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때로는 우리 몫의 신체 부위를 받기도 해.” 그가 말한다.
“이 직업의 좋은 점 중 하나지. 아무튼, 내가 네 마음에 한 조각 평화를 가져다줄 수 있다는 말이야. 네 눈이 웬 밑바닥 인생이 나 아무것도 아닌 인간한테 가지는 않으리라는 걸 알게될테 니까.”
다른 경비원이 히죽거린다. “마음 한 조각이라. 좋은데. 자, 갈시간이야.”
그들은 코너를 앞으로 끌어낸다. 코너는 마음을 다잡으려 애쓰지만, 이런 일에 어떻게 대비할 수 있겠는가? 어쩌면 사람들 말이 맞을지도 몰라. 죽는 게 아닐지도 몰라. 그냥 새로운 형태의 삶으로 넘어가는 걸지도 몰라. 괜찮을 수도 있어. 아닌가? 그럴 수는 없나? (p.440)
『수확자』시리즈의 작가인 닐 셔스터먼의 sf화제작, 언와이드 디스톨로지 시리즈가 출간되었다. 전작이 워닥 탄탄했기에, 『언와인드 : 하비스트캠프의 도망자』자체가 무척 기대가 컸는데, 작가는 그 기대이상으로 소름과 놀라움까지 꽉꽉 눌러담아 나를 책에 묶어두었다. 총 4권으로 이어질 언와인드디스톨로지 시리즈의 첫 권에서부터 등돌릴 수 없게 되다니! 정말 대단한 흡입력이 아닐 수 없다.
『언와인드 : 하비스트캠프의 도망자』는 “네 몸의 100퍼센트는 계속 살아갈거야. 다만, 낱낱이 분리된 상태로”라는 말로 소개되는데, 첫 권이라 그런지 4권 중 가장 자극적으로 느껴졌다. 생명, 장기이식 등을 두고 이렇게 표현할 수 있는가 싶기도 하지만, 오히려 큰 기류없이 표현되는 문장들이 오히려 독자들에게는 긴장과 소름을 선사한다. 그래서 무덥고 끈적이는 여름밤을 기분이라도 서늘하게 만든달까.
『언와인드 : 하비스트캠프의 도망자』의 시작은 생명법이 통과되는 것. 임신중절을 두고 치열한 공방을 벌인 끝에, 13~18세의 아동에게 소급적으로 중절이 가능하며 이 조건은 “기술적으로” 생명이 끝나지 않는 것이다. 이 과정을 언와이드라고 불리는데, 이 아이들은 언와이드가 되기 전까지 최상의 관리를 받다가, 장기가 필요한 타인에게 이식되어 “기술적으로”살아가게 된다. 솔직히 말하자면 이 쯤 읽었을 때 책을 한번 덮었다. 끔찍한 상상들이 내 머리에 연이어 떠올랐기 때문. 장기이식이 슬프지만 선순환이라 생각했던 흔한 일반인의 마음과 장기가 사고팔리는 세상에서 왜 “공급”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을 떠올리지 못했나 하는 마음 두가지가 마구 섞이며 혼란을 겪어야했다.
여러 사연을 가진 아이들이 등장할 때마다 생명에 대해, 우리가 “존엄성”이라 말해온 것들에 대해 생각하게 되더라. 사실 책을 읽는 내내 신체 상태에 다라 값이 다르게 매겨지고, 본인은 동의조차 하지 않은 언와이드가 “돈” 때문에 거래되는 모습을 보면서 어쩌면 현실 어느 조각에서는 실제 이런 일이 일어나고 있지는 않나 싶어지기도 했다. 눈물이 날 것같은 현실을 마주하며 또 한번 세상에 대해 생각하게 되고, 어쩌면 현실이 가장 차갑다는 생각이 들어 한숨이 났다. 『언와이드 : 하비스트캠프의 도망자』의 다음이야기는 어떤 이야기가 될지 아직 알 수는 없지만, 작가가 이 책을 통해 하고 싶었던 이야기가 무엇인지 막연히 알 것 같다.
인간성을 상실해가는 지금, 우리가 꼭 한 번 생각해보아야 할 이야기,
『언와이드 : 하비스트캠프의 도망자』였다.
1
책읽는엄마곰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