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인님의 프로필 이미지

화성인

@hwasungin

+ 팔로우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 (친화력으로 세상을 바꾸는 인류의 진화에 관하여)의 표지 이미지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

브라이언 헤어, 버네사 우즈 (지은이), 이민아 (옮긴이), 박한선 (감수) 지음
디플롯 펴냄

다윈의 '적자생존' 이론에 이 책은 '협력생존' 이론으로 반박한다. 강한 것이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고. 저자는 인간, 개, 보노보 등 사회성이 강한 종일수록 번성해 왔고, 인간이 성공한 이유 또한 공격성이 아니라 협력과 신뢰였다고 말한다. 가축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인 '자가가축화'가 인간에게도 일어나며 공격성이 감소하면서 뇌 구조와 호르몬이 변화해 친화적 행동이 증가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우리가 미래 사회에 필요한 것은 경쟁이나 공격이 아니라 연대와 공감 능력이 필요하다는 것이 이 책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이다. 따뜻하고 희망찬 이야기이다. 미래사회의 인간은 현재보다 더 다정한 종이 되어 있기를 바란다.
0

화성인님의 다른 게시물

화성인님의 프로필 이미지

화성인

@hwasungin

오랜만에 단숨에 읽힌 장편소설이었다. 1998년에 쓰인 책이라는 사실을 잊을 만큼 이 시대의 이야기처럼 쉽게 읽혔다. "이런 사람이 작가를 해야 하는구나"라는 생각이 들게 문장들이 유려했고, 몇 대목은 정말 마음에 남았다. 그런데도 높은 평을 주지 못하는 이유는, 삶에서의 선택이 남자, 여자 밖에 없는 듯 모든 불행과 행복의 이유를 이성에서 찾으려 하는 점이 반기를 들게 했달까. 쌍둥이였던 어머니와 이모의 삶이 이모부와 아빠를 만나면서부터 양극으로 달라졌다는 설정이, 작가의 머릿속에서 진행된 일종의 실험 같았다. 그럼에도 이 책은 분명 시사하는 바가 있고 흥미로운 책이다. 남에게는 평온해 보이는 삶도 본인에게는 지리멸렬할 수 있고, 멀리서보면 온갖 불행을 뒤집어 쓴 것 같은 삶이 생동감 있는 삶일 수도 있다는 것. 그 삶을 남이 판단할 수는 없다는 것. 안진진의 마지막 선택이 '모순'처럼 느껴지는 것도 이 소설의 제목을 완성시키는 장치일까. 이 주제를 좀 더 치밀한 장치로 심도있게 풀어내지 못한 것이 아쉽다.

모순

양귀자 지음
쓰다 펴냄

1주 전
0
화성인님의 프로필 이미지

화성인

@hwasungin

  • 화성인님의 맡겨진 소녀 게시물 이미지

맡겨진 소녀

클레어 키건 지음
다산책방 펴냄

읽었어요
1개월 전
0
화성인님의 프로필 이미지

화성인

@hwasungin

살아보지 않고는 모르는 각자의 삶이 있다. 선과 악을 이분법으로 나눌 수는 없다. 누가 선인이고 누가 악인인가. 이 책의 어느 인물도 선하기만 하지도 악하기만 하지도 않다. 아니, 그 행동을 감히 악하다고나 할 수 있을까. 인물의 삶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모두가 짠하다. 나였다면 그 시절을 어떻게 살아냈을까. 누군가의 삶을 함부로 재단하지 말 것. 마지막 장을 덮고 나서도 한참을 사색하게 하는 책이다.

1945

배삼식 지음
민음사 펴냄

1개월 전
0

화성인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