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yeon Park님의 프로필 이미지

Jiyeon Park

@jiyeonpark

+ 팔로우
평일도 인생이니까 (주말만 기다리지 않는 삶을 위해 | 김신지 에세이)의 표지 이미지

평일도 인생이니까

김신지 지음
알에이치코리아(RHK) 펴냄

읽었어요
“어마야, 니 스트레스를 왜 받나. 그거 안 받을라 하믄 안 받제.”

“회사에 마음에 드는 부분이 20퍼센트만이라도 있으면 다닐 수 있다.”

좋아하는 일에도 좋기만 한 건 없고, 좋아하지 않는 일에도 좋은 점은 있다.

서른이 되어서, 마흔이 되어서 하고 싶은 일,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생각하며 그때를 기다리는 즐거움이 있다고. 그럴 때 나이는 기꺼운 변화가 된다.

‘정신 차려, 울상을 하고 지내 봤자 이건 네 하루야’

과거의 서러움은 그렇게 현재의 우리에게 영향을 미친다. 결핍이, 어쩌면 우리의 정체성이 되는지도 모르겠다.

비어 있는 부분을 채우려 애쓰는 사이,
그런 것을 중요히 여기는 사람이 되는지도.

결국 우리는 스스로의 결핍을 채워 주는 사람으로 자라,
내 행복은 내가 책임지는 법을 익히게 된다.
어른으로 사는 기쁨은 아마 거기에 있을 것이다.

예전의 나는 여기에서 저기로 가는 시간을 그 나름대로 보낼 줄 아는 사람이었는데 마음이 자꾸 비좁아진다. 어쩌면 과정보다 도착이 중요하다고 여기는 어른이 되어 버린 건지도 몰랐다.

내가 선택한 것에 대해서는 핑계도 대지 않고 불만도 만들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Today is better than tomorrow.

그것은 아주 작은 차이 같지만, 일상을 대하는 태도가 결국 인생을 대하는 태도라 생각하면 그리 작은 차이는 아니다.

“잘하려고 하지 말고 그냥 해.”

잘 살지 않고 그냥 살아도 되는 거였는데. 무엇보다 제대로 사는 인생이라니. 그런 건 없는데도.

그는 기어이 ‘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무언가를 ‘해내지’ 않았어도, 여전히 또 꾸준히 하고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어떤 하루를 살지 선택권은 늘 자신한테 있다는 말을, 나는 자주 떠올리고또 자주 잊는다.

우리는 단지 그 나이에 어울릴 만큼 서툴렀고, 그 서투름으로 상처를 주고받았으며, 그 상처가 아무는 동안 고유한 흉터를 지닌 지금의 우리가 되었다. 내가 나답다는 것은 결국 구별되는 그 흔적을 말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우리는 어떤 나이에도 늦을 수 없다.
삶의 어떤 시간에도 실은 늦게 도착한 적 없다.

같은 것에 슬퍼하고 같은 것에 분노해야 함께 건널 수 있다, 지난한 삶을.
0

Jiyeon Park님의 다른 게시물

Jiyeon Park님의 프로필 이미지

Jiyeon Park

@jiyeonpark

자신의 생명을 존중하지 않는 자가 남의 생명을 진정으로 존중할 수는 없지. 명분에 의해 망설임 없이 스스로를 희생할 수 있는 자는 명분에 의해 남도 망설임 없이 희생시킬 수 있는 자다. 옳게 생각하고 있으니 내 너를 믿을 수 있겠구나.

퇴마록 혼세편4

이우혁 지음
반타 펴냄

읽었어요
1일 전
0
Jiyeon Park님의 프로필 이미지

Jiyeon Park

@jiyeonpark

카르마는 정해진 숙명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지요. 그래서 변할 수 없어요. 그러나 다르마는 자신의 판단과 행동에 맡겨져 있는 거예요. 비록 카르마에서 해방돼 자유로워질 수는 없다고 하더라도, 그 안에서의 선택은 사람에게 맡겨져 있어요. 그 길을 따르는 것이 다르마의 길을 따르는 것이지요. 고대 인도인들은 이렇게 가르쳤죠. ‘카르마에 굴복하지 말고 다르마의 길에 충실하라’고요.

퇴마록 혼세편3

이우혁 지음
반타 펴냄

읽었어요
4일 전
0
Jiyeon Park님의 프로필 이미지

Jiyeon Park

@jiyeonpark

p.37 지금으로선 일어날지 일어나지 않을지 알 수 없는 앞으로의 일에 대비하기 위해, 마치 보험을 듯 듯, 그래야 내가 받는 심적 타격의 크기를 줄일 수 있었기에, 마음의 문 일부가 조금 닫혔던 게 아닐까.

p.83 이 이야기에서 중요한 건 주인공 소녀가 자기 스스로 무언가를 행했다는 점 바로 그거야.

(중략) 물론 자신의 선택과 행동으로 인해 본인의 삶은 해피하다고도 새드하다고도 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이긴 하지만, 근데 인생이란 게 그런 나날의 연속 아닌가? 그건 중요하지 않은 문제인 것 같아.

p.115 나는 이제 내일 지구가 멸망하더라도 사과 나무 한 그루를 심는 일 따위는 하지 않을 거야. 난 지구가 멸망하기 직전까지, 지구가 멸망하지 않을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찾아볼 거야. 인류가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볼 거야.

(중략) 어떤 일이든 직접 해 봐야 알 수 있어. 이것저것 따지고 가능성을 계산해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야. 그냥 무작정 하는 거야.

외계인이 인류를 멸망시킨대

박대겸 지음
민음사 펴냄

읽었어요
1주 전
0

Jiyeon Park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