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이북 앱으로 보기
+ 팔로우
가능한 꿈의 공간들
듀나 지음
씨네21북스 펴냄
책을 읽으며 이죽거리고 비아냥대는 문장이 지나치게 많아 불편함을 느꼈다. 더불어 실린 글마다 그 완성도나 문체에 편차가 적지 않은데 자유로운 형식의 글 묶음임을 감안하더라도 아쉽게 느껴졌다. 그녀에 대해 밝혀진 게 없다고는 하지만 그녀가 정해진 장소에서 안정된 심리상태로만 글을 쓰는 게 아니라는 건 장담할 수 있을 듯하다.
듀나는 '추억의 영화' 코드에 대해 이야기하며 임권택 감독이 '월스트리트저널'과 인터뷰한 사례를 언급한다. 당시 임권택 감독은 자신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영화로 <역마차>,<길>,<새>에 더해 <로마의 휴일>을 꼽았는데 듀나는 앞의 영화 리스트에 <로마의 휴일>을 넣는 감독이 몇이나 되냐며 의문을 제기한다. 소위 한국 올드 영화팬들의 특정한 코드가 영향을 미친 사례라는 것이다. 그녀는 90년대 영화광, 나아가 시네마테크를 찾는 영화팬과 '추억의 영화'를 소비하는 사람들을 구분짓는데 글에서 단순의 구분을 넘어선 우열의 잣대가 읽히는 듯해 당혹스럽기도 했다.
이 장에 나오는 '아직도 '추억의 영화' 팬들은 "한국 사람들은 <사운드 오브 뮤직>이 최고의 할리우드 뮤지컬영화라고 생각해!"라는 말이 왜 웃긴지 잘 이해하지 못한다'는 문장에선 이와 같은 잣대가 단적으로 드러난다. 대체 한국 사람들이 <사운드 오브 뮤직>을 최고의 할리우드 뮤지컬로 생각해선 안 될 것이 무엇이란 말인가? 외화가 영화수입사나 TV에 의해 선별되어 상영되었고 그로부터 특정세대 한국 영화팬들의 취향이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을 인정하더라도 이와 <사운드 오브 뮤직>을 최고의 뮤지컬 영화로 꼽는 걸 조롱하는 것은 전혀 별개의 문제다. 좋은 영화에 감동하고 이를 기억하는 건 어디까지나 취향의 문제이며 이와 같은 취향은 존중받아 마땅하기 때문이다.
전반적으로 듀나의 글에선 자신과 다른 것을 마음껏 비꼬고 이죽거리는 경향을 많이 찾아볼 수 있었다. 물론 그 가운데 상당수는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어서 크게 불편하지 않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의 글은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을 불쾌하게 만들 위험이 있다고 생각한다. 굳이 따지자면 2010년대 영화팬 세대인 나는 90년대 영화팬 세대인 듀나에게서 꼰대스런 인상을 받았는데 그녀가 정영일과 같은 영화저널리스트에 대해 적은 것과 크게 다른 인상은 아닐 것이라 생각한다. 그녀는 책에서 예술가란 젊어야 할 의무가 있다고 적고 있는데 이는 듀나와 같은 글을 쓰는 사람에게도 적용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그녀가 말했듯 성숙과 늙음이 다르고 작가란 끊임없이 세상과 소통하며 자신을 성숙시킬 의무가 있기 때문이다.
1
김성호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