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책은 미야모토 테루(1947~)라는 일본 작가가 쓴 책입니다. 소설이 나온 시점은 작가가 광고회사 카피라이터 생활을 하다 1977년, 30세의 나이로 데뷔를 하게 되었고, 이 작품을 바탕으로 하는 '환상의 빛'이라는 동명의 영화가 1995년에 나온 것으로 미루어 1980년대 도는 1990년 초반에 쓰여진 것으로 미루어 짐작해 봅니다.
이 소설을 덥썩 집어든 것은 당시 저는 '소설로의 회귀'가 필요했던 시점이었기 때문입니다. 올해 들어서는 업무상 필요 때문에 심리학, 협상 관련류의 책들만을 탐독을 하다보니 살짝 지겹기도 했지만서도, 인풋 없이는 아웃풋이 안 된다, 는 흔하디 흔한 격언대로 소설류의 글들이 제대로 써지지 않는다, 라고 실감하고 있던 터였습니다. 그렇지만 그런 이성적 필요와는 달리 감정적인 끌림, 그러니까 물론 마크 트웨인의 소설들이 슬쩍 저의 구미를 끌기를 했지만 이렇다하게 정말 이 소설을 읽고 싶다는 책들이 별로 없던 시기였습니다. 그러다 이 소설을 만난 것입니다. 물론 **님처럼 소설에 깊이 있게 빠져들어 소설 안의 메타포와 각 문장들의 유기성을 읽어내지 못하는 것을 알기에, 그에게 소설책을 빌려들면서도 적잖이 - 스스로가 - 의심스러워 대체로 책을 펼쳐들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게다가 1980년대 무렵 나온 소설, 더군다나 일본 소설이 과연 2025년 속에 존재하는 제게 어떤 느낌으로 다가올지 두려웠던 것도 사실이었구요.
그러다가 가파르게 읽기 시작한 것은 **님이 나눔정모에 참석하신다는 알람을 받은 뒤였습니다. 책을 빌려주신지도 오래되었고, 간만에 참석을 하시니 - 누가 봐도 - 책을 회수하러 오셨구나, 싶었습니다. 연체료를 빚진 감각으로 뒤늦게 펼쳐 든 소설 속에 저는 깊이 빨려들어가는 기분이었습니다.
아, 이렇게도 소설을 쓸 수가 있구나, 싶었습니다.
소설은 칠 년 전에 전 남편과 사별하여 재혼한 서른 두 살이 된 한 여인이 전 남편에게 편지를 쓰는 형식으로 시작합니다.
# 어제, 저는 서른두 살이 되었습니다. 효고 현 아마가사키에서 이곳 오쿠노토의 소소기라는 해변 마을로 시집 온 지 만 삼 년이 되었으니 당신과 사별한 지도 그러저럭 칠 년이나 되었네요.
어린 아이도 있었고, 경제적으로 쪼들리지도 않았고, 부부 사이가 나쁜 것도 아니었는데(외려 좋은 편에 가까웠던), 전 남편은 어느 날 밤 기차 선로 위에 서서 자살을 합니다.
여인은 오랫동안 그 이유를 스스로에게 묻습니다. 그렇지만 그 이유는 정작 본인 말고는 정작 알 수가 없는 것이지만, 남겨진 사람들은 이유를 찾고 싶어 합니다. 혹시 나에게 문제가 있지는 않았을까, 아니면 그 사람에게 말하지 못하는 비밀이 있지 않았을까. 그러니까 자살한 그의 문제 아니면 가장 가까운 관계였던 부인 자신의 문제, 아니면 둘 사이의 문제...
영원히 답을 알지 못하는 질문을 가지고 살아가는 기분은 어떤 것일까요?
소설은 - 비록 몇 개 보지는 못했지만 어린 시절 접했던 - 고요하고 잔잔한 일본 영화를 들여다보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밋밋하고 사건도 없는 영화를 만들었나, 싶었다가 영화가 끝이 나면 알 수 없는 울림 같은 게 느껴지는 그런 영화 말입니다.
환상의 빛, 이라는 소설을 접고 나면 그와 같은 옅은 슬픔이 느껴집니다.
간만에 달달한 텍스트를 읽어 기분이 좋아졌습니다.
동명의 영화가 있지만, 어쩐지 텍스트의 울림이 깨져 버릴까 두려운 마음이 듭니다. 그렇지 않을 거란 결단이 서게 되는 날보다는 고요함이 깨지지 않을 것 같은 잔잔한 날을 골라 틀어볼까 합니다.
일본 소설 특유의 맛이 입에 배어, 당분간 일본 소설에 눈을 돌려볼까 하는 마음입니다.
주말이 눈 앞에 왔습니다.
환상의 빛, 이 가득한 하루하루 보내시길^^
0
별책이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