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우주를 보면 떠오르는 이상한 질문들
지웅배(우주먼지) 지음
포르체 펴냄
어쩌면 초신성의 역할은 단순히 지구 생명체를 만드는 재료를 남기고 가는 데에 지나지 않았던 것일지도 모릅니다. 그 별 먼지가 모여 만들어진 과거 인류의 조상들은 갑자기 지구 하늘에서 폭발한 초신성 덕분에 허리를 펴고 두 손에 자유를 얻게 되었을지도 모릅니다. 초신성은 자유로워진 두 손에 도구를 쥐어 준 셈입니다. 그렇게 직립 보행을 시작한 인류는 이후로도 초신성이 남겨 준 철과 같은 금속을 활용해 더욱 더 발전된 기술 문명으로 도약할 수 있었습니다. 우리는 지금 이 순간에도 초신성에게 빛을 지고 살아가는 셈입니다. (P.186)
과학 유투버로 유명한 우주먼지, 지웅배 작가님의 책, 『우주를 보면 떠오르는 이상한 질문들』을 만났다. 사실 나는 뼛속까지 문과인 사람이라 학창시절에 수학과 과학을 싫어했는데, 유일하게 관심을 가졌던 영역이 지구과학과 '별'이었던 것 같다. 물론 이것도 역사를 좋아하고 그리스신화를 좋아하다보니 가지게 된 관심이었지만 말이다. 아무튼 책을 좋아하다보니 어른이 되어서도 종종 과학관련 책을 읽었는데, 시험과 헤어진 덕분인지 점점 더 재밌게 느껴졌다. 그리고 『우주를 보면 떠오르는 이상한 질문들』을 읽으며, 나는 과학책을 좋아하는 구나! 라고 느끼기까지 했다.
무튼! 그렇게 재미있게 읽은 『우주를 보면 떠오르는 이상한 질문들』을 정리해본다.
『우주를 보면 떠오르는 이상한 질문들』은 우주에 기본에서부터 별과 행성, 블랙홀과 천체, 우주탐사와 인류의 도전, 외계생명체와 문명 등을 놓고 많은 이들이 궁금증을 가진 주제들을 기반으로 이야기를 풀어간다. 대놓고 말하자면 아이들이 한번쯤 “엄마 이건 왜 이래?”하고 물어보는 이야기중 우주에 관한 이야기가 거의 다 들어있다고 보면 된다. 우주는 왜 깜깜한지, 은하는왜 회전하는지, 태양은 영영 죽지 않는지, 토성 고리는 왜 선명한지, 우주에 보낼 수 있는 동물은 무엇인지, 우리가 왜 외계인을 못 만났는지 등등 어른도 아이도 궁금해할 여러 이야기가 담겨있다. 사실 나 역시 어린 시절부터 궁금했지만, 질문하면 과학선생님께 한대 맞는 것들을 속시원히 해결했다.
(선생님, 솔직히 말해봐요. 몰라서 진도가 바쁘다고 하신거죠!
솔직히 말하시면 제가 이 책 한 권 선물해드릴게요)
개인적으로 가장 흥미있었던 페이지는 4장, “우주탐사와 인류의 도전”이었다. 날마다 우주비행사와 쓰레기로 에너지를 만드는 에너지공학자를 두고 장래희망을 고민(가끔은 작가나 시인을 이야기하기도 함) 하는 딸 덕분인지 더욱 흥미롭게 읽었다.
특히 완보동물에 대한 이야기는 무척 흥미로웠는데, 끈질긴 생명력을 가진 완보동물이 어느 별에 가서 뿌리를 내리고 새로운 행성에서 새 지구의 삶을 시작하는 상상을 해보며 피식 웃음을 짓기도 했고, 외계인들이 완보동물을 보고 “하이, 지구인!”하고 인사하는 장면을 상상해보며 아이와 이야기를 만들어보기도 했다. 또 우리가 외계인이라고 생각하는 생명체가 어쩌면 다른 행성에서보낸 완보동물이라고 생각해보니 우리가 우주에서 얼마나 작은 먼지인지, 그러면서도 바보같이 얼마나 많은 것을 욕심내고 사는지 생각해보기도 했고.
과학은 어제의 픽션을 오늘의 논픽션으로 옮겨오는 과정이라는 말에 크게 감동과 동감을 하며 이제서야 왜 과학이 재미있는지를 깨달아간다. 거실에 쪼그려앉아 로봇을 조립하고 코딩코드를 입력하는 초등학생 딸의 모습이, 내가 초등학생때는 픽션의 영역이었음을 문득 느끼며, 오늘날 우리가 아무렇지 않게 사용하는 많은 것들이 불과 몇년전까지는 픽션이었음에 감탄한다.
우주먼지 작가님의 『우주를 보면 떠오르는 이상한 질문들』은 지금은 이상한 질문일지 모르지만, 후에는 “당연한 상식”들이 될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그때까지는 무척 신선하고 재미있는 지식이 될 『우주를 보면 떠오르는 이상한 질문들』! 정말 꼭 한번 만나보시길 추천드린다.
1
책읽는엄마곰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