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밀리

@milri2vxa

+ 팔로우
지구를 위한다는 착각 (종말론적 환경주의는 어떻게 지구를 망치는가)의 표지 이미지

지구를 위한다는 착각

마이클 셸런버거 (지은이), 노정태 (옮긴이) 지음
부키 펴냄

"인간에게는 환경을 바꿀 수 있는 힘이 있다. 그것은 축복이며 인간을 동물과 구분 짓는 요소다. (중략) 그들이 만들고자 했던 것은 에덴동산이 아니라 새로운 예루살렘이었다." (101-102p)

"개발과 보호는 함께 가는 것이다. 농경과 목축을 더 효율적이고 수익성 높게 만드는 것만으로 원시림을 보호하기 위한 다른 노력은 불필요해진다." (110p)

"자연을 지키기 위해서는 인공을 받아들여야만 한다. 이 실로 중대한 역설을 인류는 비로소 이해하기 시작했다." (145p)

"소비자들은 기업이 올바른 행동을 하도록 압력을 넣음으로써 세상을 좀 더 나은 곳으로 바꿀 수 있다. 하지만 그러려면 개발도상국에서 만들어 낸 저렴한 상품을 소비자가 구입하는 행위 자체를 악마화하지 말아야 한다." (226p)

"노예제가 비윤리적이라는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지면 그 결과로 사람들은 자유를 얻게 된다. 반면 육식이 비윤리적이라는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지면 가축들은 '자유'를 얻는게 아니다. '존재' 자체가 사라지고 만다." (285p)

"환경주의는 좋은 사람과 나쁜 사람, 영웅과 악당을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이 되어 준다. 또한 환경주의는 과학의 이름으로 설파되는데, 따라서 지적인 권위까지 확보하고 있다." (520p)
0

밀리님의 다른 게시물

밀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밀리

@milri2vxa

인간의 경향성을 극복하고 도덕법칙을 따를 때 인간은 인간다운 존재가 된다. (51p)

만약 완벽한 존재로 비춰진다면 그것은 아마도 진짜 '나'를 숨겼기 때문일 것인데 사실 자신을 완벽하게 숨기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사실을 자각한 교사는 겸손이라는 종착점에 다다르게 된다. 겸손하지 못한 교사는 학생들에게 위험하다. (67p)

교사는 세계에 대한 경탄을 가르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 이를 해내지 못하는 인간 교사는 로봇 교사와 다를 게 없다는 말이 된다. (93p)

아이 마음속에 남모르게 자리 잡고 있는 탁한 한두 방울이 다른 아이들과 공명하는 과정에서 타인의 짙은 아름다움에 물들 기회를 뺏지 말아야 한다. (108p)

교사의 서재

이한진 (지은이) 지음
테크빌교육(즐거운학교) 펴냄

읽고있어요
1주 전
0
밀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밀리

@milri2vxa

정신 건강 전문가들은 젊은 세대가 겪는 문제 가운데 심리 치료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있을 거라는 생각을 좀처럼 하지 않는다. (73p)

"우리가 감정에 집중하면 감정은 거기에 강하게 반응합니다. 감정에 집중하면 때로 감정적 고통이 더 커질 수 있습니다." (86p)

아이들이 행복해지길 원한다면 가장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은 행복이 목표라고 가르치는 것이다. 행복을 열심히 추구할수록 낙담하고 우울해질 가능성이 더 커지기 때문이다. 행복만 강조하는 것이야말로 객관적 현실을 완전히 외면한 행동이다. (94p)

성인의 삶이 불행한 것을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로 설명하는 접근법은 틀렸다고 입증할 방법이 없다. (중략) 그리고 이 관점은 현재 겪고 있는 모든 문제를 설명해주는 듯 보이는 동시에 문제를 해결할 우리의 책임을 없애주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너무나도 쉽게 받아들여진다. (182~183p)

이런 식으로 아동기 트라우마라는 실체 없는 목표물에 대한 사냥이 시작된다. (중략) 그렇게 탄생한 아동기 트라우마 이론은 틀렸음을 증명할 수도 없다. 당신이 트라우마를 입었다고 생각하면 입은 것이다. (203p)

"그들이 부모와 연락을 끊는 것은 대개 부모가 자신에게 제공하지 못한 독립성과 강인함을 키우고 싶어서입니다" (283p)

진단명이라는 꼬리표는 때로 전문가에게 유용하지만 부모인 우리에게는 방해물이 될 뿐이다. 그것은 다채로운 개성을 지닌 개인을 한 단어로 환원해버리며 당사자에게 모욕감을 안겨준다. 진단명이라는 꼬리표가 부모의 사랑을 오염시켜서는 절대 안 된다. (365p)

부서지는 아이들

애비게일 슈라이어 지음
웅진지식하우스 펴냄

1개월 전
0
밀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밀리

@milri2vxa

성숙함이란, 때론 상대의 미숙함을 조용히 받아들이는 것에서 비롯된다. (93p)

언제나 자신이 피해자라고 주장하는 사람이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 사람은 상황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뒤에서 모든 흐름을 조종하고 있다. (112p)

기쁨은 우리에게 감사함을 느끼게 하고, 슬픔은 우리에게 진정한 위로를 원하게 한다. 분노는 우리의 경계를 지키게 하고, 두려움은 우리를 보호한다. (258p)

기분을 태도로 만들지 않는 49가지 방법

김주영 외 3명 지음
비책 펴냄

1개월 전
0

밀리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