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인재전쟁
KBS 다큐인사이트 〈인재전쟁〉 제작팀 지음
21세기북스 펴냄
☝️ 이 책은 '인재전쟁'이란 이름으로 이미 시작된 국가 생존경쟁의 현장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경고서다.
🤔 최근 중국은 '기술 패권'을 향해 공대 중심으로, 한국은 '사회적 안정'을 향해 의대 중심으로 달려가고 있다.
🧐 둘 다 인재를 갈망하지만, 방향은 극명히 다르다. 책은 이 대비를 통해 묻고 있다.
🤯 "10년 후, 누가 세상을 바꾸는가? 기술인가, 자격인가?"
.
🇨🇳 1부. 공대에 미친 중국: 기술 패권으로 향하는 국가의 집념
✨️ 중국은 지금 교육을 ‘국가전략의 무기’로 쓰고 있다.
✨️ 공학 중심의 대학 구조, AI, 반도체, 로봇, 우주산업 분야의 인재 집중 육성 등 '공학굴기'는 이미 산업과 경제, 국방을 잇는 국가 차원의 프로젝트로 진행 중이다.
✨️ AI, 로봇, 칩,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국가 생존 시스템'이 공대에서 출발한다는 믿음이 확고하다.
✨️ 심지어 대학 교육과 산업현장, 군사 연구소가 하나의 생태계로 연결되어 있으며, 인재는 '국가의 부품'이 아닌 '국가의 엔진'으로 길러진다.
✨️ 중국의 젊은 세대는 기술이 곧 애국이고, 공학이 곧 미래라는 확신을 갖고 있다.
✨️ 그들의 경쟁력은 단순한 지식이 아니라, 국가가 설계한 방향성과 시스템의 일관성에서 나온다.
.
🇰🇷 2부. 의대에 미친 한국: 불안에 길을 잃은 사회의 자화상
✨️ 반면, 한국의 인재전쟁은 생존 본능의 발현이다.
✨️ 책은 냉정하게 진단한다. "한국의 인재는 미래를 향해 나아가지 않는다. 불안을 피하기 위해 숨는다."
✨️ 한국의 '의대 쏠림'은 단순한 인기 현상이 아니다.
✨️ 국가가 실패를 용인하지 못하고, 산업이 혁신 인재를 흡수하지 못하는 사회구조의 결과다.
✨️ 공학, 창업, 콘텐츠 분야로 도전할 이유가 사라지자, 최고의 두뇌가 '확실한 안정'을 좇아 의대로 몰려들고 있다.
✨️ 그 결과, 혁신의 현장은 인재의 씨가 마르고 있다.
✨️ '의사'가 늘어날수록 '공학자'와 '창업가'는 줄어들고, 새로운 산업은 태어나기도 전에 경쟁력을 잃는다.
✨️ 우수한 지적 자원이 국가의 성장동력 대신, 개인의 생존 도피처로 흘러가는 것이다.
✨️ 문제는, 이 구조를 부모 세대와 사회가 공모하고 있다는 점이다.
✨️ 성적이 좋으면 의대, 불확실하면 공무원, 실패는 허락되지 않는 사회. 이 틀 안에서 '도전’'은 위험이 되고, '안정'이 미덕이 되었다.
.
🎯 마무리 : 인재전쟁은 이미 시작되었다, 그러나 방향은 다르다.
✨️ 이 책은 불편하지만 피할 수 없는 질문과 마주한다.
✨️ "우리는 지금 미래를 향해 가고 있는가, 아니면 불안을 피하고 있는가?"
✨️ 중국은 기술로 세상을 설계하고 있고, 한국은 불안 속에서 자격증을 쌓고 있다.
✨️ 인재의 방향이 곧 국가의 방향이라면, 한국은 지금 '불안의 방향'으로 가고 있는 셈이다.
✨️ 이대로 가면, 10년 뒤 우리는 기술을 수입하고 의사를 수출하는 나라가 될지도 모른다.
✨️ 진짜 인재전쟁은 지금, 교실과 가정, 그리고 사회의 인식 속에서 이미 벌어지고 있다.
✨️ 미래는 도전하는 자의 것이 아니라, 도전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만든 사회의 것이다.
1
나래슈즈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