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hyun Cho님의 프로필 이미지

Sunhyun Cho

@sunhyunchofs12

+ 팔로우
인간은 필요 없다 (인공지능 시대의 부와 노동의 미래)의 표지 이미지

인간은 필요 없다

제리 카플란 지음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펴냄

도발적 제목의 책은 정작 읽어보면 내용에 알맹이가 없어 허무한 경우가 대다수인데, 이 책은 도발적 제목만큼이나 내용이 매우 알차고 충격적이다.

인공지능은 미래의 일이 아니고 현재 당면해 있는 문제다. 우리가 이해하고 인지하지 못한 인공지능들이 도처에 깔려 경제와 사회를 빠른 속도로 위협해가고 있다. 우리가 상술에 쉽게 넘어 가듯이, 인간은 단기적 이익에 민감하지만 장기적 불이익에 둔감하다. 인간의 무지와 오판으로 돌이킬 수 없는 실수를 범하지 말자는게 저자의 주장 같다.

인공지능과 초연결로 대표되는 4차산업이 실체가 없다고, 신기루라고 부정하는 사람들이 있다. 실체는 감추고 사회에 깊숙이 침투한 4차 산업혁명은 어쩌면 그래서 더 위험할 수도 있겠다. 저자가 표현하는 인조지능과 인조노동자의 본질을 우리는 찾아 낼 수 있을까?

이전의 혁명들이 machine muscle의 발달로 발생했다면, 새로운 혁명은 machine mind의 발달로 발생할 이전에 겪어보지 못한 파괴적 혁명이 될 것이다.
역사의 큰 물줄기를 보았을때 그동안의 농업혁명 산업혁명이 잔잔한 강물의 흐름이었다면 4차산업혁명은 거센 파도와 같은 급격한 변화가 될 것이다. 강물에서의 수영과 바다에서의 수영이 다르듯 우리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야 한다.

Machine muscle에 우리는 지성으로 대항 했다. 육체 노동은 기계 근육에 맡기고 새로운 지식기반 일자리가 만들어져 훨씬 많은 사람들이 대학에가 화이트 컬러 노동자가 되었다.
인간의 지성을 넘는 machine mind에는 무엇으로 대항 할 수 있을까? 지식기반 일자리를 인공지능에 넘기고 새로운 직업을 만들 수 있을까?
감성? 로봇이 경제 주체가 되면 인간적 감성이 필요 할까?
창의성? 인공지능이 창작의 가능성의 논쟁을 떠나 창의력은 많은 직업에 필요한 것이 아니고, 예술가야 말로 극소수가 부의 대부분을 갖는 구조다. 게다가 예술에 기반한 경제체제는 존재 할 수 없다. 예술이나 감성이 생산성 확대나 그 이상의 무언가를 가져올 수 있을까?

인공지능이 변화 시킬 사회에서 발생할 윤리문제와 경제문제를 예견하고 그 해결책을 주장하는 책. 개인이 무엇을 해야할지에 대한 내용이 없어 좀 아쉬웠지만, 생각 해보니 개인이 대처할 만한 방법이 없을 듯 하다. 제로섬 게임이 되지 않게 우리 모두가 더 이타적이되는 수 밖에....

저자는 미래를 낙관하지만 부의 집중에 대해 우려한다. 이 책을 읽기 전에 미래에 대한 낙관론자 였는데, 읽고나니 미래가 두려워 졌다.
인간이 언제나 그렇듯 방법을 찾아 낼 수 있을까?
2019년 5월 18일
0

Sunhyun Cho님의 다른 게시물

Sunhyun Cho님의 프로필 이미지

Sunhyun Cho

@sunhyunchofs12

"이 세상의 문제는 바보들과 광신도들은 항상 확신에 차있고, 현명한 사람들은 의심으로 가득차 있다는 점이다." -버트런드 러셀

- 행동경제학의 아버지 대니널 카너먼과 아모스 트버스키가 인간의 판단과 결정의 한계를 밝혀내는 과정을 서술 한 책. 한편의 다큐멘터리를 보는 느낌이라, 대니얼 카너먼의 '생각에 관한 생각'을 읽은 사람에게도, 엄두가 나지 않아 읽지 못한 사람에게도 좋은 책이다.

- 자라온 환경이나 성격이 반대인 두 거장이 융합해 기존 경제학이 내세운 인간의 합리적 결정 이론들을 과학적(수학적) 심리학으로 뒤집어 버리는 것이 인상적임.

- 대니얼 카너먼이야 최초로 비경제학자 출신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로 이미 잘 알려진 학자지만, 당대에는 아머스 카버스키가 더 학계에서 인정 받았던 것에 놀랐다. 역시 과학자는 수학을 잘해야 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래 삼아남은 자가 강한자'가 맞는건가?

- 인간이 이렇게 인지적 편향들을 갖을 수 밖에 없다면, 인간의 신경망을 본떠 만든 인공지능의 hallucination 문제도 쉽게해결 하기 어렵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어쩌면 둘이 만든 이론이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다.

- 두 사람은 직관을 경계했는데, 조건이 갖춰진 직관이 어떻게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결정을 이끌어 낼 수 있는지를 탐구한 게리 클라인의 인튜이션을 읽으면 더 균형잡힌 시각을 가지는데 도움이 되겠다.

생각에 관한 생각 프로젝트

마이클 루이스 지음
김영사 펴냄

2개월 전
0
Sunhyun Cho님의 프로필 이미지

Sunhyun Cho

@sunhyunchofs12

  • Sunhyun Cho님의 생각에 관한 생각 프로젝트 게시물 이미지

생각에 관한 생각 프로젝트

마이클 루이스 지음
김영사 펴냄

읽었어요
2개월 전
0
Sunhyun Cho님의 프로필 이미지

Sunhyun Cho

@sunhyunchofs12

  • Sunhyun Cho님의 생각에 관한 생각 프로젝트 게시물 이미지

생각에 관한 생각 프로젝트

마이클 루이스 지음
김영사 펴냄

읽었어요
2개월 전
0

Sunhyun Cho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