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혜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강혜리

@helia

+ 팔로우
공범들의 도시 (한국적 범죄의 탄생에서 집단 진실 은폐까지 가려진 공모자들)의 표지 이미지

공범들의 도시

표창원 외 1명 지음
김영사 펴냄

읽었어요
무조건 다 맞다고
무조건 다 옳다고
하는 건 아니다.

단지,
정말 이 사회가 이대로 가도 되는 건가... 하는 걱정과 우려가
이런 말들을 토해내게 하는 것 같다.

나조차도 행동하지 못하고
그저 앉아서 멍하니 바라보고 있으니
'공범'이라 할 수도 있겠다.

사적이면서도 직설적인 이야기.
하지만
그것이 마냥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의 문제.
지금 당장 내가 살고 있는 대한민국의 문제.

책은 2013년에 출간됐는데,
그때와 달라진 거 없는 2019년을 보며
소름이 돋는 건 사실이다.

이젠 '공범'에서 벗어나야 할 것 같다.


「 저스티스Justice라는 것이 블라인드니스Blindness거든요. 정의의 여신상은 눈을 가리고 있잖아요.
그런데 우리 나라 법원은 눈을 안 가리고 있어요.」

「 ... 그런 시스템 자체, 사람을 중시하고, 사람에게 투자하지만, 사람에게 모든 것을 요구하지 않고,
모든 것을 갖추어놓은 안정된 경찰 제도가 인상적이었습니다.」

「 결국은 옳고 그름보다 이익을 앞세우는 우리 사회의 비겁한 관행 때문이라고 보거든요.
그분들이, 저 사람이 훌륭해서라기보다는 저 사람이 별로 도덕적이고 윤리적이지 않은 것을 알고 있지만,
저 사람이 돼야 우리한테 유리한 것을 알고 있는 거죠.
결국은 그것이 자기를 망치고 자녀를 망친다는 것을 왜 생각을 못하는지 너무 안타까워요...」

「 옳고 그름의 문제는 완전히 도외시하고, 이익이라는 차원에서만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 겁니다...」

「 ... 또 하나는 그 피해자의 피해로 인해서 오히려 법도 생기고, 제도도 생겨서 제 2, 제 3의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당신은 어떤 의미에서는 우리의 영웅이다.
점진적 노출을 하게 되면서 자기 스스로도 자기가 당한 피해에 대해서 받아들이고, 직면하고, 이겨낼 수 있게 해주는 거거든요.
그런데 우리는 그렇지 못한 거죠. 일단은 피해자라는 이름 자체가 부끄러울 수밖에 없는 사회 환경을 극복하지 못하는 거죠.」

「 ... '피해자 이름 부르지 마', 이걸로 끝내버리는 거거든요. 그게 얼마나 잔인한 것입니까? 우리 사회 전체가 대단히 잔인해요.」

「 잔혹하고 비인간적인 좀비들 세상이 되어가는 것 같아요. 양심이나 생각이란 것이 없이 오직 남은 건 이해관계인 것 같아요.
나에게 이익이 되냐, 이익이 되지 않느냐.」

「 ... 저도 과거에 대한 반성을 많이 해요. 정치에 관심이 없었거든요.
남의 일이라고 생각하고, 정치인들 스스로 자기가 알아서 하면 된다고 생각했거든요.
그런데 점점 겪다 보니까 경찰 내부에서 제대로 일하는 사람이 올라가지 못하고,
유력자에게 아부하고, 그들의 청탁이나 받아서 해결하는 사람이 올라간다. 왜 그럴까.
학교에서 아이들이 제대로 공부하지 못하고, 선행학습이 넘치고, 촌지도 받고, 왜 그럴까.
결국 못된 인간들이 교육감 되고, 교장 되고, 그들이 그렇게 되기까지 쏟아부은 데 대한 비용 환급을 받으려도 하니까 그런 거죠.
뭘 하나 하나 바꾸려고 해서 바뀔 문제가 아니구나.
사회 전체가 투명해지고, 올바르게 되고, 가장 정점에 있는 정치권력이 도덕적이 되지 않으면 안 될 문제구나.
그들의 인성적 도덕성보다는 그들이 제대로 할 수 있는 제도와 감시 체제, 언론이 제 역할을 해야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특히 언론의 자유, 방송·언론의 정치화와 독점화, 폐해가 대단히 심각한 사회적인 악의 근원이라고 생각하게 됐습니다.」

「 우리는 경찰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가 너무 수직적 계급 관계로 되어 있다 보니까 높은 놈들은 능력이 없고 알지 못해도
자기가 전지전능하다고 생각하는 겁니다. 수사가 망가지는 제일 많은 이유 중 하나가 계급 높은 사람들이 나서서 그래요.
자기는 쥐뿔 알지도 못하고, 수사는 제대로 해본 적도 없으면서 '야, 이건 면식범 소행이야. 가서 피해자 주변 조사해' 하면
거기에 대해서 '아니오'라고 말을 못하는 분위기인 거죠...」
2019년 5월 12일
0

