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흑설공주 이야기
바바라 G. 워커 지음
뜨인돌 펴냄
여성학자 바바라 G. 워커가 널리 알려진 동화 열네편을 페미니즘적 관점에 입각해 각색한 동화집이다. 어린시절부터 직간접적으로 접하여 어린이들의 의식 속에 알게 모르게 고정관념을 형성하는 동화들을 해부함으로써 그 속 깊숙이 스며들어있는 각종 편견과 부당한 의식들을 꺼내어 해체하고 있는 시도가 이루어졌는데 그 원대한 포부만큼은 무척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이 책에 실린 동화들은 페미니즘 소설의 대표작 중 하나인 게르드 브란튼베르그의 <이갈리아의 딸들>과 마찬가지로 남과 여의 성역할 고정관념을 타파함으로써 독자의 고정관념에 의식적 충격을 가하는 것을 제일의 목적으로 삼고 있는 듯 보인다. 이는 <벌거벗은 여왕님>, <개구리 공주>, <질과 콩나무>, <알라딘과 신기한 램프> 등의 작품에서 원작에선 남성이었던 주인공을 여성으로 교체한 부분에서 잘 나타난다.
이 동화들은 이에 그치지 않고 <못난이와 야수> 등에서 기존의 수동적이고 아름다웠던 주인공을 예쁘진 않지만 적극적인 인물로 바꾸는 등 동화라는 이름아래 보편적으로 널리 퍼져있는 편견에 전면으로 부딪히는 선택을 하고 있다.
오랫동안 문제제기 되어지지 않고 있던 무언가에 대한 저항이란 언제나 그렇듯 불편하면서도 짜릿한 것이어서 바바라 G. 워커의 이 시도는 충분히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다만 문제가 있다면 그저 문제의 의식화에 그치고 있다는 점이랄까. 다시말해 원작을 발판으로 어떠한 새로운 경지에도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문제라는 소리다.
시도는 참신했지만 깊이는 얕았던 이 이야기들에서 독자의 가슴에 울릴 수 있는 이야기를 기대한 것은 지나친 욕심이었던 걸까. 바바라 G. 워커의 개작은 무엇보다 재미가 없었고 재미가 없다는 말은 경쟁력이 없다는 이야기다. 경쟁력 없는 이야기는 도태되기 마련이니 이 소설들은 페미니즘 어쩌고 하는 타이틀을 달지 못한다면 사라지고 말 운명임에 분명하다. 안쓰럽다.
1
김성호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