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매님의 프로필 이미지

고매

@gomaeehfz

+ 팔로우
이상한 나라의 뇌과학의 표지 이미지

이상한 나라의 뇌과학

김대식 지음
문학동네 펴냄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가진 저자의 식견이 영감을 주는 책

같은 드레스가 다르게 보이는 것이 신기한 게 아니라, 서로 다르게 보는 세상을 같다고 착각하며 살아가는 우리가 신기할 뿐이다.

점수가 잘 나올 때의 즐거움, 명품 백을 살 때의 기쁨, 대기업에 입사할 때의 자부심 이것들은 ‘행복한 순간들’이지 ‘행복 그 자체’는 아니다. 순간의 행복은 영원할 수 없기에 다시 사라진다. 그렇다면 사라지지 않는 진정한 행복은 무엇일까? 나 자신과의 끝없는 대화에서만 얻을 수 있는, 나라는 존재에 대한 너그러움이 아닐까.

우리는 언제나 어떻게 사는 게 착하고 바른 삶인지 가르쳐주고 조언해주고 명령하는 이들에게 둘러싸여 있다. 항상 타인이 원하는 삶을 살기에 우리가 진정 무엇을 원하는지 선택할 기회가 없다.
왜 하는지도 모르는 일, 자신이 진정 원하는 것인지 확신이 들지 않는 일을 묵묵히 참아내고, 게다가 그 일을 웬만큼 해낼 수 있다는 사실, 그것이 어쩌면 우리의 진정한 비극인지도 모른다.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 모르기에 남과 조금이라도 다르면 불안해진다. 남이 가진 것은 나도 가져야 하고, 내가 가질 수 없으면 남도 가져서는 안 된다.

나는 내 기억의 합집합이다. 어제저녁의 나를 기억하기에 오늘 아침의 나는 어제의 나와 같은 인물이란 걸 인식한다.
어쩌면 우리 몸속 세포들처럼 나라는 존재 역시 매일 조금씩 만들어지고 변하고 죽어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다시 말해 오늘 아침에 깨어난 나는 어제 잠든 나와는 다른 존재일 수 있다는 것이다. 어쩌면 우리는 매일 아침 새로운 나와 새롭게 만나고 있는지도 모른다

만약 머지않은 미래에 인깐의 기억 역시 지우고 교정할 수 있다면 대한민국에는 “예쁜 생각만 남겨두세요!”하며 조금이라도 불편하거나 아픈 기억은 모조리 지워주겠다는 ‘생각수술 병원으로 가득차지 않을까 걱정해본다. 그리고 한 가지 궁금해진다. 나쁜 기억을 지우고 좋은 기억만 남기는 것이 가능해진다면 나쁜 마음은 없애고 좋은 마음만 남기는 것도 가능할까? 다시 말해 악이 사라지고 선으로만 가득한 사회도 가능할까?

지금 이 순간의 나를 ‘미래의 내가 기억하는 과거의 나’라고 상상해보자. 미래의 내가 과거를 떠올릴 때 지금 이 순간이 소중하게 기억될 것 같다면 집중과 몰입을 하자. 반대로 지금 이 순간이 평생 나에게 괴로운 기억과 아픔을 줄 것 같다면 최대한 집중을 하지 말아보자. 아무리 세상이 갑이고 인간은 을이라지만, 집중과 선택을 통해 우리는 적어도 기억에 남는 우리의 인생을 편집할 수 있다.

외국어로 들을 땐 5명을 살리기 위해 1명을 희생해도 된다는 조금 더 ‘이성적’인 판단을 내리지만, 모국어로는 개인을 절대 희생해서는 안 된다는 ‘감정적’ 판단을 내릴 확률이 높아진다. 결국 인간에게 도덕이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황, 언어, 상태에 따라 충분히 달라질 수 있는 상대적 판단이다. 그렇다면 결론은 간단하다. 도덕성이 높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도덕적 판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사회적 구조와 언어가 필수적이다.

‘단 하나의 무언가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전체주의의 역사적 공통점은, 그 시스템을 가장 잘 이해하는 1퍼센트만을 위한 계급 사회로 변질시킨다는 점이다.

