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서른아홉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다
서진 지음
엔트리 펴냄
읽었어요
올해로 딱 30이 되었다. 옛날 같으면 이립(而立)이라고 해서 마음이 확고하게 서서 움직이지 않는 어른인데, 나는 그렇지 않다. 흔들릴 마음조차 없어진 어쩐지 열정의 김이 빠져 차갑지도 뜨겁지도 않은 애매한 존재가 된 것 같다.
20대의 시간을 지나고 돌아보니 죽도록 노력해야 겨우 남들과 비슷하게 살 수 있다는 걸 깨달았다. 기를 쓰고 바득바득 살아야 겨우 남들 사는 만큼의 '평범한' 삶을 사는 걸 깨달으니 인생이 약간 허무해졌다. 말도 안 되는 핑계 같지만 난 그 허무감이 싫어 이제 죽을 만큼 노력하진 않게 되었다. 노력하지 않는 건 아니다. 열심히 하지 않으면 어떠한 것도 얻을 수 없지만, 열심히 한다고 그에 비례하여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는 것도 아니라는 걸 몸으로 배워가고 있다.
생계를 위한 일을 진력을 다해가며 필사적으로 하기 보단, 일은 딱 남들만큼만 하고 내 건강과 삶의 즐거움, 주변의 사랑하는 사람들을 더 챙기게 되었다. 20대에서 30대로 넘어오면서 학업과 취업 준비, 사회생활이라는 보통의 사람들이 으레 겪기 마련인 질곡의 시간을 거치며 삶의 태도가 바뀌게 되었다. 어디에 내세울 만큼 노력했다고 할 수도 없지만 내 나름대로는 그 순간에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서 지금의 자리에 서 있게 된 건 부정할 수 없다. 그 자리라는 게 자랑할 수준도 아니고 부끄러워할 필요도 없는 딱 그 정도지만.
삶의 정신적 변곡점에 선 지금, 이 책을 읽으며 마음이 맞는 친구와 이야기를 나눈 듯 했다. 나이의 앞자리가 바껴 싱숭생숭한 마음에 맴돌던 이야기를 누군가 대신 해주는 것 같아 마음이 조금은 편해진다. 30대의 시작을 같이 하기에 썩 괜찮은 책이었다.
**우리는 실패를 하지 않으려고 발버둥을 치지만, 실패를 피할 수 없다는 것이 진실이다. 실패의 조각들은 녹지 않고 몸에 차곡차곡 쌓이고 결국 그것들이 나를 만든다. 실패한 일을 부끄러워할 필요도 없고, 무용담처럼 떠벌릴 필요도 없다. 다만 실패든 성공이든 또 다음이 있다는 것을 기억할 것. 그러니 실패의 기억은 그냥 쓴 웃음으로 넘기고 가벼운 마음으로 다시 시작할 것 (p.26)**
3
sujiin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