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하버드 사랑학 수업
마리 루티 지음
웅진지식하우스 펴냄
사랑이 나를 풍요롭게 한다면 머물러라.
하지만 그렇지 못하면 떠나라.
작가가 유일하게 사랑에 대해 세운 원칙.
이 책을 읽으며 지금의 남편인 사람과 사랑에 빠졌을 때를
떠올릴 수 있어서 좋았고, 결혼 후 조금은 편해진 관계에서의
그와 나 사이를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서 좋았다.
그래서 이 책은
#연애에서툰사람
#연애지침서를싫어하는사람
#연애지침서를보고황당했던사람
#연애의끝에결혼한사람
들이 모두 참고했으면, 한다.
그치만 작가가 책에서 인용된 많은 것들이
미국 드라마나, 영화, 소설에서 발취 된 거라
우리 정서에 안맞을 수도 있어 별점은 3점 정도로만
평했다.
사실 연애라 하면,
연애에 관한 책을 사랑을 잘 모르던 고등하교 때
많이 읽었던 것 같다.
나 또한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 책을 읽으며
‘ 아 그렇구나~’
‘ 나도 이래야되겠다.’
라는 어리석은 생각을 했었던 것 같다.
근데 몇 안되지만 연애의 경험으로 배운 것이 있다면,
‘나답게 행동하고, 나답게 사랑했을 때 나를 사랑해주는 사람을 만나야 내가 가장 나답게 행복할 수 있다.’ 이다.
나 또한 ‘밀당’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면서
친구들과 연애상담할 때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 라고
가벼운 조언들을 마구 쏟아냈었던 것 같다.
하지만 나에게 일어난 두가지 사건으로 인해
전과 후가 나뉘어 진 것 같다.
첫번째는, 강신주의 다상담 책을 읽은 것.
내가 5점을 준 책인데, 나는 정말 이 책을 읽고
머리를 몇대 맞은 느낌이었다.
그만큼 내용이 내게 진심으로 와닿았고, 유익했고,
내가 ‘나답게’ 사랑하도록 만들어 준 것 같다.
두번째는, 지금의 남편을 만난 것.
우린 ‘밀당’이라는 걸 모르고 연애했다.
아니 어쩌면 ‘밀당’할 여유가 없었다.
서로 너무 좋아서 정말 열정적으로 사랑했기 때문에.
말그대로 서로의 영혼을 일깨워주며 사랑했기 때문이었다.
이렇게 결혼을 하고,
이 책을 읽으니 추억도 새록새록 샘솟고,
결혼생활을 하면서도 나답게 사랑받을 수 있게 해준
남편한테 고맙고, 또 편안함 때문에 노력하재 못했던
나를 다시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
여자는 이렇고 남자는 저렇다는 ‘묘사’가 여자는
이래야 하고 남자는 저래야 한다는 ‘처방’이 돼버린 것입니다.
우리가 만나는 모든 사람이 우리 인생을 변화시키지만
깊이 사랑하는 사람만큼 나를 크게 변화 시키는 이는 없습니다.
왜 우리는 진화론적 과거를 초월하려 하지 않고 이에 기대
연애의 현 주소를 설명하려고 하는 걸까요?
연애의 이상을 찾는데 왜 동물 사회를 뒤적거려야 하는 걸까요?
왜 인간의 상상력을 들여다보지는 않는 걸까요?
이 상상력은 한 번도 생물학에 규제를 당한 적이 없습니다.
인간의 상상력은 전통 앞에서 고개를 숙인 적이 없는데
왜 이제 와서 그래야 하는 거죠?
왜 사회의 다른 부분은 앞서가는데 사랑은 뒤쳐져 있어야
하는 걸까요?
/
이 책에서 말하는 거짓 : 첫눈에 반한 사랑은 믿을 수 없다.
거기에는 언제나 오해와 배신이 뒤따른다.
이 책에서 말하는 진실 : 누군가에게 즉시 끌린다는 것은
관계의 가능성을 말해주는 가장 정확한 기준이 될 수 있다.
나 또한 이 말에 100%공감한다.
우리 사회가 일바화와, 범주화를 너무 좋아하다보니
이렇게 연애까지, 남자와 여자까지 일반화 시키고 범주화 시킨다.
첫눈에 반한 다는 것은 언제나 안좋은 결말이 함께한다는
노래가사라던가, 이야기에 공감이 갔던 적이 단 한번도 없다.
내가 첫눈에 반했다는 건 본능적으로, 무의식적으로
‘그 것’을 가진 사람을 알아봤다는 것인데
마치 겉모습만 보고 뿅 한다면 실망이 크다라는 식으로
일반화 시키는 느낌이었다.
/
연인에게서 더는 특별한 것을 발견할 수 없다는 건
우리가 더 이상 그것을 열심히 찾고 있지 않다는 얘기인지도 모릅니다.
(마리 루티의 ‘하버드 사랑학 수업’ 중에서)
#과감하게
#용감하게
#대담하게
👍
이별을 극복하고 싶을 때
추천!
3
자기전에2닦기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