강혜리님의 다른 게시물

강혜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강혜리

@helia

그런 회사를 다닌 적이 있다.
6개월 동안 뚜렷하게 한 일이 없음에도 월급을 준 회사.
일을 하긴 했으나 내 할 일이 아니였고, 내 역량을 발휘하는 일이 아니였다.
6개월 중 대부분의 나날은 그저 할 일 없이 책상에 앉아있는 게 전부였다.
매주 하던 회의에서 나를 제외한 직원들의 바쁨을 들으며 자괴감에 빠지곤 했었다.
이러한 고민을 털어놓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월루하는 게 부럽다면서 나를 이상하게 보곤 했다.
하지만 점점 떨어지는 자존감과 매일 느끼는 무쓸모함을 인정하고 싶지 않아서
결국 나는 이사님에게 내가 해야하는 일이 없는지 물었고, 몇 개월 동안은 딱히 없다는 말에
퇴사를 결심했고, 한 달 뒤 바로 퇴사를 했다.

퇴사 이후 내가 정말 별난 사람인 건가, 인생을 괜히 꼬아서 사는 건가 했는데
이 책을 보며 그저 나는 지극히 평범하게 '가짜 노동'을 싫어했던 거구나 싶었다.

세상은 생각보다 빠르게, 그리고 많이 변했고
그만큼 더 편해질 거란 우리의 기대는 어느새 땅 깊숙히 묻힌 채
세상보다 더 빠르게 변화하려고 숨 차도록 달리고 있다.
무엇을 향해 뛰는지 조차 모르면서 그저 그 누구보다 바쁘다는 듯이 살아가고 있다.

책에서 말하는 것처럼
'굳이' 라는 모든 일에 우리는 하나하나 의미를 부여하며
자기 합리화를 시작으로 그것이 마치 '정의'인 것처럼 살아가고 있다.
숨막힐 정도의 압박 속에서도 그것을 오히려 자랑삼아 버티고 있다.
이것이 과연 맞는가. 올바른가.

결정적으로 윗선부터 '가짜노동'을 내쳐야 하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그러한 움직임이 과연 생길까.. 기대가 되지 않는다.
물론 몇몇 극소수의 회사에서 이러한 움직임이 보이고 있긴 하지만,
말 그대로 극소수이기에 '노동'에 대한 가짜와 진짜의 빈부격차가 심해지지 않을까 염려스럽다.

오히려 그들은 알고 있음에도 회피할 것이다.
본인들이 편해야 하고, 본인들이 우위에 서 있어야 하니까.
과연 불편함을 감소하면서 낮아지려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이 책을 읽는 우리부터 차근차근 변화에 앞장서자고 하지만,
물론 나도 거기에 동참하겠다만,
솔직히 희망적이지는 않다.
그럼에도
우리의 움직임이 다음 사람의 발걸음을 조금이나마 가볍게 할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값어치 있었다 라고 스스로 다독이고 싶다.

진짜 '노동'을 한 후 개운하게 '쉼'을 누릴 수 있는 삶.
그러한 인생을 꿈꿔본다.

가짜 노동

데니스 뇌르마르크 외 1명 지음
자음과모음 펴냄

1주 전
0
강혜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강혜리

@helia

점점 더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
그리고 그 속도에 거침없이 나아가는 사람들.
그들은 이미 이 흐름을 즐기고 있다.

스마트폰 하나로 세상은 어마무시하게 변화했다.
한낱 지나가는 유행이라 생각했던 어리석은 사람들은
뒤늦게 뒤쫓아가느라 정신이 없을만큼
스마트폰의 영향력은 대단하다.

대부분의 모든 분야에서 스마트폰이 없이는 생존하기 힘들 정도로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세상이 돌아가고 있고,
그 스마트폰의 주인이 '주인공'인 세상이 되었다.
한 손에 잡히는 작고 네모난 창에 온세상이 담긴 것이다.
그 세상에서 살아남기 위해선 '주인공'의 심리를 알아야 한다.

이 책은 그 '주인공'의 심리를 정확하게 설명해주고 있다.
그들이 어떠한 변화를 이끌어냈는지
그 변화에 우리가 어떻게 적응해야 하는지
적응하기 위해서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하는지

이제 더이상 수동적이지 않는,
그리고 단순하거나 일괄적이지 않는,
변화무쌍한, 예측하기 어려운,
그들. 혹은 나를 파악하기에 괜찮은 내용이다.

포노 사피엔스

최재붕 지음
쌤앤파커스 펴냄

1주 전
0
강혜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강혜리

@helia

상당히 직관적이고 그림이 그려지는 이야기.
살짝 유치한 면도 있지만,
오히려 그것이 컨셉인냥 밀고 나아가니
그럭저럭 볼 만하다.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솔직한 표현만큼 잘 전달된다.

가볍게 읽기에 괜찮다.

잘 먹고 잘 싸운다, 캡틴 허니 번

김여울 지음
안전가옥 펴냄

1주 전
0

강혜리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