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철학적으로 널 사랑해
올리비아 가잘레 지음
레디셋고 펴냄
사랑. 가장 자극적이면서도, 가장 만연하며 또한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는 주제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많은 로맨틱 영화를 주로 봐온 나에게는 로맨스는 그저 해리포터와 같은 판타지였다.
나의 짧은 인생동안 내가 교육받아아온 사랑이라는 관념은 아름답기 그지 없었고, 그래서 나는 더욱더 회의적이었다.
다 허상일뿐인, 그저 누군가가 만들어냈고 인류가 답습해온 허상일 뿐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나는 더 의문스럽고 호기심이 가득했다. 사람들은 왜 다 사랑하고 싶어 마지 않고, 자신을 사랑을 전시하고 싶어 마지 않고, 사랑하지 않는 사람들을 폄하할까?
그리고 모든 위대한 사상가들 또한 사랑에 대해 한마디씩 할까? 혹은 이성으로서 무장한 냉철한 그들도 어떤 열정적인 힘에 휩싸여서 무너져리고 슬퍼하고 정신을 잃을까?
그리고 이 책은 나름의 해답을 주었다.
"사랑은 본질적으로 덧없는 것이다. 그리고 사랑의 원리 속에는 이미 사랑의 종말이 새겨져 있다. "
알다시피, 이 관념은 하나로 정의할수도 없으며, 다른 관념들과 촘촘하게 연관되어있다. 작가는 나름의 부류를 잘 나누어 이를 설명하려고 했다. 한편 한없이 가벼워 보이는 핫핑크 색과 표지 일러스트와는 다르게 쏟아져나오는 방대한 철학자들, 과학자들, 심리학자들의 이름과 문학들은 나를 당황스러우면서도 지식의 바다에서 헤엄치는 기쁨 또한 주었다.
기록할 것이 너무도 많았다. 흔한 요샛말로 "띵문"이라고 하는 것들이 너무나도 많았다. 인간들 간의 성애적 일들은 늘 흥미롭고, 어디서든 일어날 수 있는 일이기 때문에, 내가 겪은 한정적인 상황과 관계들에도 적용되는 일들이 많았고, 친구의 이야기, 영화로부터의 간접 경험들 내가 간접적으로 체험한 모든 사랑과 관계된 일들에 접목할 수 있고 생각이 생각에 꼬리를 물게 해서 절대 단번에 읽을 수 없는책이었다.
흥미로웠던 것은 거의 모든 장에서 나타나는 사랑에있어서의 여성과 남성의 권력 관계는 인류의 기원에서부터 답습해왔던 가부장제에서 다른 세계를 향해 발버둥 치는 여성들이 많아진 현대에 살고있는 나에게 감사와 또 슬픔 또한 선사했다.
모든 부분에 대해서 완벽한 공감이 됐었던 것은 아니다. 엥, 이건 또 뭔소리래 싶은 부분도 있었으나 보지못하고 상상해보지 못한 세계들 또한 나에게 소개했고 놀랍기도 하였다.
이책을 읽고나면 철학자들에 대해 더 알아보거나 문학작품을 읽고싶어 몸이 근질거릴것이다.
나는 수없이도 많이 인용된 밀란 쿤데라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과 플라톤의 <향연>이 가장 궁금하고, 또한 사르트르와 보부아르의 관계 또한 알아볼 예정이다.
번역에 대해 잘 알지 못하지만, 읽으면서 걸리적 거리는 부분도 딱히 없었다. 늘 그렇듯이 철학이라는게 한번 읽는다고 한번에 머리에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이미 공공연한 사실이니까.
영어로 읽어보고싶은데 구글을 뒤져봐도 이책은 원서인 프랑스를 제외하고는 한국에서 처음 번역된 듯 싶다.
빌리고 반납하고를 계속해서 뛰엄뛰엄 3개월만에 다 읽은 책이지만. 개인적 기호로서, 소장해서 두고두고 읽고 싶은 책이고 나에게 앞으로 사랑과 혹은 그 유사 감정에 마주했을때 지침서로 작용할 예정이다. 완벽한 책은 아니지만 나에게 많은 아이디어와 답과 가능성을 주었다.
1
카날레스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