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형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태형

@6kd3kq9eor1d

+ 팔로우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의 표지 이미지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장 지글러 지음
갈라파고스 펴냄

읽었어요
표지를 보는 순간 눈을 감아버렸다. 언제나 그래왔다. 어떤 내용인 지 뻔하다고 생각했다. 모르는 것이 더 행복하리라, 어짜피 나는 아무것도 할 수 있는 것이 없다고 생각했다. 기아, 굶어죽는 아이들, 아프리카는 침묵의 대상이었다. 그래서 '왜?'라는 질문을 하지 않아왔다. 그저 그들은 있어왔던 거라고 생각했었나보다.

아옌데와 상카라, 테러의 이야기를 읽으니, 이제야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 걸까?"를 고민하게 되었다. 왜 세계의 부는 누군가에게 집중되어있는가? 그게 자연스러운 것인가? 그렇게까지 해야하는 것인가?

아빠가 자식에게 이야기해주는 식의 글이기 때문에 아주 읽기 쉽다. 그렇지만 의외로 전혀 들어보지 못한 얘기들이 나올 때가 많아서 당황하게 될 지도 모른다. 학교에서는 가난과 기아를 외면해왔다는 저자의 글에 반박할 수 없었다. 이제라도 배워하한다. 꼭 한 번 읽어볼만한 책이다.
👍 답답할 때 추천!
2017년 6월 24일
0

이태형님의 다른 게시물

이태형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태형

@6kd3kq9eor1d

어른들을 위한 동화로 유명한 미하일 엔데의 『모모』는 어린아이의 시각에서 판타지라는 장르를 빌려 우리에게 직설적으로 묻고 있다. "왜 시간을 아끼고 있는가? 혹시 시간을 빼앗긴 것 아닌가?"

모모를 읽으며 가장 마음이 동한 사람들은 푸시씨와 기기였다. 평범하고 평화로운 삶을 살다가 문뜩 그저 이렇게 아무것도 남기지 못하고 죽는 다면 나는 무슨 가치가 있는 걸까하고 고민하게 되는 푸시씨. 그리고 지금의 삶을 유지하기 위해 스스로 망가지고 있음을 느끼면서 여유를 주지 못하고 계속 앞만보고 달려가야만 하는 기기. 푸시씨에게 회색신사가 하는 말도, 기기에게 회색신사가 하는 말도 모두 내게 누군가가 했던 말 같았다. 나는 이들이 시간을 아끼는 이유를 잘 알고 있다. 불안하기 때문이다. 푸시씨의 이발소 옆에 새로 생기는 깔끔하고 고급스러운 미용실과, 올라가는 물가를 보면서, 기기가 하는 농담들이 거짓말이라는 것을 쉽게 밝힐 수 있는 전자기기들과, 관광지가 대형 백화점과 아울렛으로 대체되는 것을 보면서...

결국 모모에 의해 세상은 원래대로 돌아간다. 사람들은 '같이 웃고, 같이 울' 여유가 생겼다. 하지만 아직 이 세계에는 모모가 나타나지 않았다. 아니, 여전히 회색신사들이 늘어나고 있을 것이다. 어떻게 하면 이 불안함이 없어질까?

모모

미하엘 엔데 지음
비룡소 펴냄

읽었어요
2017년 8월 23일
0
이태형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태형

@6kd3kq9eor1d

이 책은 근대의 혁명에만 시선을 두지 않았다. 아니 오히려 적극적으로 현대로 넘어왔다. 또한 서유럽에만 시선을 두지도 않았다. 오히려 주인공은 남미가 아닐까 싶을 정도였다. 게다가 이념의 한계도 뛰어넘었다. "근대 서구 자본주의"를 넘어선 세계의 민주주의 혁명의 이야기. 그래서 이 책은 프랑스혁명, 러시아혁명, 멕시코혁명, 중국 신해혁명, 그리스 민주화 운동, 쿠바혁명, 칠레 민주화 운동, 아르헨티나 민주화 운동, 한국 광주의 오월 혁명, 그리고 1986년의 필리핀 민주화 운동을 다루고 있다.

그러니 음악이 다채로워졌다. 고전음악이 힘을 발휘했던 근대만을 다루고 있지 않다. 현대에는 현대의 음악들이 등장했다. 영화음악이 그러했고, 오페라가 그러했고, 유명한 포크송도 속속 모습을 드러냈다. 그리고 오월혁명에서 빠질 수 없는 민중가요도 등장했다. 게다가 영화음악을 다루면 영화를 다룰 수밖에 없다. 그리고 수많은 음악이 시로부터 영향을 받았음을 무시할 수 없다. 그렇기에 이 책은 점차 영화음악, 음악에 토대가 된 시에 얽매이지 않고 영화 자체를 다루기도 했으며, 문학작품을 다루기도 했다. 첫 시작은 음악과 함께 떠났지만, 그 과정에서 영화를 만나고 문학을 만났다.

사실 너무나 생소할 수 있는 멕시코혁명, 쿠바혁명, 아르헨티나 민주화 운동 등을 짧은 책 한 권에 전부 담아낸다면 모자란다는 느낌이 들 수밖에 없다. 더군다나 '음악'과 함께 떠나야 하고, 그러다 보니 영화와 문학도 대리고 가야 하지 않겠는가?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은 가볍게 읽을 수 있도록 쓰인 혁명에 관련된 음악, 영화, 문학을 소개하고,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은 제3세계의 혁명을 소개한다고 생각해야 할 것이다.

세계의 혁명 이야기

조광환 지음
살림터 펴냄

읽었어요
2017년 8월 22일
0
이태형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태형

@6kd3kq9eor1d

금속과 관련된 역사를 읽기 쉽게 풀어낸 역사교양서이다. 책은 가장 먼저 사용된 금속부터 순서대로 구성되어있는데, 그만큼 고고학이나 선사시대, 고대사에 관련된 내용이 주를 이룬다. 물론 익숙한 사건들이 나오긴 하지만 딱 양념정도인 듯 한사.

그래서 생소한 내용이긴 하지만 이야기를 쉽게 풀어써서 어렵거나 글을 읽는게 곤란하진 않았다. 물론 내용 자체가 쉬운편은 아니라서 깊게 파고든다면 꽤 곤란할 것 같기는 했다. 그래서 여유로울 때 새로운 지식을 접하고 싶은 순간, 가볍게 읽을 만 한 역사교양서 정도다.

금속의 세계사

김동환 외 1명 지음
다산에듀 펴냄

읽었어요
2017년 7월 13일
0

이태형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