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혜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강혜리

@helia

+ 팔로우
아무것도 하지 않을 권리 (열심히 일해도, 아무리 쉬어도, 그 무엇을 사도, 여전히 행복하지 않은 사람들을 위한)의 표지 이미지

아무것도 하지 않을 권리

정희재 지음
갤리온 펴냄

읽었어요
「"... 추상적인 질문만 잔뜩 안고서 정작 몸을 움직이진 않아. 고민하는 것으로 할 일을 다했다는 듯이."」

충분히 알고 있다.
멈춰야 한다는 것을, 잠시 쉬어가야 한다는 것을, 아무것도 하지 않아야 하는 것을..
하지만 머리에서 사라지고 또다시
계속 움직이고, 살아있음을 느끼려고 발버둥을 친다.
그래서 책을 읽는다.
그래서 책을 찾아 읽는다.
읽는 그 순간 만큼은 멈춰있으니까, 쉬고 있으니까,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있으니까...

「멈춘다는 것.
그것은 새로운 방식으로 삶과 소통하기 위한 준비 과정이다.
적절한 때에 내 의지로 멈추지 못하면 후유증이 생기게 마련이다.」

작가의 경험과 생각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내용 속에서
진심이 느껴지고, 삶이 느껴진다.

「어쩌다 우리는 어른 노릇 같은 걸 하고 있을까.
어른이 되고 나잇값을 하고 산다는 건 때론 눈물겨운 일이다.
때로는 어른을 공경해야 한다는 유교적인 관습에 부담을 느끼면서도
기대고 의지할 때는 어른을 찾는 우리 사회의 모순적인 관습이 생각하면 더욱 그렇다.」

바쁘게만 살아가는 현대사회.
그래서 쉼을 원하면서도 또 바쁘게 휴식을 취하고는
'나'에게 쫓겨 또 다시 바쁘게 살아간다.

「진정한 휴식을 취하는 것도 연습과 열린 마음, 그리고 자신을 버리는 용기 없이는 불가능하다...」

「이제는 내가 나의 착취자이다.
나를 강제하는 이가 없어도 나는 알아서 더 분발해야 하고, 할 수 있는 것을 안 해서 안 된다.
외부에서 오는 강제에는 저항할 수 있지만, 자발적인 복종은 의식조차 못 하기에 저항도 할 수 없다.」

우리에게 주어진 권리.
작가가 제시하는 '인간으로써, 인간이기에, 인간다워지기 위해' 누려하는 권리.
한없이 무시하고 지나치고 안일하게 생각했던 것들을 너무도 많아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

그래서 난 아무것도 하지 않기로 했다.

「'생각하지 않을 권리'라고 해서 문제에서 달아나거나 책임을 회피하자는 것은 아니다.
지적 태만이나 무관심을 정당화하려는 주장도 아니다.
생각하지 않을 권리를 달리 표현하면 생각을 비울 권리가 될 것이다.」

그렇기에 나는 아무것도 하지 않기로 했다.

「모든 일에 생산성과 효율, 잉여가치부터 따지는 사회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음'이야말로
유일하게 내가 취할 수 있는 저항일 때가 있다.」

「진정으로 살아 있다는 실감을 안겨 주는 소중한 기회들은
우리가 무엇이 되어야 하고, 무엇을 해야 한다는 생각조차 내려놓은 그 순간에 찾아온다.」
0

강혜리님의 다른 게시물

강혜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강혜리

@helia

마치 살아있는 듯한 인물들.
그리고 있었을 법한(어쩌면 있었을 수도 있는) 이야기들.
그러다보니 소설이 아닌 일기처럼 읽혀졌다.
각자의 일기를 통해 '심시선'​이라는 인물을 그려 나가다 보면,
자연스럽게 '여성'이라는 자리 혹은 권리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험하고 모진 세월을 견뎠던 심시선.
그랬기에 누구보다 독창적이고 진취적이였던 그녀.
하지만 그 이면에는 감히 다 공감할 수 없을만큼 아픈 시간들.
지난 시간들이기에 아름다웠다 추억할 수도 있고
그 시간들을 통해 매력적인 사람이었다고 할 수 있지만,
어쩌면 심시선이 세상에서 돋보였던 건 세상이 그녀를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 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리고 그런 세상은 더 따가워지고 있다.

