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 팔로우
열 문장 쓰는 법 (못 쓰는 사람에서 쓰는 사람으로)의 표지 이미지

열 문장 쓰는 법

김정선 지음
유유 펴냄

읽었어요
읽은 책이 쌓여 갈수록 새로운 지식과 생각도 함께 쌓여서 좋다. 가치관이 보다 확고해지고 판단력이 생겨서 더 좋다. 무엇보다도 일상에서 느끼는 복잡한 감정도 글이나 말로 풀어 감정에 매몰되지 않고 설명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좋은 점이다.

헌데 자꾸 가슴과 머리에 생각들이 쌓인다. 일기를 쓰기는 하지만 나만의 언어로 혼자만 아는 글을 쓰기엔 좀 아쉽다. 속에 있는 이야기들을 끄집어 여러 사람들과 소통하고 싶은 욕구가 사그라들지 않는다.

마침내 제대로 된 글을 쓰기로 작정을 했다. 노트북을 열고 텅 빈 화면을 마주한 뒤에야 글쓰기를 너무 만만하게 봤다는 생각이 들었다. 개요를 썼다가 고쳤다 할수록 내용이 산으로 갔다. 글의 구성을 어찌 잡을지 고민하다가 하루종일 일손을 놓고 생각에 빠져 있기도 했다. 작가들이 어째서 글쓰기 루틴을 유지하려고 애쓰는지 진정으로 이해되었다.

글쓰기는 '나만의 의견을 모두에게 통용된 언어로 표현해야 하는 번역'임을 명심한다. 내 생각과 감정을 감정을 독자들에게 설득해야 한다. 글쓰기의 목적은 소통에 있으니까.

글을 쓰며 힘들었던 마음이 사진으로 올려둔 저 문장을 만나 위로받았다. 못 쓴다고 자책하기 말지어다.
0

새벽빛님의 다른 게시물

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 인간 본성의 어떤 부분이 우리를 자기 파괴의 길로 내모는 걸까? 이 책에서 나는 그것은 인간 본성 탓이 아니라 정보 네트워크 탓이라고 주장했다. 진실과 질서를 우선시한 탓에 인간의 정보 네트워크들은 엄청난 힘을 만들어 냈지만 지혜는 거의 만들어내지 못했다.(...) 따라서 네트워크가 막강해질수록 네트워크의 자정 장치가 중요해진다. (...) 우리가 지혜로운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정보에 대한 순진한 관점과 포퓰리즘적 관점을 모두 버리고, 무오류성이라는 환상에서 벗어나 강력한 자정장치를 갖춘 제도를 구축하는 힘들고 다소 재미없는 일에 전념해야 한다. (p. 558~560)


❓️<질문들>

1. 새로운 컴퓨터 기반 네트워크에서 점점 더 무기력해지는 소수로 살아간다는 것이 인간에게 어떤 것을 의미할까?

2. 새로운 네트워크는 우리의 정치, 사회. 경제, 일상생활을 어떻게 변화시킬까?

3. 수십억 개의 비인간 존재에게 끊임없이 감시당하고, 지시받고, 영감을 얻고, 제제를 받는 것은 어떤 느낌일까?

4. 이 경악스런 신세계에서 적응하고 거기서 살아남아 번성하기 위해 우리는 어떻게 달라져야 할까?

5. 온라인에서 사람들이 자유롭게 가상 정체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할까, 아니면 생물학적 몸에 기반한 정체성을 유지해야 할까?

6. 인간은 과연 AI 규제에 필요한 수준의 신뢰와 자제력을 가질 수 있을까?

넥서스

유발 하라리 지음
김영사 펴냄

읽었어요
3일 전
0
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 새벽빛님의 눈, 물 게시물 이미지
  • 새벽빛님의 눈, 물 게시물 이미지
📚 겨울밤, 여자는 어쩌다 눈아이를 낳았다.
여자는 품에서 녹아내리는 아이를
차가운 바닥에 내려놓아야 했다.

여자는 자신의 온기가 무서워
눈으로 담을 쌓았다.

저 너머에서
초록이 몰려왔다.

여자는 문틈으로 밀려드는 온기를 막고
금방 돌아온다는 말을 남긴 채
언제나 겨울이라는 것을 찾아 달렸다.

✒️ 안녕달 작가는 《수박 수영장》, 《당근 유치원》, 《눈아이》 등 어린이 그림책을 만든 작가이다. 《눈아이》에서 만남과 이별, 사계절의 순환 등을 따뜻하게 그렸다면. 《눈, 물》에서는 냉혹한 현실을 그렸다.
눈아이는 보호받아야 하나 보호받지 못하는 연약한 대상. 맨몸뚱아리밖에 없는 엄마는 눈아이를 지키기 위해 '언제나 겨울' 무료 체험을 원하지만 매장으로 달려간 순간 무료 체험은 종료되고 프리미엄 상품으로 변해 버렸다. 이제는 가질 수 없는 겨울. 엄마는 눈아이가 녹지 않기 위해 어찌 해야 할까.

🗒 지키는 사랑은 왜 언제나 그렇게 어려운 걸까? 모든 것을 망치기만 하는 세계에서 무언가를 지키려 안간힘을 썼던 사람들과 이 책을 읽고 싶다. 어떤 통증은 무뎌진 상태의 우리를 깨우기 위해 필요하다. 쪽마다 아픈 이 책을 당신에게 안기고 싶은 것은 그래서이다. - 소설가 정세랑

눈, 물

안녕달 지음
창비 펴냄

읽었어요
6일 전
0
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 새벽빛님의 엄마 생물학 게시물 이미지
📚 보조 생식술을 시도하는 여성들은 고쳐야 하는 기계가 아니라, 일시적으로 의학적 도움이 필요한 '사람'입니다.(42쪽)

엄마 생물학

이은희 지음
사이언스북스 펴냄

2주 전
0

새벽빛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