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매님의 프로필 이미지

고매

@gomaeehfz

+ 팔로우
옷장 속 인문학 (키케로부터 코코 샤넬까지 세상에서 가장 스타일리시한 인문 강의)의 표지 이미지

옷장 속 인문학

김홍기 지음
중앙books(중앙북스) 펴냄

옷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해준 책 그리고 인생을 대하는 태도까지 배울 수 있었다. 특히 우아함을 설명한 부분이 기억에 남는다.

"옷은 인간에게 필요한 세 가지 목표를 이룰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다. 직업, 사회적 관계, 사랑하는 관계다. 옷을 둘러싼 모든 궁금증은 결과적으로 이 세 가지를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는가의 문제로 요약할 수 있다."

"우리는 각자가 삶에 부여하는 의미와, 그 의미를 전달해줄 이미지 안에서 하루하루를 살아간다. 패션은 자신의 몸을 장식하고 가꾸는 행위를 통해 사회와 대면할 수 있게 해주고, 그 속에서 내가 소망하는 이미지들을 만들게끔 해준다. 이보다 더 큰 생의 마술이 어디에 있겠는가?"

"나는 인간의 표정 속에 ‘세련됨’의 열쇠가 들어있다고 믿는다. 패션 스타일링은 착용자로부터 가장 행복한 표정을 끌어올리는 데 그 핵심을 두어야 한다."

"나는 능동적으로 옷을 선택하고 자신을 꾸미는 행위야말로 자기 배려의 시작이라고 생각한다. 패션은 자기를 만들고 배려하는 삶의 기술이다. 나와 마주하며 내 모습을 정확하게 알아가고, 이를 통해 자존감을 높이는 행위다. 자신을 향하도록 타인의 시선을 전환하는 과정을 통해 자기와 타인, 그리고 세계 사이를 연결하는 방법을 몸으로 익혀갈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패션은 사회라는 시험대에 자신을 반복적으로 내놓는 훈련인 셈이다. 여기서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옷을 입는 일이 행복한 행위여야 한다는 사실이다."

"엘레강스 단어의 라틴어원은 “심혈을 기울여 선택하다”라는 뜻인데, 즉 살아가면서 의사결정을 해야 할 때, 군더더기는 다 버리고 핵심만을 가져가겠다는 의지의 표명인 것이다.
우아함이란 사치스러운 덧셈의 미학이 아닌 거절과 절제에 기반한 뺄셈의 미학이다 더할 것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뺄 것이 없는 상태, 즉 절제된 힘의 사용에서 시작된다. 철저한 비움을 통해 정신적 골격만을 남기는 태도 그것이 엘레강스다. 결국 우아함이란 내적 자질이자 자신의 삶을 아름답고 좋은 것으로만 채워넣겠다는 고상한 생각이다. 우아한 삶을 살고 싶다면 거절할 수 있는 용기를 키우고 심혈을 기울여 선택하라."
2021년 11월 21일
0

고매님의 다른 게시물

고매님의 프로필 이미지

고매

@gomaeehfz

우리는 엄마를, 아 빠를, 선생님을, 종교를, 심지어 신을 기쁘게 하려 합니다. 그리나 그들의 눈에 나는 결코 완벽할 수 없습니다.
그 완벽한 이미지는 좋은 사람'으로 인정받기 위해. 그리고 자기 자신을 받아들이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끊임없이 강요합니다. 그기준은 과연 누구의 것일까요?

이것이 바로 스스로에 대해 믿고 있는 가장 큰 거짓말입니다. 나는 절대로 완벽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완벽하지 않다는 이유로 자신을 용서하지 못합니다.

오늘 우리가 있는그대로의 자신을 판단 없이 받아들이게 하소 서.우리의 감정, 희망과꿈, 성격, 고유한 존재 방식을 포함한마 음을있는그대로 품게 하시고, 우리의 몸을그아름다움과 완전 함그대로 사랑하게 하소서.
우리가자신을 항한사랑이너무나해서 다시는스스로를거부 하거나우리자신의 행복과 자유, 사랑을 방해하지 않게하소서. 지금이순간부터 우리의 모든 행동과 반응, 생각과 감정이사랑에 기초하게 하소서.

다른 사람들의 의견에 띠라 사는 삶이 아니라 스스로의 선택을 신 토하며 살아가게 하소서. 우리 삶의 책임을 두려워하지 입게하 시고 문제가 닥쳐도 피하지 않고 마주하며 해결합 수 있는 용기품 주소서 우리가 성취하고자 하는 모든 것이 자기 사랑의 힘으로 이루어지게 하소서.
오늘부터 우리 자신을 깊이 사랑하게 하소서. 그래서 우리를해치 거나 방해하는 어떤 상황도 더는 만들지 않게 하소서.
다른 사람에게 받아들어지기 위해 누군가인 척하지 않고 있는 그 대로의 우리로 산아가게 하소서. 우리가 어떤 존제인지 스스로 알 기에 더 이상 다른 사림의 인정이나 칭찬에 의존하지 않게 하소서,.

사랑하라, 그리고 나를 잃지 않도록

돈 미겔 루이스 지음
스노우폭스북스 펴냄

1주 전
0
고매님의 프로필 이미지

고매

@gomaeehfz

나는 어떤인간인가?
극단에 치우침을 경계하고 중립을 지향하는 나라는 사람은, 과연 구보승과 같은 상황에서 악을 악이라 판단하고 말할 수 있을까?
중립이 최선이라 생각했던 내게 생각할 지점을 주는 글이다. 나는 절대 선과 악이 있을까라는 물음에, 옳고 그름의 기준에 대해 ’글쎄’를 말하는 사람이지만, 그건 관용적이기 보다는 오히려 내가 빠져나갈 구멍을 파놓는 방어적인 행위에 가깝다는 생각을 한다. 때로는 ‘그건 다른게 아니라 틀린거야’라고 주관있게 말하는 친구가 부러운 것도 비슷한 이유일테다.
그러니까, 모호한 입장만을 취하지 말고 때로는 옳은 건 옳다, 그른 건 그르다 라고 말한다거나 최소한 옳고 그름은 모르겠지만 ’나는 이런 이유에서 이렇게 생각한다‘는 주관을 가지고 싶다, 반드시.

혼모노

성해나 지음
창비 펴냄

3주 전
0
고매님의 프로필 이미지

고매

@gomaeehfz

  • 고매님의 혼모노 게시물 이미지

혼모노

성해나 지음
창비 펴냄

읽었어요
3주 전
0

고매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