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다시 사랑할 수 있을까
사라 쿠트너 지음
은행나무 펴냄
읽었어요
연애소설인줄 알고 집었던 책이었고, 7월의 뜨거운 태양아래서 내 마음 또한 들떠있을때 절반 정도 읽었던 책이다.
예상과는 달리, 글의 초반부터 헤어진 카로의 이야기가 나오고, 그녀는 마음의 병을 앓게 된다.
그리고 나는 친구에게 "독일에 내 영혼의 쌍둥이가 있나봐" 라고 말했었다.
어쩌면, 우리는 모두 아픈 구석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20대 초반이든 후반이던 간에,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는
어쩔수 없는 불안과 우울에 시달릴 수 밖에 없다. 아니, 현대 사회가 아닐 지라도, 인간이니까 어쩔수 없다고 생각한다.
같은 우울도 사람의 성향, 살아온 방식, 그 정도에 따라 다 다르게 나타난다.
작가는 이러한 우울을 정말 소름끼치리만큼 잘 표혔했다.
글을 못 쓰는 내가 표현하고자 했던 그 소소한 감정들 마저 다양한 비유로 잘 표현했다.
그리고 그러한 묘사에서 오는 공감성 수치, 흔히 뼈 때렸다고 말하는데, 나는 꽤 뼈를 많이 맞은 것 같다.
우울증에 걸린 사람들의 아프고, 또 부끄러운 그 얼굴들을.
중반 이전 파트를 내가 읽은지 오래되어서 이전에 언급한진 모르겠지만, 카로가 정신과 의사에게 자신의 검은 똥같은 덩어리들을 쏟아내버린다.
봐, 내가 이렇게 아플만한 이유가 있잖아 ! 라고 외치는 것같았다.
대개 마음이 아픈 사람들은 그 상처를 온전히 남의 탓이라 여기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한다.
나 또한 결국 작은 일에 신경쓰고 예민하게 구는 것은 내 마음의 문제라 생각하고 날 괴롭히고 있으니까.
카로가 막스와 함께 이 모든것에서 잠깐 신경을 꺼버리고, 자신의 행복을 현재 느끼고 있는데서 이 소설은 마무리된다.
내가 생각하는 내 문제의 해결도 이것이었다.
그냥, 신경을 안쓰면 된다. 가장 어려운 것이고 많은 제반조건을 필요로 하고 많은 치료와 많은 과정을 거쳐야 하겠지만,
결국 우리는 "문제의 해결" 이 아닌 "신경 안쓰기" 를 목표로 하고 이 삶을 살아낸다는 사실을
한국에서 뿐만이 아니라 독일에서도 똑같이 통한다는 사실을 다시금 마음에 새겼고, 그것은 내 마음에 깊이 자리해서 내 마음의 방어막으로 쓰일것이다.
단지, 카로가 차분하고 나의 모든 우울과 성질을 받아줄 남자친구를 찾음으로서 문제의 해결이 진척된단는 사실은 조금 짜증났다.
그런 사람을 못찾으면? 그런 사람이 없다면? 이야기는 조금 달라지겠지.
그래도 나에겐 또 다른 보완제가 존재하겠지, 라고 내버려두는거, 그게 나한테 이 책이 선물한 마음이다.
1
카날레스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