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팔로우
콘트라베이스의 표지 이미지

콘트라베이스

파트리크 쥐스킨트 지음
열린책들 펴냄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작품을 처음으로 읽은 건, 약 20여년 전... <향수>를 통해서였다. 무척 흡인력 강하고 아주 강렬한, 부제가 "어느 살인자의 고백"인 소설이다. 너무 재미있어서 찾아보다가 영화도 있다는 소식을 접하고 영화까지 접수, 책보다 영화가 더 좋았던 유일한 책이기도 하다. 하지만 작가를 인식하게 된 건, <좀머씨 이야기>를 통해서다. <향수>와는 너무나 다른 결의 소설로, 제 2차 세계 대전의 후유증을 앓는 좀머씨에 대한 이야기인데 정말 너무, 진짜 너무 좋았다. 그 후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책을 하나 둘 사모았던 것 같다. 언제나처럼 읽지는 않고...ㅋㅋ



진짜 오랜만에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작품을 읽는다. 보통 문어발식 독서 중이라 집이나 교습소에는 두꺼운 책을, 가방 안에는 얇은 책을 넣어두는데 이번에 담긴 책이 <콘트라베이스>. 도통 시간이 나지 않아 가방 속에 묵힌 채로 약 세 달. 그래도 신기하게 내용이 잊히지 않고 계속해서 읽을 수 있었다.



<콘트라베이스>는 그동안의 작가의 책과는 또다른 책이다. 읽을 때마다 정말 놀랍다. 우선 희곡으로 연극을 상연하기 위해 씌여진 글이라는 사실. 게다가 이 작품은 모노드라마다. 따라서 책 속 주인공, 콘트라베이스의 연주자인 '나'는 독자들(관객들)을 상대로 말을 한다. 희곡 형식이지만 모노드라마이기 때문에 대사글이 따로 없이 해설과 지문, 줄글로 구성되어 있다.



처음엔 이게 뭔가 싶을 정도로 "나"는 계속해서 알 수 없는 말들을 씨불인다.(찾아보니 표준어. 이보다 더 좋은 표현이 없다) 하지만 계속 읽어나가다 보면 이 사람 참, 불쌍하구나 싶기도 하다. 오케스트라에서 콘트라베이스의 위치, 항상 아래쪽 둥둥거림이나 채워주는 그런 존재라 좋은 대접도, 좋은 월급도 받지 못한다는 현실을 계속해서 얘기한다. 그러다 보니 사랑에서도 자신감이 없다. 좋아하는 여자(성악가)가 있지만 콘트라베이스 연주자 따위 눈여겨 보지 않을 테니 엉뚱하게 사고나 쳐 볼까 하는 생각들이 끝도 없이 이어진다.



작가는 이 작품에 대해 콘트라베이스가 갖고 있는 속성과 오케스트라에서의 신분적 위치를 바탕으로 한 평범한 소시민의 생존을 다룬 작품이라고 했단다. 100여 페이지의 얇은 책인데 중간까지 이 찌질남의 이야기를 계속 들어야 하나 싶다가 중반을 넘어서면서 조금씩 공감하게 된다. 누구보다도 찌질해 보이지만 만약 그게 내 위치라면, 그 처절하고 오도가도 못하는 상황 자체의 심리를 아주 잘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책보다는 실제로 연극으로 보면 훨씬 더 감동이겠다는 생각이 든다. 실제로 독일에서 가장 많이 상연되는 공연이라고 하니 언젠가 이 작품을 연극으로 볼 수 있는 날이 오면 꼭 보고 싶다. 매 작품마다 다른 분위기의 소설을 쓰는 작가에게 또 한번 감탄!
0

에버네버님의 다른 게시물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에버네버님의 구운몽 게시물 이미지

구운몽

김만중|방현희 지음
주니어김영사 펴냄

읽었어요
16시간 전
0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에버네버님의 광란자 게시물 이미지

광란자

J.M. 바스콘셀로스 지음
동녘 펴냄

읽었어요
1주 전
0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올 초부터 슬금슬금 들리던 이름, 에이모 토울스. <모스크바의 신사>가 꽤나 반향을 일으킨 듯 했는데 호불호가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래도 궁금해서 한번 읽어볼까~ 하다가 마침 문학동네 독파에서 에이모 토울스 작품을 진행한다 하여 참가! 그냥 느낌적인 느낌으로 <우아한 연인>을 선택했다.



'<순수의 시대>와 <위대한 개츠비>에 바치는 오마주'라던가, '1930년대를 배경으로 한 <섹스 앤드 더 시티>' 등의 수식어가 가득한 소설이다. 읽다 보면 과연~이라는 생각이 든다. 현대 작가가 쓴 1930년대는 그 대공황 시대의 느낌이 물씬 나면서도 무척이나 현대적이다. 가끔 등장하는 드레스나 어떤 계급적 차이 등만 느껴지지 않는다면 아마 대공황 시대의 작품이라는 사실을 전혀 몰랐을 것이다.



소설의 시작은 1966년이다. 한 전시회에 남편과 함께 참석한 케이티는 그곳에서 약 30년 전에 알던 이의 얼굴을 발견한다. 짧은 시간이지만 전혀 다른 모습의 한 인물의 사진. 본격적인 시작은 1937년 겨울부터 이들이 어떻게 만나게 되었는지부터다. 같은 하숙 룸메이트인 이브와 케이티는 한 술집에서 팅커 그레이를 만난다. 묘한 삼각 관계 속에서 케이티와 팅커가 조금씩 애정을 쌓아가던 와중에 교통사고로 이브가 크게 다친다. 이후 약 6개월, 이들은 운명 속에서 좌충우돌하고 다시 그 이후 안정되는가 하던 순간에 케이티는 팅커의 진실을 알게 된다.



그 누구보다 예절과 품위가 몸에 익은 청년, 팅커 그레이는 어머니에게서 선물 받은 조지 워싱턴의 행동규칙 책을 아주 소중히 여긴다. 자신의 모든 인생관과 가치관이 담긴 듯 매뉴얼 삼아 행동하는 것이다. 하지만 팅커 그레이 뒤에 숨은 그의 과거를 알게 되면 과연 그것이 성공하기 위한 단순한 전략이었는지, 아니면 그저 열심히 살기 위한 수단이었는지 파악하기 힘들어지고 무조건 팅커를 비난할 수 없게 된다.



아마도 그런 면에서 <위대한 개츠비>를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이 책의 주인공이 팅커 그레이만은 아니다. 자유로운 영혼으로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언지를 정확히 알고 있는 이브와 자신의 자리에서 선을 넘지 않고 최선을 다 하는 케이티뿐만 아니라 케이티가 만나게 되는 수많은 인물들이 바로 이 작품의 주인공들이다. 그러니까 1930년대를 살아가던 사람들. 아직 2차 세계 대전에 대한 위험 없이 대공황 속에서 좌충우돌하며 자신의 자리에서 열심히 살아가는 인물들을 가감없이 그려낸 작품이다.



<아름다운 시대, 라 벨르 에뽀끄>를 정말 재미있게 읽었었는데, 그 만화를 떠올리게 하는 소설이었다. 사랑에 온전히 자신을 던져넣는 이들과 그 시대의 감성은 언제나 왠지 그리움을 불러오는 것 같다. 에이모 토울스의 첫 책이 나쁘지 않았으므로, 다른 책도 도전~!

우아한 연인

에이모 토울스 지음
현대문학 펴냄

1주 전
0

에버네버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