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3. 거절하기
✔️무언가를 거절할 때 그 이유를 설명할 필요는 없다. 우리는 이제 ✔️모든 일에 대해 자신을 정당화해야 하는 어린아이가 아니다. 밉보이지 않으려고 둘러말하거나 상대가 원하는 바를 자신에게 부과하도록 두어서는 안 된다.
가령 누군가와 만날 상황이 안 된다면 “못 만날 것 같아."라고 짧게 대답하면 된다. "오빠를 만나야 해서."라거나 "내일 이사 가는 것도 아닌데, 주말에 보면 되지." 같은 말은 하지 않는다.
"주말에 내 컴퓨터를 빌려주길 바라는 건 알지만, 나는 그럴 여유가 없어. 정말 미안해."라고 말하자. 상대방이 "왜? 주말에 뭐 하는데?"라고 물어보면 다음과 같이 짧게 대답하고 만다. "내가 빌려주지 못해서 네가 번거로워진 건 알지만, 이번 주말에는 시간이 없다고 이미 말했잖아."
"스쿠터를 빨리 빌려 가고 싶겠지만, 난 멀리 나와 있어. 미안해."라고 말하자. 상대방이 "왜? 중요한 약속이야?"라고 묻는다면, ✔️입장을 바꾸거나 자신을 정당화할 필요는 없다. "내가 도와주면 정말 좋겠지만, 그럴 수 없어서 미안해. 오늘 근처에 없을 거라고 이미 말했잖아."
마음의 기술
안-엘렌 클레르 외 1명 지음
상상스퀘어 펴냄
1
75. 삶의 명확한 목표
(나는 일생 동안 무엇을 하고 싶은가?)
✔️사람은 걱정거리나 모든 형태의 고통에서 벗어나는 데 몰두하느라 때로 자신에게 중요한 삶의 계획을 완전히 잊는다. 중요한 일을 처리하기 위해 일찍 일어나지도 않으면서, 불편한 마음으로 걱정만 한다.
77. 결론적으로 묻고 싶은 것은 다음과 같다.
당신에게 중요한 것에 더 가까워진다면,
🌱매일 하던 방식과 다르게 행동하는 것에 동의하는가?
우리 뇌가 잘 작동하기 위해서는 🌿삶의 방향이 필요하다.
이것이야말로 우리가 '좋은 자양분'을 얻고, 이를 일상생활에서 실천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76. 가치관과 삶의 목적을 명확하게 하기위해
🌱” 자신에게 물어야 할 질문 “
• 이 세상에서 시간을 어떻게 보내고 싶은가?
•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가?
• 자아실현감을 느껴본 적이 있는가?
있다면 언제, 어떻게 경험했는가?
• 오늘처럼 방해받지 않았다면,
나의 삶과 에너지는 어디로 향했을 것인가?
• 구현하고 싶은 나만의 특징과 힘은 무엇인가?
• 몇 년 후에 죽게 된다면, 어떤 모습으로 기억되고 싶고,
어떤 말을 듣고 싶은가?
• 되새기는 것이 있는가? 이해하기 어렵고, 중요한 일에 쏟아야 할 에너지를 허비하게 하는 것이 있는가? 그것을 먼저 내려놓고 삶의 목적에 집중해 보는 것이 어떤가?
마음의 기술
안-엘렌 클레르 외 1명 지음
상상스퀘어 펴냄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