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사람들은 흔히 삶을 점으로 이해한다. 나이와 외모, 집안과 직업, 연봉과 그가 현재 있는 상황 따위의 것으로 그를 재단한다. 나이는 대개 어릴수록 좋고, 외모는 남들에게 호감을 살수록 나은 것이라고, 집안은 명망이 있고 화목하며 탄탄한 것이 그렇지 않은 것보다 낫다고 말이다. 직업이나 연봉 또한 마찬가지, 더 많이 벌며 바깥에 내세우기 좋은 직업이 그렇지 않은 직업보다는 훨씬 낫다고들 한다.
때로는 이와 같은 잣대가 내면에 스며들어 스스로를 평가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그럴 때면 누구는 실제보다 뿌듯해하고 또 누구는 참담히 무너지기도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삶의 어느 여정에서 갈피없이 표류하는 인간을 나는 허다하게 목격하였다.
그러나 삶이란 상대적이고 때로는 그보다 더 상대적이다. 삶이란 어느 한 점에 가만히 멈춰서 있지 않다. 운명 또한 우리의 기대처럼만 흘러가지 않는다. 그리하여 어제 나쁜 것이 오늘은 좋은 것이 되고, 오늘 나은 일은 내일 못한 일이 되기도 한다. 못한 것이 나은 것의 근거가 되거나 평탄한 삶이 실패의 이유가 되는 일을 어렵지 않게 마주할 수 있는 세상이다.
삶에서 마주하는 어떤 미덕은 오로지 삶에 잡힌 주름으로부터 길어낼 수 있다. 또 그렇게 얻어낸 미덕 없이는 지나칠 수 없는 삶의 관문 또한 있다는 사실을 나는 비싼 값을 치른 뒤에 배웠던 것이다. 이를 아는 이라면 오늘의 성취로부터 교만해지지도, 실패로부터 한없이 무너져 내리지도 않으리라고 나는 생각한다.
<生의 이면>이 진정으로 말하고자 하는 것도 이와 같다. 세상에서 더없이 불행한 운명을 타고난 듯 보이는 박부길의 삶은 바로 그 같은 이유로 인하여 드문 성취를 이룩한다. 어제의 실패가 자양분이 되어 오늘의 성공을 이루고, 오늘의 성공이 또 다른 무엇이 될 수 있으리라고, 생은 겉으로 바라보는 것처럼 그리 간단하지만은 않다는 것을 이 소설이 이야기한다.
그로부터 누군가는 오늘의 절망을 그저 절망으로만 받아들이지 않는 시야를 얻을 수 있을 테다. 한 편의 소설이 가질 수 있는 가장 귀한 미덕이 바로 여기에 있다고, 무심하고 잔혹한 듯 보이는 삶의 너그러움이 또한 여기에 있다고, 나는 그렇게 믿는다.
1
김성호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