소설 속 화수의 말처럼, 세상의 공기는 따갑다.
숨쉬는 것조차 때로는 버겁기까지 하다.
많은 세월이 흘러 수없이 변화했다고 하지만,
어떤 부분은 여전히 퀴퀴한 공기들로 가득차 숨막히게 만든다.

그런 세상에 대한, 어쩌면 여성으로서 그런 세상을 마주한,
특히 여성 예술가들이 겪어야 하는 수많은 현실들을
이렇게나마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된다.

각자의 방식으로 심시선을 추억하는 모습을 통해,
그리고 그녀를 통해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인물들을 통해,
따가운 공기에 아랑곳하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는 그녀들을 통해,
기분 좋게 책을 덮으며 살짝 생각에 잠겨보기도 했다.
그만큼 여운이 길게 남는 이야기였다.

시선으로부터,

정세랑 지음
문학동네 펴냄

2주 전
0
강혜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강혜리

@helia

우리는 살면서 '우리'가 먼저라고 배우고, 늘 다른 사람들을 먼저 생각하는 데 익숙하다.
그런데 이 책은 그런 생각에 중요한 질문을 던진다.

진짜 '우리'가 되려면, 무엇보다 '나'라는 사람이 먼저 튼튼해야 한다는 것이다.
내가 나를 잘 알고 아낄 줄 알아야, 그 단단한 '나'를 바탕으로 다른 사람들과도 건강한 관계를 만들고 진정한 '우리'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예전엔 '우리' 안에 내가 사라지기도 했지만, 지금은 '나'의 존재가 더 중요해진 시대이다.
특히 인공지능까지 함께하는 세상에서는, 오히려 AI를 통해 '나' 자신을, 또 '사람'이라는 존재를 더 깊이 이해하게 된다.

세상은 정말 빠르게 변한다.
하루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것들이 쏟아져 나온다.
이런 빠른 세상 속에서 흔들리지 않으려면, 내면을 잘 들여다보고 '나'라는 사람을 확실히 아는 게 중요하다.
과거의 경험도 소중하지만, 지금은 그보다 지혜롭게 상황을 보고 유연하게 받아들이는 힘이 더 필요하다.
그래야 급변하는 흐름에 휩쓸리지 않고, 내 마음의 중심을 잘 잡을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지혜롭게 살아가면, 나이가 들어갈수록 생기는 조급함이나 소외감 같은 감정들도 훨씬 덜해질 거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우리는 흔히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하면 돈을 떠올리곤 한다.
하지만 이 책은 이제 그런 물질적인 생각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한다.
물론 돈이 중요하지 않다는 말은 아니다.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나의 생각'과 '내가 얼마나 소중한지', 그리고 '내가 어떤 존재인지' 아는 것이다.
진짜 '가치'는 내 안에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진정한 공존은 서로가 같은 존재임을 인지하고 감싸 안을 때 가능하다.
내가 '나'답게 잘 살아갈 때, 비로소 우리 사회는 더욱 안전하고, 평화롭고, 다채로워질 수 있다.

시대예보

송길영 지음
교보문고(단행본) 펴냄

4주 전
0
강혜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강혜리

@helia

날마다 느낄 수 있는 행복.
그것으로도 충분히 하루가 가득 찬다.

많은 돈, 많은 시간이 생긴다고
그 행복감이 달라진다고 한다면
그것이 주어지지 않은 삶 속에서는
행복을 찾기 쉽지 않을 것이다.

굳이 행복하기 위해 필요한 걸 채우기 보다는
이미 주어진 행복을 누리는 것이
더없이 행복한, 그리고 더 오래가는 행복인 듯 싶다.

셀마

유타 바우어 지음
키위북스(어린이) 펴냄

1개월 전
0

강혜리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