호모 사피엔스가 네안데르탈과의 싸움에서 승리한 비결은 바로 픽션을 만들어내는 능력이었다. 전설과 신화는 사람들을 응집시키는 가장 강력한 수단이자 도구여다. 더 빠르고 더 큰 것만을 여전히 최고로 생각하는 국내 기업들과 새로운 전설과 스토리를 만들어낼 줄 아는 미국 기업들, 이제 우리도 호모 사피엔스와 네안데르탈인의 싸움을 기억해야 한다. 기능과 크기보다 중요한 것은 스토리, 더 정확히 말해 스토리를 만들어낼 줄 아는 능력이다.
2022년 10월 4일
0

고매님의 다른 게시물

고매님의 프로필 이미지

고매

@gomaeehfz

우리는 엄마를, 아 빠를, 선생님을, 종교를, 심지어 신을 기쁘게 하려 합니다. 그리나 그들의 눈에 나는 결코 완벽할 수 없습니다.
그 완벽한 이미지는 좋은 사람'으로 인정받기 위해. 그리고 자기 자신을 받아들이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끊임없이 강요합니다. 그기준은 과연 누구의 것일까요?

이것이 바로 스스로에 대해 믿고 있는 가장 큰 거짓말입니다. 나는 절대로 완벽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완벽하지 않다는 이유로 자신을 용서하지 못합니다.

오늘 우리가 있는그대로의 자신을 판단 없이 받아들이게 하소 서.우리의 감정, 희망과꿈, 성격, 고유한 존재 방식을 포함한마 음을있는그대로 품게 하시고, 우리의 몸을그아름다움과 완전 함그대로 사랑하게 하소서.
우리가자신을 항한사랑이너무나해서 다시는스스로를거부 하거나우리자신의 행복과 자유, 사랑을 방해하지 않게하소서. 지금이순간부터 우리의 모든 행동과 반응, 생각과 감정이사랑에 기초하게 하소서.

다른 사람들의 의견에 띠라 사는 삶이 아니라 스스로의 선택을 신 토하며 살아가게 하소서. 우리 삶의 책임을 두려워하지 입게하 시고 문제가 닥쳐도 피하지 않고 마주하며 해결합 수 있는 용기품 주소서 우리가 성취하고자 하는 모든 것이 자기 사랑의 힘으로 이루어지게 하소서.
오늘부터 우리 자신을 깊이 사랑하게 하소서. 그래서 우리를해치 거나 방해하는 어떤 상황도 더는 만들지 않게 하소서.
다른 사람에게 받아들어지기 위해 누군가인 척하지 않고 있는 그 대로의 우리로 산아가게 하소서. 우리가 어떤 존제인지 스스로 알 기에 더 이상 다른 사림의 인정이나 칭찬에 의존하지 않게 하소서,.

사랑하라, 그리고 나를 잃지 않도록

돈 미겔 루이스 지음
스노우폭스북스 펴냄

6일 전
0
고매님의 프로필 이미지

고매

@gomaeehfz

나는 어떤인간인가?
극단에 치우침을 경계하고 중립을 지향하는 나라는 사람은, 과연 구보승과 같은 상황에서 악을 악이라 판단하고 말할 수 있을까?
중립이 최선이라 생각했던 내게 생각할 지점을 주는 글이다. 나는 절대 선과 악이 있을까라는 물음에, 옳고 그름의 기준에 대해 ’글쎄’를 말하는 사람이지만, 그건 관용적이기 보다는 오히려 내가 빠져나갈 구멍을 파놓는 방어적인 행위에 가깝다는 생각을 한다. 때로는 ‘그건 다른게 아니라 틀린거야’라고 주관있게 말하는 친구가 부러운 것도 비슷한 이유일테다.
그러니까, 모호한 입장만을 취하지 말고 때로는 옳은 건 옳다, 그른 건 그르다 라고 말한다거나 최소한 옳고 그름은 모르겠지만 ’나는 이런 이유에서 이렇게 생각한다‘는 주관을 가지고 싶다, 반드시.

혼모노

성해나 지음
창비 펴냄

2주 전
0
고매님의 프로필 이미지

고매

@gomaeehfz

  • 고매님의 혼모노 게시물 이미지

혼모노

성해나 지음
창비 펴냄

읽었어요
2주 전
0

고매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