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세계 악녀 이야기
시부사와 타츠히코 지음
삼양미디어 펴냄
41p
● 폭군 네로를 만든 주요 원인 중 하나, 순탄치 않았던 성장 환경
“황비가 보낸 자객이 어린 네로의 침실을 습격한 일도 있었다.”
43p
● 독재자는 필연적으로 불안하고 그에 따른 과로에 시달린다. 지팔지꼰.
“전제군주는 누구나 그렇지만 아그리피나 역시 자신의 지위가 언제 위협당할지 모르는 불안으로 항상 고통받고 있었다.”
56p
● 혼란하기 짝이 없던 6세기 게르만 메로빙거 왕가.
“죽은 왕의 아들들에게 왕국을 분할하는 과정으로 형제간의 끝없고 죽고 죽임과, 왕비나 애첩의 음모 등으로 추한 다툼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었다.
69p
● 프레데군트라는 괴물에 맞선 브룬힐트도 괴물이 되었고 80세의 나이에 사지가 찢기며 비참한 말로를 맞이한다.
”자신의 권력을 지키기 위해 죄악에 죄악을 거듭해 손자와 증손자를 몇 명이나 죽였다.“
77p
● 괴기한 가문도 결국은 그 시대의 가치관이 투영되어있다.
”즉, 보르자 가문의 사람들은 [역사]라는 한 장의 거대한 캔버스 위에 당시의 도덕적 퇴폐상을 원색의 격렬한 터치로 칠했으며, 이들이야말로 시대를 대표하여 도덕적 타락을 적나라하게 표현한 사람들이라는 것이다.
78p
● 로마교황도 정부를 두었다는 사실을 잊고 있다가 책의 대목을 보고 다시 기억이 났다.
“로마교황이나 되는 사람이 젊은 시절 몰래 정부를 두고 있었다면 이상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87p
● 권력의 곡두각시였던 루크레치아의 비루한 처지.
“루크레치아의 슬픔은 뒷전인 채, 바티칸 궁은 관현악 소리와 화려한 웃음소리로 넘쳐났다.”
89p
● 권력에서 벗어나는 것이, 어떤 사람에게는 달콤함을.
“로마를 떠나고 난 후부터 루크레치아는 더 이상 스캔들에 휘말리지 않았다.”
95p
● 엘리자베스 여제의 대표적인 정체성 그 이면엔 그녀의 아픈 트라우마가 있었다.
“그녀의 생활은 어릴 때부터 긴장과 공포의 연속이다.”
100p
니코틴의 유래가 된, 프랑스인 ‘쟌니코’
“무엇보다 처음 담배를 유럽에 전한 것은 프랑스인 쟌니코이기 때문에, 롤리의 경우, 정확하게는 흡연의 습관을 전했다고 해야할 것이다.”
115p
● 비도덕적 사랑은 메리 스튜어트를 나락에 빠지게 했다. 그에 대해 그녀가 남긴 말이 낭만을 느끼게 된 것이 당황스럽지만,
“그 분을 위해 그 후로 난 명예를 포기했습니다. 그 분을 위해 난 권세와 양심을 내걸었습니다. 그 분을 위해 난 가족과 친구를 버렸습니다.”
147p
● 책에 나오는 에르체베테 바토리 백작 부인의 행적을 보면 한국에 악명이 퍼지지 않은 게 다행으로 느껴진다. 그녀가 저지른 악행은 책을 읽으며 가장 강렬히 느낀 부분이지만, 너무 끔찍해서 책 리뷰에서 기록할 수 없다.
“한편, 백작 부인의 마음에는 저 세상에 대한 동경은 찾아볼 수 없었고 후회도 끝내 생기지 않았다.”
164p
● 살인자라 침을 뱉은 유골을, 이기심으로, 신줏단지로 모시는 인간의 탐욕
“그리고 후에 브랑빌리에 부인의 유골은 귀신을 막는 부적이라 하여 고가에 팔리기도 했다고 한다.”
175p
● 눈없새에겐 시기를 잘 타고나야 하는 운이 인생을 구원하는 주요 요인이다. 앙투아네트는 그러지 못했던 자.
“그러나 그녀에게는 역사의 흐름을 이해하는 능력도 없었고 이해하려는 의지도 없었다.”
188p
● 자신과 완전히 반대의 특성을 보인 남자에게, 반전 매력으로 이끌려 악의 부부가 된 마그다 괴벨스.
“탄탄한 저음으로 공산당 탄핵 연설을 쏟아내기 시작하자 마그다의 마음은 완전히 이 남자에게 빼앗겨 버렸다. 작은 몸집에서 어떻게 저런 힘찬 목소리가 나오는 걸까.”
206p
● 백성을 구원했지만, 그 밑엔 뒤이은 권력자의 음모에 희생된 또 다른 백성들의 유골이 있었다
“이에 무왕은 미인계를 이용하여 주왕 곁에다 훈련시킨 달기를 바쳐 주왕을 더욱 나쁜 쪽으로, 더욱 심한 폭군이 되도록 만들려는 것이었다.”.
234p
● 여후가 저지른 궁궐의 잔혹한 연좌제는, 백성에게는 금지가 된 아이러니.
“한고조의 민생안정정책을 계승하여 농업을 장려하고, 연좌제 등의 가혹한 형벌을 폐지했다.”
243p
● 측천무후의 유전자 속에 어떤 요소가 자식을 잡동사니로 여기게 했을까?
“집계에 따르면 다른 여인에게서 낳은 자식을 포함해서 무후가 낳은 8명의 아들 중 한 명만 요절하고 5명이 어머니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
270p
● 자신도 죽이고, 청나라도 죽인 서태후가 죽어서도 자신을 따라왔다는 것을 동태후가 알았으면 얼마나 치가 떨릴지.
“서태후의 능은 하북성 준화현 청동릉에 동태후의 능과 나란히 하고 있다.”
0
LGO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