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팔로우
캑터스의 표지 이미지

캑터스

사라 헤이우드 (지은이), 김나연 (옮긴이) 지음
시월이일 펴냄

가시가 뾰족뾰족 솟은 선인장은 아니지만 그와 비슷한 다육 식물을 키워본 적은 있다. 물을 자주 주지 않아도 된대서 키우기 시작했는데, 그 또한 쉬운 일은 아니었다. 자주 주지 않아도 되니 신경을 덜 쓰게 되고 그러다 보면 금방 잊힌다. 정신이 들어 들여다 보면 그땐 이미 바싹 말랐거나 홀쭉해진 모습이다. 그래서 흠뻑 주면 또 흐물흐물 물러서 썩어버린다. 차라리 매일처럼 신경쓰며 분무기 뿌리고 자주 물을 주는 관엽식물이 내겐 더 잘 맞았다.



수잔은 집은 물론이고 사무실 책상 위에도 선인장을 일렬로 진행해 놓고 키운다. 그녀가 유일하게 애정을 주며 돌보는 무언가이다. 너무 가까운 인간 관계는 꺼린다. 자신의 삶을 완벽하게 통제하기 위해 하나하나 세심하게 계획하고 그대로 실행한다. 그러던 그녀의 삶에 자신도 통제할 수 없는 일이 하나 둘 생겨나기 시작했다.



"엄마가 돌아가셨어, 간밤에."...9p

나이도 많으시고 뇌졸증도 이미 두 번이나 겪었기에 전화를 받은 때부터 어느 정도 예상은 했지만 역시나 충격이다. 게다가 지금 수잔은 이제 막 자신의 임신을 받아들이는 중이었다. 몸도 힘들고 정신적으로도 힘든 이때, 엄마가 남긴 유언장 내용에 대해 듣는다. 수잔은, 올바르고 균형있게, 공평한 판결을 위해 전투를 계획한다.



소설은 주인공 수잔 그린의 시점에서 서술되지만 '이렇게까지?' 싶을 정도로 수잔은 까칠한 인물이다. 까칠하다 못해 사회성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닌가 싶을 정도이다. 하지만 이야기가 진행되어감에 따라 그런 까칠함은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가시"였으며 상처받지 않기 위해 마련한 최소한의 보호구라는 것을 이해하게 된다. "난공불락"... 어떤 일이 생겨도 대처할 수 있게 만든 자신만의 세계였다. 그런 그녀의 세계가 임신으로, 엄마가 남긴 유언장으로 조금씩 균열되기 시작한다.



수잔의 입장에서 동생은 끔찍할 정도로 스스로 삶을 일구지 못하는 철부지일 뿐이고 자신은 항상 노력해오며 자주는 아니지만 주기적으로 엄마를 찾아가고 전화를 드렸지만 유언장 내용의 결과는 전혀 그렇지 못했다. 이 불평등을 해결하고자 나선 재판 준비 과정에서 수잔은 위층 케이트와 동생의 친구 롭, 심지어 회사 상사인 트루디와도 지금까지와는 다른 관계를 맺어가기 시작한다.



사실 3/2 지점까지 이 집안의 말도 안되는 남녀차별에 도대체 이해도 안되고 얼마나 화가 났는지 모른다. 그럼에도 어떻게 자신은 똑같이 사랑받았다고 생각하는지 수잔도 잘 이해가 되지 않았다. 하지만 뒤편에 준비된 폭탄까지 읽고나면 그 모든 과정을 이해하게 된다.



