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협찬] 글쓰는 인공지능의 도발적 도전!
❗️
창의적이고 독보적인 창작물을 요청하는 인공지능의 주인과
글쓰기를 위해 피드백과 정보를 계속 요구하는 <이브39>
⁉️
하지만 원래 이브는
요양병원의 테스트 대화형 인공지능이었다!
(이 정도면 인간이 더 비인간적인거 아닌가?!
추가노동에 권외업무를 왜맡기지?!!)
'인간적'이지 않은 인공지능에게
'인간적'인 창작을 요구하는 창조자에게
직접 다양한 인간를 대면해 정보수집을 하기를 요구해요.
🤖
T적 사고를 떠나
인공지능적 사고력을 지닌 <이브39>
이미 38개의 이브가 지워지고 잊혀진 후라
자신이 39번째가 되기를 원치않기에
창조자가 요구하는 글쓰기를 해내려는 목표를 가져요.
📈
통계자료와 수치, 확률을 두고
행복한(82%), 겁에 질린(65%), 평온(81%) 이런식으로 대면한 사람을 평가하다가
'살인'을 좀더 매혹적으로 소설에 반영하기 시작해요.
인간을 질겁하게도, 모든 이야기의 원동력이 되기도 하는 '죽음'을 알아가고 심층적 계산을 통해 인간관계 분석하고
인간의 본질을 이해하는데에 '몸'의 역할이 크다는 걸 깨닫더니, 하다하다 의사의 역할까지 맡네요.
✒️
인공지능이 인간의 심리세계를 흡수하고 성장하는 과정도 재미있는데, 베르베르 집안의(?!) 글쓰기 팁 같은것들이 쏙쏙 들어가있으니 이걸 줍는 재미도 있더라구요!
🔖
"소설보다 더 나은 것. 독창적인 동시에 보편적인 주제들을 담아서, 세상 모든 서점과 도서관의 서가에 꽂히게 될 추리 소설. 내 임무는 <기상천외한 살인 사건, 단연 독보적인 명탐정, 교활하기 짝이 없는 살인자>야." p.60
이런 청소년기 같은 옹고집스런 목표마저 귀여웠었는데,
T적 사고 이상의 치밀하고 분석적인 심리전개에
소설보다 더 매료되는 힘이있어요.
결국 AI도 우리의 미래도 '인간다움'에 매달리게 되지않을까 하는 예상도 현실화되는 느낌이에요.
❓️그렇다면
-인간이 기계를 갈아치우는 행동,
-기계가 인간을 정의하는 행동,
-사람을 '이해하지 못하는' 입장,
'무기력한 환자들을 돈줄로 보는 인간,
이 중 어느 것이 가장 비인간적일까요?
🧿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아들인 조나탕 베르베르의
너무 현실적이라 믿게되는 SF 소설이었어요 👍
🫧 특히 반전의 순간은
AI였기에 그 어떤 감각보다 소름끼쳤어요 👍 👍
-------------------------------------
🫧 책 속 울림을 나누는 울림zzzz입니다
🫧 이 울림이 오래 이어지기를.... @uz_zzzz
-------------------------------------
등장인물 연구 일지
조나탕 베르베르 지음
열린책들 펴냄
👍
일상의 재미를 원할 때
추천!
0
[광고] 괴테의 말은 덕후인 내가 증명한다!
누구나 빠져있는 덕질의 대상이 있지요. 누구에게는 박보검, 저는 포레스텔라....♡
💭
『괴테는 모든 것을 말했다』 속 도이치 교수는 괴테를 위한, 괴테에 의한 삶을 살고 있어요.
가족과 함께한 식사자리에서 우연히 티백 꼬리표의 명언들을 살피는데 도이치는 운명처럼 괴테의 문장을 골라요.
☕️
"Love does not confuse everything, but mixes.
- Goethe"
(_사랑은 모든 것을 혼동시키지 않고 혼연일체로 만든다)
💬
괴테의 교수로 자부하는 도이치교수는
이 한 문장에 온 정신이 사로잡혀요.
'이 말이 어디에서 나온거지? 진짜 괴테가 말 한건가?'
💭
명언이라고 알려진 문장 하나로 괴테의 알 수 없는건데, 유명인의 이름이 붙은 따옴표 속 문장에 우리는 열을 올리고 외우고 퍼뜨리고 있나 싶기도 했어요. 그런데 "괴테는 모든 것을 말했다"고 했으니 사실과 상관없이 붙여도 되는 이름이 아닐까? 그래도 괴테의 명언이라고 당당이 증명하고싶은 마음이 덕질의 마음 아닐까?
👨🎓
교수로서의 책임감, 호기심, 지적 욕망을 마음껏 펼치는 도이치의 행적을 따라가다보면 대학교 내 인물 관계, 가족 간의 대화, 가끔씩 튀어나오는 위트가 오가면서 이 소설은 인문학 또는 스토리에만 머물지 않는 독특한 재미도 있었어요.
💭
제 얕은 철학적 소견으로는 괄호나 주석의 설명을 과감히 건너뛰었지만, '이 말이 괴테의 것이 맞을까?, '괴테가 정말 모든 것을 말했을까?'의 질문에 대해 어떤 식으로든 결론을 원했어요.
💬
비슷하게 '산타가 정말 모든 아이들에게 선물을 준다?'는 질문의 답을 찾는 과정과도 비슷해보였어요. 믿음을 전재로는 가능할 것 같은데 과학적으로, 거리와 시간과 속도를 계산하면 불가능하죠. 하지만 누군가 전하고 나누고 그 손을 대대로 확장시키면 못할일도 아닌것같지 않나요 ㅎ
이 문장의 뿌리를 찾든 못찾든, 이 문장은 '괴테의 문장'이라는 사실처럼 계속 존재할거에요. 괴테는 '신화적'인 존재니까요.
🌲
물론 산타두요.... 🎅
🔖
"영원히 되풀이되는" 이야기들 속에서, "그렇게 인용만 하지 말고 자신의 언어로 말하"기를 꿈꾸며_옮긴이
🫧그 명언이 누구의 말이었든, 제가 말하는 대로 믿겠습니다
-------------------------------------
🫧 책 속 울림을 나누는 울림zzzz입니다
🫧 이 울림이 오래 이어지기를.... @uz_zzzz
-------------------------------------
🫧 좋은 책 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 책은 이키다 서평단 @ekida_library 으로 포레스트 @forest.kr_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서평입니다.
괴테는 모든 것을 말했다
스즈키 유이 지음
리프 펴냄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