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eji Margo Lee
@zvudaenhykeg
+ 팔로우
읽었어요
1888년에 쓰인 소설이라는 사실이 믿어지지 않는다. 작가가 당대 미국 사회의 부조리함을 비판하기 위해 묘사한 모든 글들이 2017년 한국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고 해도 곧이 믿었을 것이다.
작가가 상상한 100년 후, 2000년에 인류는 사회주의 유토피아를 이룬다. 현대의 삶이라는 게 얼마나 뼈 아프고 그로테스크한지 한 번이라도 한숨 쉬어 본 독자라면 벨라미가 자세하게 묘사한 이 유토피아에 푹 빠져서 중반부까지 빠르게 읽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중반부를 넘어서면, 그 과도한 자세함에 약간 지치기 시작하는 게 흠이라면 흠이다. 그 방대한 분량에 드라마적 요소가 우선순위에서 밀려, 읽는 데 약간의 인내를 요하게 된다. 하지만 괜찮다. 벨라미는 최대한 디테일하게 사회의 작동원리를 서술해야 후손들이 시행착오없이 그런 사회를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한 모양이라고 생각하니, 고맙기까지 했다. SF의 고전답게 시간여행 설정을 넘어 신용카드나 라디오 같은 기술적인 상상력까지 더해주니 흥미진진한 요소도 있다.
책을 덮자 씁쓸했다. 2000년의 한국인들은 벨라미가 통탄했던 1887년보다 더하면 더했지 결코 덜하지 않은 자본주의적 디스토피아에 살고 있었다. 하지만 이 책이 출간된 당시 책 속 유토피아에 영향을 받은 사회주의 정치단체가 유럽에 생겨났고 우리가 북유럽 서유럽 본받아야 한다며 입에 달고 사는 이유에 벨라미가 어느 정도 기여했다고 생각하면, 이 책을 많은 사람에게 권해 더 나은 미래를 기대해보는 것도 무리가 아닐 거라고 본다.
아래는 벨라미가 묘사한 1887년이다.
"나는 안으로 들어가 매장 감독이 매 같은 눈을 하고 장사를 감독하는 모습을 보았다. 점원들을 감시하면서 점원들이 돈이 있으면 돈으로, 돈이 없으면 신용으로 사라, 사라, 사라고 손님에게 권유하도록, 손님에게 필요하지 않은 것을, 필요한 것 이상을, 감당하지 못할 것을 사라고 권유하도록 감시하는 모습을 말이다."
"아무 일도 세상에 해주지 않고 어떻게 살았느냐고? 아무 일도 하지 않고 내내 빈둥거리며 사는 자를 세상은 왜 먹여 살려주었느냐고? 질문에 답하자면 우리 증조부가 돈을 모았고 그 뒤로 후손들이 이 돈으로 먹고 살았다고 해야겠다. (...) 원래 증조부가 번 돈은 결코 큰 금액이 아니었다. 그 돈은 삼대가 빈둥거리며 놀고 먹는 동안 원래보다 훨씬 더 불어났다. (...) 모든 사람이 자신도 그렇게 되고자 원했던 이 기술을 쓰는 사람은, 투자 수익으로 먹고 사는 사람들이었다."
1
Yeji Margo Lee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