독 나에게 더 많이 일어날 것이라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래도 인생을 낙관적으로 보고 싶다. 일련의 사건들로 망할 삶이 아니고, 또 나쁜 일 가운데 피할 길이 있으리라 생각하고, 그게 지나면 좋은 일도 올 것이라 생각한다. 진짜 그게 뭔지 모르겠더라도 완벽하고 완전히 좋은 일이 반드시 오니까! 쇼생크탈출의 앤디처럼 희망이 있어 좋다.
2. 허영심을 과도하게 드러내다 보면 오히려 숨기고 싶은 자기 결핍을 보이게 된다.
-사회에 나오게 되면서 간판의 유의미함에 대해 알게 된 것 같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좀 더 좋은 간판으로 자신을 수식하고자 치열하게 삶을 산다. 객관적으로ㅋㅋㅋ 나를 봤을 때 그다지 좋은 간판을 갖고 있지 못한다. 그걸 알아서 그런 것일까? 괜히 인스타에 더 좋은 모습을 올리고, 괜히 별내집이 더 좋아 보이게 올리고, 빚의 무게를 집의 소유라는 것으로 치환하고 싶었던 것 같다. 내가 정말 이런 부가적(?)인 것으로 내 삶의 본질을 흐리게 만들었던 것 같다. 좋은 헝겊은 그냥 좋은 헝겊일 뿐 나 자체는 아니니까.
-나는 여전히 예쁜 헝겊의 옷을 입고 싶지만, 이 모든 헝겊으로부터 자유하고 싶다.
0

송하영님의 다른 게시물

송하영님의 프로필 이미지

송하영

@sola

  • 송하영님의 저어새 엄마 게시물 이미지

저어새 엄마

이여주 지음
머스트비 펴냄

읽었어요
1일 전
0
송하영님의 프로필 이미지

송하영

@sola

  • 송하영님의 감염 동물 게시물 이미지

감염 동물

김시경 지음
위즈덤하우스 펴냄

읽었어요
1일 전
0
송하영님의 프로필 이미지

송하영

@sola

📘25#26 저어새엄마

2025.09.03.
⏩️너무 빨리 철이 들어버린 웅이ㅠ


✅줄거리
웅이는 자신이 살고 있는 섬에 찾아오는 저어새를 보며 자신의 엄마와 닮았다는 생각을 한다. 저어새가 부리로 먹이를 구하는 모습이 식당에서 주걱을 들고 힘들게 일하는 엄마의 모습과 겹쳐보이기 때문이다. 웅이의 아빠는 사업을 한다고 섬을 떠났고 웅이는 엄마와 둘이 살며 엄마를 살뜰히 챙긴다.
그러던 어느 날 아빠는 섬에 정착해 굴삭기 운전을 하겠다고 하는데, 부족한 차 값 300만원을 웅이가 빌려주었다. 어릴 적부터 조개를 팔고 용돈을 모아둔 것이었다. 아빠는 새마음으로 일을 하며 마을을 홍수로부터 지킨다. 웅이는 전학 간 하율이와는 종종 전화로 연락하며 전학 온 채빈이와 친해지며 학교생활을 이어간다.

✅느낀점
우직한 웅이가 아직은 어리기에 어딘가 짠하고 마음이 편치 않기도 하다. 조금 더 제멋대로 해도 될 것을.. 순박한 내용 뒤, [작가의 말]에서 생각해볼 점이 많았다. 다양한 가족의 형태가 존재한다는 것과 익숙치 않은 자연의 여러 모습들을 묘사하는 것 등이 아이들에게 특히 도시 아이들에게 직접 이야기해주는 느낌을 받았다. 거기서 아이들에 대한 애정이 얼마나 많은지 느낄 수 있었고, 작가가 자신이 머물고 있는 강화라는 곳을 좋아하는 게 느껴져 좋았다. 나 역시 작은 벌레 하나도 잡지 못하고 “흙”은 그저 체험으로만 경험해보았을 뿐이다. 도시의 빠르고 세련됨이 아닌 정답고 한결같은 자연의 모습을 아이의 시선으로 느낄 수 있었다.

저어새 엄마

이여주 지음
머스트비 펴냄

1일 전
0

송하영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