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나는 농담으로 과학을 말한다
오후 지음
웨일북 펴냄
우리나라에서 이과인 문과인를 구분하는 것은 마치 여성과 남성을 구분하는 것만큼이나 자연스럽지만, 사실 그것이 '자연'스러운 일은 아니다. 그래서인지 이공계인들은 자꾸만 인문학을 흘끗거리며 교양 있는 사람이 되고 싶어하고, 문과인들 역시 서적들을 뒤적이며 과학 지식을 장착하고 싶어한다. 그런 관점에서 문과생이 쓴 교양과학서적인 이 책은 몹시 이상적이다.
사실 이공계 출신이라고 해도 모르는 과학지식은 많다. 학교에서 가르치는 표준 교과과정 밖에도 과학은 많고 그 모든 것을 깊게 아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흔한 공대생 농담 중에 전공별 자주 받는 부탁이나 심부름에 대한 농담이 있는데, 전기공학과 출신이라고 망가진 가전제품을 고칠 수 있는 게 아니고 컴퓨터공학과 출신이라고 고장난 컴퓨터를 고칠 수 있는 게 아니며, 환경공학과 출신이라고 쓰레기 분리수거를 잘 하는 게 아니다. 우리는 날마다 5G니 OLED니 드론이니 3D-프린팅이니 블록체인이니 하는 말들을 여기저기서 듣지만 그게 정말 어떤 기술인지 아는 사람은 흔치 않다. 이렇게까지 최첨단 기술을 불러 모을 필요도 없다. 거실에 걸려 있는 아날로그 시계의 무브먼트 구조나 방안을 밝히고 있는 형광등에 어떻게 전기가 흘러들어가서 빛을 내는지 잘 설명해 보라고 하면 답하는 사람이 몇이나 있을까? 생각해 보면 그 기술의 원리나 구현방식을 알아야만 그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전세계를 연결하는 통신/인터넷 케이블이 어떻게 대서양, 태평양 바닥에 설치되었고 누가 관리하는지 몰라도 지금 이 순간 인터넷을 사용하는 데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오히려, 어쩌면, 기술의 원리나 사용방법에 대한 설명을 전혀 들은 적이 없어도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정말 좋은 기술일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과학을 이해하고 기술을 공부해야 할까? 정말 솔직하고 즉각적으로 답하자면 아는 척 하고 싶어서...? 나는 정말 그렇다! 물론 호기심이 발동하고 원리가 궁금해질 때도 있지만 그보다는 얕은 배경지식을 확보해 놓으려는 심산이 언제나 더 크다. 그렇지만 '교양 있는' 이공계인으로서 이런 솔직한 대답은 마음 속에 두고 좀더 멋진 이유를 찾아보자면, 과학기술이 우리를 어떻게 바꾸었고 앞으로 어떻게 바꿀 수 있고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 생각하기 위해서, 우리는 과학을 이해하고 기술을 공부해야 하는 것 같다.
과학이나 기술을 가치중립적이라는 말을 많이들 하지만, 과학기술을 사용하는 인간은 가치중립적이기 어렵고 사회나 자연환경과 복잡하게 얽혀 있는 존재이기 때문에, 인류문화와 함께 발달해 온 과학기술은 인간의 생활과 문명, 사고방식에 어떤 식으로든 영향을 주어왔다. 기술이 가지는 인간적 가치, 환경적 가치를 돌이켜 보는 것이 이과생에게든 문과생에게든 가장 필요한 일이 아닐까. 그리고 이 책은 적절한 소재와 친근한 문체, 진지한 철학적 질문들을 버무려 그 일을 잘 해내고 있다.
0
겨울숲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