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혜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강혜리

@helia

+ 팔로우
압구정 소년들의 표지 이미지

압구정 소년들

이재익 지음
황소북스 펴냄

읽었어요
참 흡입력이 대단한 책이다.
대단한 작가다.
펼쳐든 순간 부터 손에서 뗄 수가 없다.
이 작가님의 모든 책들이 다 그러한 거 같다.

'싱크홀'부터 시작해서 '복수의 탄생'을 지나
'압구정 소년들'까지 읽어본 결과
거침없는 전개와 파괴력있는 반전은
책장을 계속 넘기게 만든다.

처음시작은 미스터리로 시작하여
간간히 과거의 향수를 느끼게 해주면서도
중간중간에 오싹함이
결국 애틋하고도 가슴아픈, 혹은 다시 설레이는
사랑얘기로 끝이 난다.

이러한 흐름이 그렇게 신선한 느낌을 주는 건 아닌데
이야기자체에 묵직묵직한 진지함들에서 그 신선함을 찾을 수가 있다.
복선을 나열하고 그걸 풀어놓는 다기보다는
거대한 덩어리들을 중간중간에 투박하게 던져주니
그 뒷이야기가 궁금해서 중간에 책을 덮지 못하게 된다.

젊음과 도전, 혹은 열등감과 사랑에
얽히고 섥힌 이야기가 PD경력있으신 작가님의 눈으로
좀 더 현실과 흡사하게 맞닿아질 때
느껴지는 오묘한 느낌이 다소 위험하게까지 느껴질 정도로
글의 디테일은 살아있다.
0

강혜리님의 다른 게시물

강혜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강혜리

@helia

  • 강혜리님의 시대예보 게시물 이미지

시대예보

송길영 지음
교보문고(단행본) 펴냄

읽었어요
2일 전
0
강혜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강혜리

@helia

그런 회사를 다닌 적이 있다.
6개월 동안 뚜렷하게 한 일이 없음에도 월급을 준 회사.
일을 하긴 했으나 내 할 일이 아니였고, 내 역량을 발휘하는 일이 아니였다.
6개월 중 대부분의 나날은 그저 할 일 없이 책상에 앉아있는 게 전부였다.
매주 하던 회의에서 나를 제외한 직원들의 바쁨을 들으며 자괴감에 빠지곤 했었다.
이러한 고민을 털어놓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월루하는 게 부럽다면서 나를 이상하게 보곤 했다.
하지만 점점 떨어지는 자존감과 매일 느끼는 무쓸모함을 인정하고 싶지 않아서
결국 나는 이사님에게 내가 해야하는 일이 없는지 물었고, 몇 개월 동안은 딱히 없다는 말에
퇴사를 결심했고, 한 달 뒤 바로 퇴사를 했다.

퇴사 이후 내가 정말 별난 사람인 건가, 인생을 괜히 꼬아서 사는 건가 했는데
이 책을 보며 그저 나는 지극히 평범하게 '가짜 노동'을 싫어했던 거구나 싶었다.

세상은 생각보다 빠르게, 그리고 많이 변했고
그만큼 더 편해질 거란 우리의 기대는 어느새 땅 깊숙히 묻힌 채
세상보다 더 빠르게 변화하려고 숨 차도록 달리고 있다.
무엇을 향해 뛰는지 조차 모르면서 그저 그 누구보다 바쁘다는 듯이 살아가고 있다.

책에서 말하는 것처럼
'굳이' 라는 모든 일에 우리는 하나하나 의미를 부여하며
자기 합리화를 시작으로 그것이 마치 '정의'인 것처럼 살아가고 있다.
숨막힐 정도의 압박 속에서도 그것을 오히려 자랑삼아 버티고 있다.
이것이 과연 맞는가. 올바른가.

결정적으로 윗선부터 '가짜노동'을 내쳐야 하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그러한 움직임이 과연 생길까.. 기대가 되지 않는다.
물론 몇몇 극소수의 회사에서 이러한 움직임이 보이고 있긴 하지만,
말 그대로 극소수이기에 '노동'에 대한 가짜와 진짜의 빈부격차가 심해지지 않을까 염려스럽다.

오히려 그들은 알고 있음에도 회피할 것이다.
본인들이 편해야 하고, 본인들이 우위에 서 있어야 하니까.
과연 불편함을 감소하면서 낮아지려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이 책을 읽는 우리부터 차근차근 변화에 앞장서자고 하지만,
물론 나도 거기에 동참하겠다만,
솔직히 희망적이지는 않다.
그럼에도
우리의 움직임이 다음 사람의 발걸음을 조금이나마 가볍게 할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값어치 있었다 라고 스스로 다독이고 싶다.

진짜 '노동'을 한 후 개운하게 '쉼'을 누릴 수 있는 삶.
그러한 인생을 꿈꿔본다.

가짜 노동

데니스 뇌르마르크 외 1명 지음
자음과모음 펴냄

2주 전
0
강혜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강혜리

@helia

점점 더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
그리고 그 속도에 거침없이 나아가는 사람들.
그들은 이미 이 흐름을 즐기고 있다.

스마트폰 하나로 세상은 어마무시하게 변화했다.
한낱 지나가는 유행이라 생각했던 어리석은 사람들은
뒤늦게 뒤쫓아가느라 정신이 없을만큼
스마트폰의 영향력은 대단하다.

대부분의 모든 분야에서 스마트폰이 없이는 생존하기 힘들 정도로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세상이 돌아가고 있고,
그 스마트폰의 주인이 '주인공'인 세상이 되었다.
한 손에 잡히는 작고 네모난 창에 온세상이 담긴 것이다.
그 세상에서 살아남기 위해선 '주인공'의 심리를 알아야 한다.

이 책은 그 '주인공'의 심리를 정확하게 설명해주고 있다.
그들이 어떠한 변화를 이끌어냈는지
그 변화에 우리가 어떻게 적응해야 하는지
적응하기 위해서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하는지

이제 더이상 수동적이지 않는,
그리고 단순하거나 일괄적이지 않는,
변화무쌍한, 예측하기 어려운,
그들. 혹은 나를 파악하기에 괜찮은 내용이다.

포노 사피엔스

최재붕 지음
쌤앤파커스 펴냄

2주 전
0

강혜리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