이 책을 한 여성의 행복이 꼭 어떤 어떤 조건들이 채워졌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보다는 어린 시절의 성장을 이해하고 다른 환경 속에서 조금씩 마음을 열어간 그녀의 노력 덕분이라고 보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 사실 수잔의 까칠함, 인간 관계 형성에 많은 공감을 할 수밖에 없었다. 나 역시 그런 사람이니. 사람은 큰 사건들을 겪으며 하나씩 성장하는 것 같다. 나이따위 상관 없이. 그리고 그 성장은 자신을 좀더 행복하게 할 것이다.
2024년 3월 10일
0

에버네버님의 다른 게시물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에버네버님의 구운몽 게시물 이미지

구운몽

김만중|방현희 지음
주니어김영사 펴냄

읽었어요
7시간 전
0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에버네버님의 광란자 게시물 이미지

광란자

J.M. 바스콘셀로스 지음
동녘 펴냄

읽었어요
1주 전
0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올 초부터 슬금슬금 들리던 이름, 에이모 토울스. <모스크바의 신사>가 꽤나 반향을 일으킨 듯 했는데 호불호가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래도 궁금해서 한번 읽어볼까~ 하다가 마침 문학동네 독파에서 에이모 토울스 작품을 진행한다 하여 참가! 그냥 느낌적인 느낌으로 <우아한 연인>을 선택했다.



'<순수의 시대>와 <위대한 개츠비>에 바치는 오마주'라던가, '1930년대를 배경으로 한 <섹스 앤드 더 시티>' 등의 수식어가 가득한 소설이다. 읽다 보면 과연~이라는 생각이 든다. 현대 작가가 쓴 1930년대는 그 대공황 시대의 느낌이 물씬 나면서도 무척이나 현대적이다. 가끔 등장하는 드레스나 어떤 계급적 차이 등만 느껴지지 않는다면 아마 대공황 시대의 작품이라는 사실을 전혀 몰랐을 것이다.



소설의 시작은 1966년이다. 한 전시회에 남편과 함께 참석한 케이티는 그곳에서 약 30년 전에 알던 이의 얼굴을 발견한다. 짧은 시간이지만 전혀 다른 모습의 한 인물의 사진. 본격적인 시작은 1937년 겨울부터 이들이 어떻게 만나게 되었는지부터다. 같은 하숙 룸메이트인 이브와 케이티는 한 술집에서 팅커 그레이를 만난다. 묘한 삼각 관계 속에서 케이티와 팅커가 조금씩 애정을 쌓아가던 와중에 교통사고로 이브가 크게 다친다. 이후 약 6개월, 이들은 운명 속에서 좌충우돌하고 다시 그 이후 안정되는가 하던 순간에 케이티는 팅커의 진실을 알게 된다.



그 누구보다 예절과 품위가 몸에 익은 청년, 팅커 그레이는 어머니에게서 선물 받은 조지 워싱턴의 행동규칙 책을 아주 소중히 여긴다. 자신의 모든 인생관과 가치관이 담긴 듯 매뉴얼 삼아 행동하는 것이다. 하지만 팅커 그레이 뒤에 숨은 그의 과거를 알게 되면 과연 그것이 성공하기 위한 단순한 전략이었는지, 아니면 그저 열심히 살기 위한 수단이었는지 파악하기 힘들어지고 무조건 팅커를 비난할 수 없게 된다.



아마도 그런 면에서 <위대한 개츠비>를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이 책의 주인공이 팅커 그레이만은 아니다. 자유로운 영혼으로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언지를 정확히 알고 있는 이브와 자신의 자리에서 선을 넘지 않고 최선을 다 하는 케이티뿐만 아니라 케이티가 만나게 되는 수많은 인물들이 바로 이 작품의 주인공들이다. 그러니까 1930년대를 살아가던 사람들. 아직 2차 세계 대전에 대한 위험 없이 대공황 속에서 좌충우돌하며 자신의 자리에서 열심히 살아가는 인물들을 가감없이 그려낸 작품이다.



<아름다운 시대, 라 벨르 에뽀끄>를 정말 재미있게 읽었었는데, 그 만화를 떠올리게 하는 소설이었다. 사랑에 온전히 자신을 던져넣는 이들과 그 시대의 감성은 언제나 왠지 그리움을 불러오는 것 같다. 에이모 토울스의 첫 책이 나쁘지 않았으므로, 다른 책도 도전~!

우아한 연인

에이모 토울스 지음
현대문학 펴냄

1주 전
0

에버네버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