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성님의 프로필 이미지

박찬성

@chan_director

+ 팔로우
제로 투 원의 표지 이미지

제로 투 원

피터 틸 외 1명 지음
한국경제신문 펴냄

"그의 삶에서 인류의 미래를 볼 수 있다."

내가 스타트업을 입문하며 가장 궁금한 인물은 단연코 피터 틸이었다.
《Zero to One》과 《스타트업 경영수업》을 함께 읽으며
그의 비전과 세계관에 압도되는 듯했다.
이것이 과연 한 시대의 인간이 이룰 수 있는 업적인가 하는 생각도 들었다.

그에게서 배워야 할 건 ‘독점’이 아니다.
나는 그것이 장기 시계열적 사고, 즉 명확한 미래 낙관주의라고 본다.
‘독점’, ‘거듭제곱법칙’, ‘상식 깨기’는 모두 그 사고의 부산물일 뿐이다.

피터 틸 덕분에 나는 NPC의 삶에서 깨어났다.
그리고 지금은 나만의 비전과 세계관을 쌓아가고 있다.
그건 실행 없는 철학이 아니라,
철학이 행동으로 검증되는 삶이다.
0

박찬성님의 다른 게시물

박찬성님의 프로필 이미지

박찬성

@chan_director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를 준비하는데 있어서 '커뮤니티'는 필수라고 생각한다.
이에 도움이 되고자 이 책을 읽었다. 다만 좋은 플레이북이라기엔 아쉽게 느껴졌다.
이 책에선 다양한 브랜드들의 성공사례를 소개하는데, 그 성공원인을 '커뮤니티' 로 애써 연결지으려는 노력이 보인다.
또 소개된 브랜드 중 사장된 곳도 많다. 브랜드 성공원인은 다방면에 존재하며, 커뮤니티라는 요소가 성공의 충분조건이 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커뮤니티에 중요한건 '사람'이라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커뮤니티를 공급자적인 관점에서 다루는게 아쉽다.

커뮤니티는 어떻게 브랜드의 무기가 되는가

이승윤 지음
인플루엔셜(주) 펴냄

2시간 전
0
박찬성님의 프로필 이미지

박찬성

@chan_director

"그의 삶에서 인류의 미래를 볼 수 있다."

내가 스타트업을 입문하며 가장 궁금한 인물은 단연코 피터 틸이었다.
《Zero to One》과 《스타트업 경영수업》을 함께 읽으며
그의 비전과 세계관에 압도되는 듯했다.
이것이 과연 한 시대의 인간이 이룰 수 있는 업적인가 하는 생각도 들었다.

그에게서 배워야 할 건 ‘독점’이 아니다.
나는 그것이 장기 시계열적 사고, 즉 명확한 미래 낙관주의라고 본다.
‘독점’, ‘거듭제곱법칙’, ‘상식 깨기’는 모두 그 사고의 부산물일 뿐이다.

피터 틸 덕분에 나는 NPC의 삶에서 깨어났다.
그리고 지금은 나만의 비전과 세계관을 쌓아가고 있다.
나아가 실행 없는 철학이 아닌, 행동으로 검증하는 삶을 살 것이다.

피터 틸

토마스 라폴트 지음
앵글북스 펴냄

2시간 전
0
박찬성님의 프로필 이미지

박찬성

@chan_director

기대를 많이 한만큼 아쉬움도 컸다
초반에는 흥미롭고 배울만한 플레이북이었다가, 중후반부 부터는 지엽적이고 불필요한 내용들이 무한히 반복된다.
특히 대인판매/컨퍼런스 판매는 구시대적인 방법론이라 생각하는데, 이 책은 그에 대해 너무나 자세히, 지겹도록 다룬다.
역시 플레이북(방법론)은 심리학/인문학 등 인간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일반화할 수 있는 범위까지만 다뤄져야 한다.
그런 점에서 오늘 읽은 '샘 알트만의 스타트업 플레이북'은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하다고 볼 수 있다.

지금 내게 필요한 책은 세상을 보는 '안경(View)'을 씌워줄 수 있는 책인 것 같다.

브랜드 설계자

러셀 브런슨 지음
윌북 펴냄

2시간 전
0

박찬성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