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이북 앱으로 보기
+ 팔로우
가능한 꿈의 공간들
듀나 지음
씨네21북스 펴냄
책을 읽으며 이죽거리고 비아냥대는 문장이 지나치게 많아 불편함을 느꼈다. 더불어 실린 글마다 그 완성도나 문체에 편차가 적지 않은데 자유로운 형식의 글 묶음임을 감안하더라도 아쉽게 느껴졌다. 그녀에 대해 밝혀진 게 없다고는 하지만 그녀가 정해진 장소에서 안정된 심리상태로만 글을 쓰는 게 아니라는 건 장담할 수 있을 듯하다.
듀나는 '추억의 영화' 코드에 대해 이야기하며 임권택 감독이 '월스트리트저널'과 인터뷰한 사례를 언급한다. 당시 임권택 감독은 자신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영화로 <역마차>,<길>,<새>에 더해 <로마의 휴일>을 꼽았는데 듀나는 앞의 영화 리스트에 <로마의 휴일>을 넣는 감독이 몇이나 되냐며 의문을 제기한다. 소위 한국 올드 영화팬들의 특정한 코드가 영향을 미친 사례라는 것이다. 그녀는 90년대 영화광, 나아가 시네마테크를 찾는 영화팬과 '추억의 영화'를 소비하는 사람들을 구분짓는데 글에서 단순의 구분을 넘어선 우열의 잣대가 읽히는 듯해 당혹스럽기도 했다.
이 장에 나오는 '아직도 '추억의 영화' 팬들은 "한국 사람들은 <사운드 오브 뮤직>이 최고의 할리우드 뮤지컬영화라고 생각해!"라는 말이 왜 웃긴지 잘 이해하지 못한다'는 문장에선 이와 같은 잣대가 단적으로 드러난다. 대체 한국 사람들이 <사운드 오브 뮤직>을 최고의 할리우드 뮤지컬로 생각해선 안 될 것이 무엇이란 말인가? 외화가 영화수입사나 TV에 의해 선별되어 상영되었고 그로부터 특정세대 한국 영화팬들의 취향이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을 인정하더라도 이와 <사운드 오브 뮤직>을 최고의 뮤지컬 영화로 꼽는 걸 조롱하는 것은 전혀 별개의 문제다. 좋은 영화에 감동하고 이를 기억하는 건 어디까지나 취향의 문제이며 이와 같은 취향은 존중받아 마땅하기 때문이다.
전반적으로 듀나의 글에선 자신과 다른 것을 마음껏 비꼬고 이죽거리는 경향을 많이 찾아볼 수 있었다. 물론 그 가운데 상당수는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어서 크게 불편하지 않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의 글은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을 불쾌하게 만들 위험이 있다고 생각한다. 굳이 따지자면 2010년대 영화팬 세대인 나는 90년대 영화팬 세대인 듀나에게서 꼰대스런 인상을 받았는데 그녀가 정영일과 같은 영화저널리스트에 대해 적은 것과 크게 다른 인상은 아닐 것이라 생각한다. 그녀는 책에서 예술가란 젊어야 할 의무가 있다고 적고 있는데 이는 듀나와 같은 글을 쓰는 사람에게도 적용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그녀가 말했듯 성숙과 늙음이 다르고 작가란 끊임없이 세상과 소통하며 자신을 성숙시킬 의무가 있기 때문이다.
1
김성호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
김성호님의 다른 게시물
'사람이 온다는 건 / 실로 어마어마한 일이다. // 한 사람의 일생이 오기 때문이다.'
정현종의 유명한 시구를 나는 특별히 다음과 같은 순간에 떠올린다. 캄보디아에서 온 31살 여성 누온 속행이 비닐하우스에서 얼어죽었을 때, 대구 이슬람사원 건축현장에 돼지머리가 놓였을 때, 고양시 저유소 화재사건 때 풍등을 날린 스리랑카 노동자가 긴급체포돼 123회나 “거짓말하지 말라”고 다그침을 당했을 때, 올해 1분기에만 20명 가까운 외국인 노동자가 숨졌단 통계를 찾아냈을 때. 나는 나와, 내 이웃과, 내 나라가 다른 누구의 일생을 존중하며 맞이하고 있는가를 의심한다.
소설은 반세기 전 독일의 한국 노동자들과 오늘 한국의 이주노동자를 같은 시선에서 바라보도록 이끈다. 그 시절 한국 노동자에게 저마다의 이야기가 있었던 것처럼, 오늘 한국땅의 이주노동자에게도 귀한 마음들이 깃들어 있음을 알도록 한다.
2
식민지마저도 자유로울 수 없는 지난 체제의 부조리함을 여실히 보여준다. '봉건사회의 완성형은, 소수의 사디스트와 다수의 마조히스트로 구성된 것'이라는 통찰은 이를 냉철히 되짚어 반성한 적 없는 모든 사회에서 폭력과 존엄의 훼손이란 문제가 반복되는 이유를 알도록 한다.
잔혹하고 처절한 묘사로 악명 높은 작품이다. 잔혹을 수단 삼아 인간의 극한에 다가선다. 잔혹함을, 또 폭력을 그대로 그를 비판하기 위한 창작의 장치로 활용하는 선택이 천재적이다. 폭력이 짙어질수록 폭력에 대한 비판 또한 강렬해지는 이 영리한 설정은 그를 부담스럽게 여겨온 이마저 일거에 감탄케 한다.
이로부터 일본에도 제 역사를 처절하게 반성하는 작가가 있었단 걸 알았다. 이로부터 봉건질서를 지나온 우리 또한 자유롭지 못한 잘못이 있다는 걸 깨우쳤다. 봉건은, 인간에 대한 인간의 압제는 마땅히 그를 지나온 모두로부터 통렬히 비판되고 반성돼야 하는 것이다.
시구루이 1
야마구치 타카유키 외 1명 지음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펴냄
0
노미영 작가의 데뷔작으로 원나라 침입에 맞선 고려의 무장이 실은 현재로부터의 시간여행을 한 고등학생이라는 상상으로부터 흥미롭게 빚어낸 작품이다. 요즘 또 유행하는 전형적 회귀물이지만 당대에선 큰 주목을 받지 못하던 원나라 침입 시기를 다뤄 눈길을 끈다.
역사적 고증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이야기에 작가의 상상을 적극 버무린 픽션의 결합. 그 결과물이 민족적 자긍심을 일깨우는 판타지적 사극으로 귀결됐다는 건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니다.
고려의 박서 장군이 살리타가 이끌던 원나라 군대를 귀주에서 격파하고, 재차 처들어온 살리타를 승장 김윤후가 처인성에서 사살한 건 의미 있는 전공임에도 널리 알려지진 못한 사실이었다. 노미영 작가는 역사책 한 귀퉁이에 찌그러져 있던 사건으로부터 매력적인 드라마를 뽑아냈고 이것으로 이 만화가 생명력을 얻었다.
매력적이고 아기자기한 이야기와 흥미로운 구성, 자기색깔이 분명한 필치까지 압도적이진 않지만 모든 면에서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작품이다. 좋았다.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